산부인과

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규칙: 내 몸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건강 신호

경구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 주기가 갑자기 불규칙해지거나 몇 달간 생리가 없어 불안감을 느끼는 여성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피임약으로 조절되던 몸이 스스로의 리듬을 되찾는 자연스러운 과정일 수 있지만, 때로는 다른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피임약을 끊은 후 내 몸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언제까지 기다려봐도 괜찮은지, 또 건강한 주기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KRHOW.COM 편집팀에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핵심 요약 (Key Takeaways)

  • 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규칙 및 무월경은 흔하며, 대부분(약 90%) 1~3개월 내 회복되는 자연스러운 호르몬 조정 과정입니다. (개인차 존재, 최대 6개월 소요 가능)
  • 회복 기간은 복용 전 생리 주기, 나이, 생활 습관 등의 영향을 받으며, 소퇴성 출혈은 정상 생리가 아닙니다.
  • 스트레스, 급격한 체중 변화, 무리한 운동 등 생활 습관 요인 외에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갑상선 기능 이상 등 기저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임신 가능성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3개월 이상 무월경, 심한 생리 불규칙 지속, 과다 출혈, 극심한 통증, 부정 출혈, 기타 의심 증상 시 산부인과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생활, 스트레스 관리, 적절한 운동이 건강한 주기 회복에 중요하며, 전통적 방법은 보조적으로 참고하고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피임약 중단 후 생리, 왜 불규칙해질까요?

1. 호르몬 시스템의 재조정: 몸이 스스로 리듬을 되찾는 시간

경구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거나 일시적으로 생리가 없는 현상(무월경)은 많은 여성이 경험하는 매우 흔한 일이며, 대부분은 신체의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간주됩니다1. 의학적으로는 ‘피임약 복용 중단 후 무월경(post-pill amenorrhea)’이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 잘 알려진 현상입니다1. 이러한 변화는 피임약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던 호르몬이 중단된 후, 몸이 스스로 호르몬 균형을 되찾고 정상적인 배란 주기를 회복하는 데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3. 따라서 피임약 중단 후 나타나는 생리 불규칙은 질병이라기보다는 몸이 정상적인 생리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조정 기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부 호르몬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체 본연의 생리 리듬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변화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생리가 빨리 돌아오지 않아 느끼는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기간 동안 몸은 마치 오랫동안 자동 조종 장치에 의존하던 시스템이 다시 수동으로 전환되어, 자체적인 호르몬 생산 및 조절 기능을 섬세하게 ‘재부팅’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4, 11.

2. 의학적 관점에서 본 ‘정상적인’ 변화 범위와 기간

피임약 중단 후 생리 주기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은 1~3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생리 주기를 회복합니다1. 약 90%의 여성이 3개월 내 정상 생리를 경험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복에 최대 6개월까지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1, 6. ‘정상 회복’의 기준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특히 피임약 복용 전 본인의 생리 주기가 어떠했는지가 중요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피임약 복용 전부터 생리 주기가 규칙적이었다면 중단 후에도 비교적 빠르게 규칙적인 주기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원래 생리 주기가 불규칙했거나 생리 불순 치료 목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했던 경우라면, 피임약 중단 후에도 불규칙성이 지속되거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1. 이는 피임약이 생리 불순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한 것이 아니라, 복용 기간 동안 증상을 조절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거의 생리 양상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회복 기대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우리 몸의 반응: 피임약 중단 후 호르몬 변화와 생리 주기 회복 과정

경구 피임약은 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라는 두 가지 합성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호르몬들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하여 난소에서의 난자 성숙과 배란 과정을 막는 방식으로 피임 효과를 나타냅니다11. 또한, 자궁경부 점액의 점도를 높여 정자의 이동을 방해하고, 자궁내막을 얇게 유지하여 수정란이 착상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듭니다17.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외부로부터의 호르몬 공급이 끊기면서 그동안 억제되었던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Hypothalamic-Pituitary-Ovarian, HPO) 축이라는 복잡한 시스템이 다시 활성화되기 시작합니다4. 몸은 스스로 호르몬을 생산하고 조절하는 자연적인 생리 리듬을 되찾으려는 노력을 시작하며, 이 과정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됩니다3. HPO 축의 회복은 단순히 스위치를 켜는 것처럼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뇌(시상하부, 뇌하수체)와 난소 간의 복잡한 신호 전달 체계가 서로 소통하며 다시 정교하게 균형을 맞추어 가는 과정입니다. 이처럼 우리 몸의 호르몬 시스템은 매우 민감하여, 스트레스, 영양 상태,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아 개인마다 회복 속도에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3.

또한, 피임약은 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Binding Globulin, SHBG)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SHBG는 혈액 내에서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과 결합하여 그 활성을 조절하는데, SHBG 수치가 높아지면 활성형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11. 피임약 중단 후 이 SHBG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에도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이는 생리 주기 회복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성욕 변화 등 다른 신체적 변화와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4. 소퇴성 출혈(Withdrawal Bleeding)과 첫 자연 생리의 차이

피임약의 마지막 활성 성분(호르몬이 함유된 알약)을 복용한 후 며칠 내에 나타나는 출혈은 ‘소퇴성 출혈‘ 또는 ‘금단 출혈’이라고 불립니다20. 이는 피임약에 포함된 외부 호르몬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서 인위적으로 유지되던 자궁내막이 탈락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중요한 점은 소퇴성 출혈은 정상적인 배란 과정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생리’와는 다릅니다3. 피임약 중단 후 경험하는 첫 번째 자연 생리는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이 충분히 회복되어 정상적인 배란이 이루어진 후에 나타나는 출혈입니다. 그러므로 소퇴성 출혈을 경험했다고 해서 즉시 정상적인 생리 주기가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HPO 축의 완전한 기능 회복과 배란 재개까지는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다음 생리 예상 시점이나 임신 가능성 등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생리 주기 회복, 어떤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까요?

여러 연구에 따르면, 경구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첫 자연 생리가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기간의 중앙값은 약 30일에서 32일 사이입니다25. 대다수의 여성, 약 90%는 피임약 중단 후 3개월 이내에 생리가 정상적으로 재개되는 것을 경험합니다1. 한 연구에서는 피임약 중단 후 첫 생리 주기의 길이가 피임약을 사용하지 않은 여성들의 생리 주기 길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25.

가임력 회복 또한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피임약 중단 후 첫 번째 배란 주기부터 임신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여성은 2~3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임신 능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여기서 ‘3개월’이라는 기간은 생리 회복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집니다. 만약 피임약 중단 후 3개월이 지나도 생리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단순한 호르몬 재조정 과정을 넘어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담을 시작해야 하는 일차적인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1.

생리 주기 회복 기간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개인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회복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피임약 복용 전 생리 양상: 피임약 복용 전부터 생리 주기가 불규칙했던 여성의 경우, 피임약 중단 후에도 불규칙성이 지속되거나 규칙적인 주기로 회복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1. 이는 피임약이 기저의 불규칙성을 일시적으로 조절했을 뿐, 근본 원인을 해결한 것은 아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나이: 한 연구에서는 18세에서 24세 사이의 젊은 연령대에서 피임약 중단 후 첫 생리 주기가 다소 길게 나타났고, 25세에서 29세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았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연령대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25.
  • 피임약 종류 및 복용 기간: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구 피임약에 함유된 에스트로겐의 용량이나 총 복용 기간이 생리 회복 여부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25. 그러나 데포 프로베라(Depo-Provera)와 같은 주사형 피임제의 경우, 다른 경구 피임약에 비해 생리 및 가임력 회복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6, 77. “피임약을 오래 복용하면 임신이 어려워진다”는 통념은 대부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이처럼 특정 피임약의 종류나 개인의 기저 질환 유무에 따라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은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궁내막의 상태: 경구 피임약은 자궁내막을 얇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12. 피임약 중단 후, 이 얇아진 자궁내막이 다시 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생리로 배출될 만큼 충분한 두께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첫 자연 생리가 다소 늦어지거나 초기 생리 양이 적을 수 있습니다. 이는 HPO 축의 회복 과정 외에도 자궁 자체의 생리적 준비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자궁경부 점액 및 배란일 변화: 일부 연구에서는 피임약 중단 후 첫 한두 번의 생리 주기 동안 자궁경부 점액의 질이 저하되거나 배란일이 평소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35.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으로 가임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개인의 건강 상태 및 생활 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급격한 체중 변화, 무리한 운동 등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생활 습관 또한 생리 주기 회복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표 1: 피임약 중단 후 예상되는 생리 주기 변화 및 정상 회복 기간
항목 일반적인 양상 참고 사항
소퇴성 출혈 발생 시점 피임약 (활성 성분) 중단 후 2~7일 이내 배란을 동반하지 않는 출혈임
첫 자연 생리 시작 시점 대부분 1~3개월 이내 (개인차 존재, 최대 6개월까지 관찰) 3개월 이상 무월경 시 전문가 상담 권고
생리 주기 규칙성 회복 3~6개월 이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경향 피임약 복용 전 주기가 불규칙했다면 중단 후에도 불규칙할 수 있음
생리 양 및 기간 변화 일시적으로 생리 양이 적거나 기간이 짧아질 수 있음. 이전 생리 양상으로 점차 돌아감. 피임약으로 인해 얇아졌던 자궁내막이 회복되는 과정과 관련될 수 있음
가임력 회복 시점 대부분 중단 후 수 주 내 (첫 배란 주기부터) 임신 가능. 2~3개월 내 정상 가임력 회복. 임신을 원치 않을 경우 즉시 다른 피임법 사용 필요

주: 위 표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며, 개인의 건강 상태 및 기타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순 호르몬 변화 그 이상? 생리 불규칙의 다른 원인들

피임약 중단 후 경험하는 생리 불규칙은 대부분 일시적인 호르몬 재조정 과정의 일부이지만, 때로는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거나, 피임약에 의해 가려져 있던 기저 질환이 드러나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1. 생활 습관 요인

건강한 생활 습관은 규칙적인 생리 주기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피임약 중단 후 HPO 축이 민감하게 재활성화되는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요인들이 생리 주기 회복을 직접적으로 방해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지속적이거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코르티솔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의 정상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쳐 배란을 억제하거나 불규칙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생리 불순이나 무월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 급격한 체중 변화: 체지방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생성 및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단기간에 급격하게 체중이 늘거나 줄면 체내 에스트로겐 수치에 변화가 생겨 정상적인 배란 과정에 장애가 발생하고 생리 불순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예를 들어, 지나친 다이어트로 체지방이 과도하게 감소하면 생리 기능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스트로겐조차 생성되지 않아 무월경이 올 수 있습니다.
  • 무리한 운동: 적절한 운동은 건강에 유익하지만, 선수 수준의 고강도 훈련이나 갑작스럽게 시작된 과도한 운동은 신체에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에너지 고갈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식 기능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짐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배란 관련 호르몬 분비에 이상을 초래하여 생리 불순이나 무월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3.

2. 피임약에 가려졌을 수 있는 기저 질환

경구 피임약은 생리 주기를 규칙적으로 만들고, 생리통이나 과다출혈과 같은 특정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임약 복용 중에는 본인이 가지고 있던 기저 질환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증상이 가려져 있을 수 있습니다.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이러한 ‘숨겨져 있던’ 건강 문제가 증상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5. 따라서 피임약 중단 후 나타나는 생리 불규칙은 단순한 호르몬 재조정을 넘어, 그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건강 문제에 대한 중요한 ‘신호’일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특히 피임약 복용 전부터 관련 증상이 있었거나, 해당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 깊은 관찰과 필요시 전문가의 검사가 중요합니다.

주요 기저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낭성난소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가임기 여성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으로, 만성 무배란 또는 희발 배란, 혈중 남성호르몬 수치 증가 또는 관련 임상 증상(다모증, 여드름 등), 초음파상 난소의 다낭성 형태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진단됩니다38.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생리 불순, 무월경, 부정 출혈 등을 유발하며, 피임약은 이러한 증상을 조절하는 데 흔히 사용됩니다. 따라서 피임약 중단 후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본래 증상들이 다시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5.
  • 갑상선 기능 이상 (저하증 또는 항진증):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생리 주기 및 배란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갑상선 호르몬 부족)이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갑상선 호르몬 과다)은 생리 불순, 무월경, 생리량 변화, 피로감, 체중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임약 복용 중에는 이러한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가, 중단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의 영향이 생리 주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5.
  • 자궁 폴립 또는 자궁근종: 자궁 내부에 생기는 양성 종양인 자궁 폴립(용종)이나 자궁근종은 크기나 위치에 따라 부정 출혈, 생리 과다, 생리통, 생리 불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임약 복용 중에는 출혈 양상이 조절될 수 있으나, 중단 후 이러한 구조적 문제로 인한 증상이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5.
  •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선근증: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부위(자궁내막증)나 자궁 근층(자궁선근증)에 존재하는 질환으로, 심한 생리통, 만성 골반통, 생리 과다, 성교통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구 피임약은 이러한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므로, 피임약 중단 후 원래의 증상이 재발하거나 심해질 수 있습니다41.

3. 임신 가능성 확인의 중요성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억제되었던 배란 기능이 회복되면서 즉시 임신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많은 여성이 피임약 중단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임신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흔한 오해 중 하나입니다5. 실제로는 중단 후 첫 번째 배란 주기부터 임신이 될 수 있으므로, 생리가 예정일보다 늦어지거나 불규칙하게 나타난다면 다른 원인을 고려하기 전에 반드시 임신 가능성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1. 임신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성관계 후 최소 2주가 지난 시점, 또는 예상 생리일이 지났음에도 생리가 없을 때 아침 첫 소변으로 시행하는 것이 정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12. 임신을 원치 않는 경우라면 피임약 중단과 동시에 다른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표 2: 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규칙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원인
구분 주요 원인 간단한 설명 및 관련 증상 대처 방안 요약
정상적 호르몬 재조정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HPO) 축 기능 회복 지연 피임약 중단 후 몸이 자체 호르몬 균형을 찾는 과정. 일시적 무월경, 불규칙한 주기, 생리 양 변화 등. 대부분 1~3개월 내 자연 회복.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
생활 습관 요인 과도한 스트레스, 급격한 체중 변화 (증가/감소), 무리한 운동, 불규칙한 수면 패턴, 영양 불균형 이러한 요인들은 HPO 축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배란 장애 및 생리 불순 유발. 피로, 불안, 수면 장애, 식욕 변화 등 동반 가능.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식단 유지, 적절한 운동, 규칙적인 생활 습관 확립.
기저 질환 가능성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갑상선 기능 이상 (저하증/항진증), 자궁 폴립/근종, 자궁내막증/선근증 등 피임약 복용으로 증상이 가려져 있다가 중단 후 발현. 각 질환별 특징적 증상 동반 (예: PCOS – 다모증, 여드름; 갑상선 질환 – 피로, 체중변화, 심계항진; 자궁 질환 – 과다출혈, 심한 통증). 의심 증상 시 산부인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및 해당 질환 치료.
임신 피임약 중단 후 배란 재개로 인한 임신 생리 지연 외 구역, 구토, 유방 압통, 피로감 등 임신 초기 증상 동반 가능. 임신 테스트기로 확인. 양성 반응 시 산부인과 방문하여 정확한 임신 확인 및 산전 관리 시작.

 

이럴 땐 꼭 병원에 가세요!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한 경우

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규칙은 대부분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1. 기간으로 판단하는 기준

  • 3개월 이상 무월경 지속: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3개월이 지나도 생리가 전혀 시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학적 평가가 필요합니다1. ‘피임약 중단 후 무월경(post-pill amenorrhea)’은 대부분 일시적이지만,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호르몬 재조정 과정을 넘어 다른 기저 질환(예: 다낭성난소증후군, 갑상선 기능 이상, 조기 폐경 등)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6개월까지 관찰을 권고하기도 하지만9, 3개월은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야 하는 일반적인 기준점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이 3개월이라는 기준은 잠재적인 기저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관리하여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안전선’ 역할을 합니다.
  • 심한 생리 불규칙 장기화: 생리 주기가 21일 미만으로 너무 짧거나 35~40일을 초과하여 너무 긴 경우, 또는 출혈 기간이 예측 불가능하게 변하는 심한 생리 불규칙이 3~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산부인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16.

2. 동반 증상으로 판단하는 기준

생리 불규칙과 함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기간에 관계없이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피임약 중단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지만, 여성 건강의 중요한 적신호일 수 있으므로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 과다 출혈 (Heavy Menstrual Bleeding, HMB):
    • 생리 양이 갑자기 현저히 많아져 1~2시간마다 생리대를 흠뻑 적셔 교체해야 하는 경우.
    • 2.5cm (약 1인치) 이상 크기의 혈전(덩어리 피)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경우6.
    • 생리 과다로 인해 피로감, 어지러움, 숨 가쁨 등 빈혈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정상적인 하루 월경량은 약 80~150cc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생리 시작 후 3~4일째에도 대형 생리대나 오버나이트 생리대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양이 많다면 과다월경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61. 과다 출혈은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식증, 혈액응고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피임약이 이러한 질환의 증상을 일부 조절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극심한 생리통 (Severe Dysmenorrhea):
    •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극심한 생리통이 새롭게 나타나거나, 기존의 생리통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심해진 경우52.
    • 일반적인 진통제에도 반응하지 않고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통증이 지속될 때.

    특히 피임약 중단 후 첫 생리부터 갑자기 극심한 복통과 함께 심한 어지러움, 두통, 구역, 구토 증상이 동반된다면 단순 생리통 이상의 문제일 수 있으므로 응급 진료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63. 극심한 생리통은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등의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부정 출혈 (Breakthrough Bleeding/Spotting):
    • 정상적인 생리 기간이 아닌데도 질 출혈이 있거나 소량의 출혈(점상 출혈)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8.
    • 출혈이 7일 이상 지속되거나, 성관계 후 출혈이 있는 경우.

    부정출혈은 정상 생리혈과 달리 색이 연한 분홍색이나 갈색을 띨 수 있고 양이 적으며, 생리통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61. 부정출혈은 자궁경부 문제, 자궁내막 폴립, 호르몬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타 기저 질환 의심 증상:
    • 다모증(얼굴, 가슴, 배 등에 털이 남성처럼 나는 현상), 치료하기 어려운 심한 여드름의 재발이나 악화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
    • 특별한 이유 없이 단기간에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만성적인 심한 피로감,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추위나 더위를 심하게 타는 증상 (갑상선 기능 이상 의심)5.
    • 유즙 분비(임신이나 수유 중이 아님에도 젖이 나오는 현상), 시야 장애, 심한 두통 (뇌하수체 종양 등 의심).
  • 임신 의심 증상:
    • 생리 지연과 함께 구역, 구토, 유방 압통, 잦은 소변, 피로감 등 임신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 동반될 때5.

3. 병원 방문 전 준비사항

산부인과 진료 시 보다 정확한 진단과 효율적인 상담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9:

  • 마지막 생리 시작일 및 이전 생리 주기: 마지막 생리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피임약 중단 전후로 생리 주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주기 간격, 출혈 기간, 생리 양, 생리통 유무 및 강도 등)를 구체적으로 기록합니다.
  • 복용한 피임약 정보: 복용한 피임약의 종류(제품명)와 총 복용 기간을 파악해 둡니다.
  • 과거 생리력 및 병력: 초경 연령, 과거 생리 양상(규칙적이었는지, 불규칙했다면 어느 정도였는지), 이전에 진단받거나 치료받은 부인과 질환이나 다른 내과적 질환이 있는지 등을 정리합니다.
  • 동반 증상 상세 기록: 현재 경험하고 있는 모든 증상(생리 관련 증상 외의 것 포함)을 자세히 기록합니다. 증상이 언제 시작되었고, 얼마나 자주 나타나며, 어떤 상황에서 심해지는지 등을 파악합니다.
  • 최근 생활 변화: 최근 경험한 스트레스, 체중 변화, 식이 변화, 운동량 변화, 수면 패턴 변화 등 생활 습관의 변화가 있다면 함께 기록합니다.
  • 궁금한 점 목록 작성: 의사에게 질문하고 싶은 내용을 미리 적어두면 상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정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출혈이 있을 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출혈의 원인이나 양상을 파악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3.

건강한 생리 주기를 위한 노력: 생활 습관 및 영양 관리

피임약 중단 후 몸이 자연스러운 호르몬 균형을 되찾고 건강한 생리 주기를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과 균형 잡힌 영양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1. 균형 잡힌 식단과 생활 습관의 중요성

  • 필수 영양소 보충: 특히 경구 피임약 복용은 체내 특정 영양소의 요구량을 증가시키거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피임약 중단 후에는 이러한 영양소들을 충분히 보충해 주는 것이 HPO 축의 원활한 기능 회복과 전반적인 호르몬 균형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피임약 복용으로 인해 비타민 B군(특히 B2, B6, B12), 비타민 C, 비타민 E, 엽산, 아연, 마그네슘 등의 영양소가 부족해지기 쉽습니다11. 이러한 영양소들은 신경 전달 물질 생성, 에너지 대사, 호르몬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결핍 시 HPO 축의 회복이 더뎌지거나 다른 호르몬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소가 풍부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거나, 필요시 전문가와 상담 후 보충제 복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섬유질, 건강한 지방, 양질의 단백질 섭취: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 과일, 통곡물은 장 건강을 개선하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어 호르몬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등푸른 생선, 견과류, 씨앗류 등 건강한 지방과 살코기, 생선, 콩류 등 양질의 단백질도 호르몬 생성과 신체 기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78.
  • 섭취를 줄여야 할 음식: 정제된 탄수화물(흰 빵, 과자 등), 설탕, 가공식품, 트랜스 지방, 과도한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는 혈당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호르몬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78.
  •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 패턴과 7~8시간의 충분한 양질의 수면은 신체 리듬을 안정시키고 호르몬 분비를 정상화하는 데 중요합니다3.

2. 스트레스 관리 및 적절한 신체 활동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높여 HPO 축의 기능을 교란시키고 생리 불순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상, 요가, 심호흡, 가벼운 산책, 취미 활동, 친구와의 대화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스트레스 해소 및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지만, 갑작스럽게 운동 강도를 높이거나 지나치게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신체에 부담을 주어 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3.

3. (참고) 여성 건강에 도움이 되는 한국 전통 음식 및 한의학적 접근

의학적 치료와 함께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보조적인 건강 관리 방법으로 한국 전통 음식이나 한의학적 접근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보조적인 역할에 그치며 과학적 근거 수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주된 치료법으로 의존하기보다는 건강한 생활 습관의 일부로 참고하고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여성 건강에 유익한 전통 식품: 콩류(두유, 두부, 검은콩 등)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함유하고 있어 호르몬 균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마씨, 참깨와 같은 씨앗류, 콩나물, 숙주나물과 같은 채소, 복숭아, 딸기, 석류, 자두 등의 과일, 호두, 잣, 피스타치오와 같은 견과류, 마늘 등도 여성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80, 83, 84, 85. 이러한 식품들을 균형 잡힌 식단의 일부로 섭취하는 것은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한의학적 접근: 일부 한의원에서는 피임약 중단 후 나타나는 생리 불순, 무월경, 생리통 등의 증상에 대해 체질과 증상에 맞춰 침, 뜸, 한약 처방 등의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증상을 기혈 순환 장애나 특정 장부의 기능 저하 등과 연관 지어 설명하며, 개인별 맞춤 치료를 통해 몸의 균형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생리 기능을 되찾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2. 이러한 보조적인 방법들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건강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드시 의학적 진단과 치료를 대체할 수는 없으므로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37.

자주 묻는 질문 (FAQ)

피임약 중단 후 언제부터 임신 시도가 가능한가요?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면 바로 다음 배란 주기부터 임신이 가능합니다1. 대부분의 여성은 2~3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가임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중단 후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며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피임약을 오래 복용하면 나중에 생리 회복이 더 어렵나요?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경구 피임약의 총 복용 기간이 생리 회복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5, 34. 그러나 개인차는 항상 존재하며, 다른 건강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피임약 중단 후 여드름이 심해졌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피임약 중 일부는 안드로겐 수치를 낮춰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단 후 호르몬 변화로 일시적으로 여드름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40, 43.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피부과 또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다낭성난소증후군과 같은 기저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5.

피임약 중단 후 생리 양이 너무 많거나 적어요. 괜찮을까요?

피임약 중단 초기에는 자궁내막의 상태가 변하면서 일시적으로 생리 양이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생리 양이 매우 많아지거나(1~2시간마다 생리대 교체 필요, 큰 혈전 동반) 빈혈 증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생리 양이 지나치게 적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6, 61.

안심하고 건강한 주기를 되찾으세요

경구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 불규칙은 많은 여성들이 겪는 흔한 경험이며, 몸이 스스로 정상적인 리듬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조정 기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너무 조급해하거나 불안해하지 마시고, 내 몸의 변화에 귀 기울이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생리가 3개월 이상 없거나, 출혈 양상이 비정상적이거나, 심한 통증 등 앞서 언급된 위험 신호들이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7. 여러분의 건강한 여성으로서의 삶을 KRHOW.COM이 응원합니다.


참고 문헌

  1. Mayo Clinic. Birth control pill FAQ: Benefits, risks and choices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2 Nov 2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birth-control/in-depth/birth-control-pill/art-20045136.
  2. 닥터나우. 피임약 중단 후 생리 주기 변화에 대해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e47fb587677640fc9e8bdab6a27d65c2.
  3. Natural Cycles. What Causes Late Periods After Stopping Birth Control? [인터넷]. Stockholm: NaturalCycles Nordic AB; [2023 Aug 2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aturalcycles.com/cyclematters/late-periods-after-stopping-birth-control.
  4. Vinmec International Hospital. Having irregular periods after stopping birth control pills? [인터넷]. Hanoi: Vinmec; [2022 Oct 22,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nmec.com/en/news/health-news/obstetrics-gynecology-and-assisted-reproductive-technologies-art/having-irregular-periods-after-stopping-birth-control-pills-en/.
  5. Nall R. Late Period After Stopping Birth Control Pill: 7 Causes [인터넷]. San Francisco (CA): Healthline Media; 2023 Sep 28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birth-control/late-period-after-stopping-birth-control.
  6. Natalist. Causes of Irregular Periods After Stopping Birth Control [인터넷]. Charleston (SC): Natalist; 2024 Apr 1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talist.com/blogs/learn/why-am-i-getting-irregular-periods-after-stopping-birth-control.
  7. 하이닥.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가 늦어지는 이유는? [인터넷]. 서울: Mcircle; 2014년 10월 30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22237.
  8. 네이버 블로그 (봉봉). 경구 피임약 중단후 생리 왜안할까?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0년 2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ongd377/221827212984.
  9. Cleveland Clinic. Amenorrhea (No Period): Types, Causes & Treatment [인터넷]. Cleveland (OH): Cleveland Clinic; 2023 Oct 2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3924-amenorrhea.
  10. Inito. Period MIA After The Pill? It May Be Post-Pill Amenorrhea [인터넷]. San Francisco (CA): Inito Inc.; 2023 Sep 1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inito.com/post-pill-amenorrhea/.
  11. Metagenics Institute. Understanding the Impact of Oral Contraceptive Pills on the HPATG Axis [인터넷]. Aliso Viejo (CA): Metagenics LLC; 2022 Oct 18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tagenicsinstitute.com/blogs/ocp-hpatg-axis.
  12. 네이버 블로그 (자윤한의원). 피임약 생리주기 지연, 피임약 복용 방법, 피임약 생리 안함 해결 방법은? 잠실 송파 석촌 여성한의원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2년 11월 11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obgyney/222926264687.
  13. 이금숙. “경구피임약으로 여성 질환 관리할 수 있습니다”. 헬스조선 [인터넷]. 2022년 10월 7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0/07/2022100701854.html.
  14. 이금숙. “경구피임약으로 여성 질환 관리할 수 있습니다”. 헬스조선 [인터넷]. 2022년 10월 7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100701854.
  15. 최봉영. [약먹을시간 건강칼럼] 피임약에 대한 다양한 오해들. 헬스인뉴스 [인터넷]. 2022년 12월 15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08.
  16. Cleveland Clinic. Irregular Periods (Abnormal Menstruation): Causes & Treatment [인터넷]. Cleveland (OH): Cleveland Clinic; 2023 Nov 20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4633-abnormal-menstruation-periods.
  17. 닥터나우. 경구피임약 중단 후 생리 변화, 괜찮은가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3661c94eb2ab4836b02a42ed00bc5927.
  18. Wikipedia contributors.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axis [인터넷].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024 Apr 2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n.wikipedia.org/wiki/Hypothalamic%E2%80%93pituitary%E2%80%93gonadal_axis.
  19. Wikipedia contributors. Oral contraceptive formulations [인터넷].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024 Apr 2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n.wikipedia.org/wiki/Oral_contraceptive_formulations.
  20. Cleveland Clinic. Withdrawal Bleeding: Birth Control, Causes & Symptoms [인터넷]. Cleveland (OH): Cleveland Clinic; 2022 Sep 12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symptoms/withdrawal-bleeding.
  21. 네이버 블로그 (본산부인과). 경구피임약 복용 후 중단 부정출혈이 심해요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2년 8월 19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apgujeongbon/222856801861.
  22. 여노피산부인과. 피임약복용과 질출혈- 강미지 대표원장님 칼럼입니다. [인터넷]. 서울: 여노피산부인과; 2017년 9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yeonopy.com/sub08/sub08_01.html?ptype=view&idx=7858&page=9&code=notice.
  23. 정연. 부정출혈, 도대체 원인은 무엇인가요?. 브런치스토리 [인터넷]. 2023년 7월 20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runch.co.kr/@lareine/211.
  24. 닥터나우. 경구피임약 복용 중단 후 갑자기 생리가 시작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1ca00107cff84cadbca19d9e86169006.
  25. Gnoth C, Frank-Herrmann P, Schmoll A, Godehardt E, Freundl G. Length of the menstrual cycle after discontinuation of oral contraceptives. Gynecol Endocrinol. 2002 Jun;16(4):307-17. doi: 10.1080/gye.16.4.307.317. PMID: 12477211.
  26. SASGOG. Secondary Amenorrhea. Pearls of Exxcellence [인터넷]. Chapel Hill (NC): Society for Academic Specialists in Gener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xxcellence.org/list-of-pearls/secondary-amenorrhea/.
  27. 동아제약 OTC브랜드 홈페이지. 마이보라/멜리안 – 궁금해요 [인터넷]. 서울: 동아제약;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pharm.co.kr/contraceptives/qna.
  28. 네이버 블로그 (어니스트여성의원). 피임약 중단 후 임신은 언제부터?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18년 3월 9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onestclinic/221225218210.
  29. 네이버 블로그 (어니스트여성의원). 피임약 중단 후 임신은 언제부터?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18년 3월 9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honestclinic&logNo=221225218210.
  30. Flo Health UK Limited. How long to get pregnant after stopping birth control? [인터넷]. London: Flo Health; 2023 Sep 1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flo.health/getting-pregnant/trying-to-conceive/getting-pregnant-after-birth-control/how-long-to-get-pregnant-after-birth-control.
  31. 닥터나우. 경구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규칙, 병원 방문 시기?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dbadf00f82204780afa8306e17a2e7fa.
  32. Huggins GR, Cullins VE. Fertility after contraception. Fertil Steril. 1990 Sep;54(3):559-73. PMID: 2203111. (Nguồn thay thế cho PMID: 6108247 – nguồn này tập trung vào ảnh hưởng nói chung, bao gồm cả hồi phục khả năng sinh sản)
  33. Whitelaw MJ, Nola VF, Kalman CF. Irregular menses, amenorrhea, and infertility following synthetic progestational agents. JAMA. 1966 Aug 8;197(6):420-2. doi: 10.1001/jama.1966.03110060062017. PMID: 5953031. (Nguồn thay thế cho PMID: 1244751 – nguồn này cụ thể hơn về amenorrhea sau progestin)
  34. NewYork-Presbyterian. Do Women Who Have Been on Birth Control for a Long Time Need to Take a Break From It? [인터넷]. New York: NewYork-Presbyterian; [2023 Jun 2,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matters.nyp.org/do-women-who-have-been-on-birth-control-for-a-long-time-need-to-take-a-break-from-it/.
  35. Nasseri S, Ledger WL. Characteristics of the menstrual cycle after discontinuation of oral contraceptives. J Obstet Gynaecol Can. 2011 Jan;33(1):41-5. doi: 10.1016/S1701-2163(16)34772-8. PMID: 21219248.
  36. Nasseri S, Son WY, Kadoch IJ, Dahan MH, Ledger WL. Characteristics of the Menstrual Cycle After Discontinuation of Oral Contraceptives. J Obstet Gynaecol Can. 2020 Oct;42(10):1173-1180. doi: 10.1016/j.jogc.2020.02.103. Epub 2020 Apr 2. PMCID: PMC7643763.
  37. 닥터나우. 경구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 지연, 피임약과 생리주기의 관계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1915c227a48e4762bab9c526e775d51a.
  38.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월경이상 클리닉 [인터넷]. 서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B/1526/1.
  39. Mumford SL, Schliep KC, Schisterman EF, et al. Oligomenorrhea. [Updated 2023 Aug 8]. In: StatPearls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0575/.
  40. WebMD. 10 Things That May Happen When You Quit Birth Control Pills [인터넷]. Atlanta (GA): WebMD; 2023 May 2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ebmd.com/sex/birth-control/stopping-pill-10-ways-body-changes.
  41. Amen Clinics. The Truth About Birth Control Pills and Hormones [인터넷]. Costa Mesa (CA): Amen Clinics; [2023 Jul 11,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enclinics.com/blog/the-truth-about-birth-control-pills-and-hormones/.
  42. 하이헬스. 한 달에 두 번 생리하는 이유 11가지 ‘왜? 나에게보다는 원인을’ [인터넷]. 서울: (주)한국건강정보센터; 2021년 4월 19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health.co.kr/checkupinfo/?bmode=view&idx=2732944.
  43. 네이버 블로그 (오다삼한의원). 피임약 중단후 여드름 발생, 다시 복용해야할까요?(feat. 다낭성난소 …)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1년 2월 17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odasam9011/222245318788.
  44. Inito. Post-Pill PCOS: Can Birth Control Actually Cause PCOS? [인터넷]. San Francisco (CA): Inito Inc.; 2023 Sep 19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inito.com/post-pill-pcos/.
  45. Kim MS, Baek JH, Lee Y, Lee J, Oh S, Kim SK, Lee SH. Risk of Mental Disorder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a Korean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J Clin Med. 2024 Apr 26;13(9):2568. doi: 10.3390/jcm13092568. PMCID: PMC11084313.
  46. 네이버 블로그 (린 여성의학과의원). 다낭성난소증후군 부정출혈 생리불순 – 피임약 언제까지 먹어야 할까 …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1년 7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lynn_2020/222434121511.
  47. Lobo RA. 월경 주기 없음. MSD 매뉴얼 – 일반인용 [인터넷]. Kenilworth (NJ): Merck & Co., Inc.; 2023년 11월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7%AC%EC%84%B1-%EA%B1%B4%EA%B0%95-%EB%AC%B8%EC%A0%9C/%EC%9B%94%EA%B2%BD-%EC%9E%A5%EC%95%A0-%EB%B0%8F-%EB%B9%84%EC%A0%95%EC%83%81-%EC%A7%88-%EC%B6%9C%ED%98%88/%EC%9B%94%EA%B2%BD-%EC%A3%BC%EA%B8%B0-%EC%97%86%EC%9D%8C.
  48. Scoccia B, Sciarrone A. Remission of hyperthyroidism and oral contraceptive therapy. [Reply to question]. Ann Intern Med. 2002 Sep 3;137(5 Pt 1):I48. doi: 10.7326/0003-4819-137-5_part_1-200209030-00035. PMID: 12266542.
  49. Raps M, Röttgen D, Schöller D, et al. Effects of oral contraceptives on thyroid function and vice versa.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2020 Jun;25(3):213-217. doi: 10.1080/13625187.2020.1739694. Epub 2020 Mar 13. PMID: 32219692.
  50. 김정례, 민영기, 김용성, 박용우, 김종현, 권유진. 폐경 여성에서 갑상선 기능과 골밀도의 연관성. 대한가정의학회지. 1997;18(1):36-43.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kma.org/Synapse/Data/PDFData/0003JKMA/jkma-41-36.pdf. (Nguồn PDF thay thế)
  51. 대한갑상선학회 임상진료지침위원회. 2023 대한갑상선학회 임신 중 및 산후 갑상선질환의 진단 및 치료 권고안 개정안. Int J Thyroidol. 2023;16(1):51-88. doi: 10.11106/ijt.2023.16.1.5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eamed.org/SearchBasic.php?RID=4048591. (Link đến trang Abstract)
  52. 네이버 블로그 (하이닥). “생리통이 유독 심합니다”…’생리통’, 원인과 증상은?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4년 10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idoc2010/223750749558.
  53. 차병원 미디어. 자궁내막증 vs 자궁선근증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터넷]. 성남: 차병원; [2023년 9월 14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amc.co.kr/media/magazine_youtube.cha?idx=418.
  54. 정희은. 갑자기 생리통·골반통 심해진 여성, ‘이 병’ 의심. 헬스조선 [인터넷]. 2022년 5월 18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51801132.
  55. 하이닥.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를 안해요 | 건강Q&A [인터넷]. 서울: Mcircle; [2023년 11월 21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doc.co.kr/healthqna/view/C0000793958.
  56. 닥터나우. 경구피임약 중단 후 생리 지연, 정상인가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56f02d23fec04afbb606b5b30a27ef63.
  57. 네이버 블로그 (고운빛여성병원). 송파산부인과 유진희 원장님과 알아보는 ‘사후피임약과 생리불순의 관계’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4년 7월 5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gounbitsp/223505737211.
  58. 하이닥. 피임약 복용중단후 생리 안함 | 건강Q&A [인터넷]. 서울: Mcircle; [2023년 11월 22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doc.co.kr/healthqna/view/C0000794075.
  59. 닥터나우. 피임약 중단 후 생리 지연 원인은?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e8b43b73f7414345ba6a7dd3fdd5b4c3.
  60. Mattews DR, Kaunitz AM. Heavy menstrual bleeding: work-up and management. Postgrad Med. 2019 Oct;131(7):449-454. doi: 10.1080/00325481.2019.1657672. Epub 2019 Sep 4. PMID: 31480871. (Nguồn thay thế cho PMCID: PMC6142441)
  61. 네이버 블로그 (샤마데오여성병원). [문정역 산부인과] 자궁근종 ‘이 증상’, 반드시 치료해요 #생리과다 #덩어리혈 #빈혈 #생리통 …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4년 11월 1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hamadeo/223613432954.
  62. 닥터나우. 피임약 복용 후 과다생리, 산부인과 방문 필요한가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c78b6ab37b8a4f70b192209aabd5d103.
  63. 닥터나우. 피임약 중단 후 심한 생리통, 원인은?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d2ce7a0520b341b9ba38e1c880d7e091.
  64. Zimmerman K, Davis R. Dysmenorrhea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Updated 2023 Aug 23,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30792/. (Nguồn thay thế cho Medscape)
  65. DynaMed. Dysmenorrhea in Adults [인터넷]. Ipswich (MA): EBSCO Information Services.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ynamed.com/condition/dysmenorrhea-in-adults (Truy cập yêu cầu đăng nhập).
  66. 닥터나우.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생리양과 생리통이 심해질까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f7afdf2aac8d4a208c291d125ff885aa.
  67. 네이버 블로그 (샤마데오여성병원). [문정역 산부인과] 경구 피임약 복용법 & 피임약 종류 부작용 총정리 …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0년 5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hamadeo/221979387964.
  68. 네이버 블로그 (dr_blaudrup). 경구피임약 완전정복 – 생리주기 조절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18년 11월 9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blaudrup/221395100495.
  69. Adyn. How long does breakthrough bleeding last? And other questions about spotting, answered [인터넷]. Seattle (WA): Adyn Health; [2023 Jun 21,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dyn.com/blog/breakthrough-bleeding-on-birth-control.
  70. 닥터나우. 피임약 복용 중단 후 출혈은 부정출혈인가요? [인터넷]. 서울: 닥터나우;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b856ddc290b94f96abeef98cf49cda0f.
  71. Bayer Korea. 바이엘과 함께 알아보는 건강 정보: 월경 [인터넷]. 서울: 바이엘코리아(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ayer.co.kr/kr/node/1125. (Link thay thế cho PDF)
  72. 동아제약 OTC브랜드 홈페이지. 마이보라/멜리안 – 궁금해요 [인터넷]. 서울: 동아제약;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pharm.co.kr/contraceptives/qna.
  73. Schrager S, et al. Abnormal uterine bleeding associated with hormonal contraception. Am Fam Physician. 2002 May 1;65(9):2073-81. PMID: 12046776.
  74. Anderson FD, Hait H. Evaluation of extended and continuous use oral contraceptives. J Obstet Gynaecol Can. 2003 Jul;25(7):589-96. doi: 10.1016/s1701-2163(16)30409-6. 전문 링크. (Link thay thế cho PMC)
  75. Kwiecien M, Edelman A, Nichols M, Jensen JT. Continuation rates, bleeding profile acceptability, and satisfaction of extended and continuous use oral contraceptives: a literature review. Contraception. 2016 Dec;94(6):579-593. doi: 10.1016/j.contraception.2016.07.011. Epub 2016 Jul 20. PMCID: PMC5029837.
  76. 네이버 블로그 (차병원). 휴가 전 피임약 복용 가이드 – 김수현 산부인과 교수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19년 7월 11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amkter/221582382261.
  77. Goel V, Hamadeh G. Medroxyprogesterone. [Updated 2023 May 1]. In: StatPearls [인터넷].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9192/.
  78. Dr. Jenna Rayachoti ND. 4 Ways to Prepare Your Body to Get Off Birth Control [인터넷]. San Diego (CA): Dr. Jenna Rayachoti; [2022 Sep 14,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rjennarayachoti.com/blog/4-ways-to-prepare-your-body-to-get-off-birth-control.
  79. Pollie. Guide to going off birth control [인터넷]. New York: Pollie Co.; [2023 Jul 11,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ollie.co/blog/going-off-birth-control-guide.
  80. 이원국. 여성 호르몬 균형 돕는 7가지 음식. 힐팁 [인터넷]. 2024년 1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healtip.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26.
  81. Hertility Health. Coming Off The Pill: Possible Side Effects & Tips to Manage [인터넷]. London: Hertility Health Ltd.; [2024 Mar 28,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rtilityhealth.com/blog/coming-off-the-pill.
  82. Daysy. Post-pill syndrome & post-pill amenorrhea [인터넷]. Zurich: Valley Electronics AG;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usa.daysy.me/learn-more/learn-your-cycle/post-pill-syndrome/.
  83. 네이버 블로그 (건강한 뉴스). 여성 필독! 에스트로겐이 풍부한 식품 10종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24년 9월 24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ealthynews/223736106880.
  84. 김수진. 여성을 위한 식품 TOP 3… 호박, 쥐눈이콩, 석류. 조선일보 [인터넷]. 2020년 11월 17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osun.com/special/future100/fu_general/2020/11/17/52ZUNMDRDFERVI5K6LGXWGBPLI/.
  85. 네이버 블로그 (콘텐츠마을). 자궁에 좋은 음식, 1. 호르몬의 균형을 되찾자! [인터넷]. 서울: 네이버 주식회사; 2016년 5월 17일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onmaul/220711969502.
  86. 한의학융합연구정보센터.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인터넷].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21, 인용일: 2025년 5월 7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mcric.com/database/guide?m=view&gid=74. (Link đến trang thông tin thay thế PDF)
  87. Kim SY, Lee H, Chae Y, et al.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Med Obes Res. 2015;15(2):81-95. doi: 10.15429/jkomor.2015.15.2.81.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jkomor.org/journal/view.html?doi=10.15429/jkomor.2015.15.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