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유두 종류, 함몰유두부터 건강 신호까지: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2025년 최신 의학 정보)

유두와 유륜은 단순한 신체 부위를 넘어, 우리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이자 생명의 시작인 모유 수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신의 유두 모양, 크기, 색깔에 대해 남몰래 고민하거나 갑작스러운 변화에 불안을 느끼곤 합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독자 여러분의 이러한 궁금증과 불안감을 해소해 드리고자, 최신 의학 연구와 국내외 최고 의료 기관의 자문을 바탕으로 이 종합 안내서를 준비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유두의 다양한 종류가 지극히 정상적인 신체적 다양성임을 이해하고, 건강의 이상 신호를 정확히 포착하며, 모유 수유와 관련된 어려움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이 기사의 ‘함몰유두’ 등급 분류 및 정의에 관한 내용은 대한민국 최고 의료 기관인 서울아산병원111 및 서울대학교병원10에서 제공하는 의학 정보에 근거합니다.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유두 분비물’의 병리학적 원인과 진단에 대한 권장 사항은 질병관리청18의 공식 지침을 따릅니다.
  • 국제 의학 연구 (PubMed 등재): 유두 형태와 모유 수유의 연관성7, 함몰유두 개선을 위한 중재 효과17 등은 동료 심사를 거친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합니다.

핵심 요약

  • 다양성은 정상입니다: 돌출형, 편평형, 함몰형 등 8가지 주요 유두 유형은 모두 정상적인 신체적 변이입니다. 크기, 색깔, 유두털, 몽고메리 결절 역시 자연스러운 특징입니다.2
  • 함몰유두는 등급별 관리가 중요합니다: 함몰유두는 심각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뉘며, 등급에 따라 비수술적 방법부터 보존적 또는 절제 방식의 수술까지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3
  • 유두는 건강의 신호등입니다: 갑자기 한쪽 유두만 함몰되거나, 혈성 분비물이 나오거나, 피부가 장기간 낫지 않는 변화는 유방암 등 심각한 질환의 경고일 수 있으므로 즉시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1219
  • 모유 수유의 어려움은 해결 가능합니다: 유두 모양 때문에 모유 수유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유두 보호기나 유축기 같은 도구와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대부분 극복할 수 있습니다.4

1부: 유두의 해부학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

우리 몸의 유두-유륜 복합체(Nipple-Areolar Complex, NAC)는 단순한 피부 조직 그 이상입니다. 생물학적으로, 그리고 감각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문화된 구조입니다. 그 구조와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몸을 긍정하고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유두의 구조와 기능: 생명의 통로

해부학적으로 유두(유두)는 유방 중앙에 돌출된 조직으로, 모유를 만드는 유선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관(유관)이 모여 끝나는 지점입니다.1 유두 주변의 어둡게 착색된 피부 영역을 유륜(유륜)이라고 합니다. 유륜 표면에는 ‘몽고메리선’이라는 작은 돌기들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윤활 및 보습 작용을 하는 지질액(lipoid fluid)을 분비하여 유두와 유륜을 보호합니다.2 이 복합체의 가장 핵심적인 생물학적 기능은 신생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모유 수유입니다. 또한, 신경 말단이 풍부하게 분포하여 온도 변화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단단해지고 돌출되는 등 감각적, 성적 자극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3

지극히 정상적인 8가지 유두 유형

유두의 모양, 크기, 색깔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며,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생물학적 특징입니다. 국제 의학 정보 매체인 헬스라인(Healthline) 등에서는 의학적으로 8가지 주요 유형을 소개하며, 이는 크게 4가지 기본 형태의 조합으로 나타납니다.

  • 돌출형 (Protruding): 유두가 유륜 표면 위로 솟아 있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 편평형 (Flat): 유두가 거의 돌출되지 않고 유륜 표면과 높이가 비슷하며, 자극을 주어도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4
  • 함몰형 (Inverted): 유두가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으로 말려 들어간 형태입니다.2
  • 팽창형 (Puffy): 유륜과 유두 전체가 유방 위로 부풀어 올라 작은 언덕처럼 보이는 형태입니다.5
  • 기타 (Unclassified): 다유두증(유두가 여러 개)이나 분리형 유두(유두가 갈라진 모양) 등 드문 변이도 포함됩니다.2

이러한 분류는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다양성을 보여주며, 특정 형태가 다른 형태보다 우월하거나 비정상적인 것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유두 주변에 털이 자라거나 몽고메리 결절이 오돌토돌하게 보이는 것 역시 완전히 정상적인 현상입니다.2

유두 크기와 변화에 대한 진실

유두-유륜 복합체의 크기는 개인마다 큰 차이를 보입니다. 2009년 3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평균 유륜 직경 4 cm, 유두 직경 1.3 cm, 유두 높이 0.9 cm로 나타났습니다.2 2021년 ‘인간 수유 저널(Human Lactation)’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평균 유두 직경이 약 2.3 cm, 높이는 약 0.9 cm로 약간 더 큰 수치를 보이기도 했습니다.7 국내 연구에서도 인체 측정 및 브래지어 설계를 위해 상세한 계측 자료를 활용합니다.8

중요한 점은 유두의 크기, 모양, 색깔이 평생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월경 주기, 임신, 폐경과 관련된 호르몬 변화가 주된 원인입니다.2 특히 임신 중에는 유두와 유륜이 더 커지고 돌출되며 색이 짙어지는데, 이는 모유 수유를 준비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생리적 변화입니다.2


2부: 함몰유두(Inverted Nipple) 심층 분석: 원인, 등급, 해결책

함몰유두는 유두가 돌출되지 않고 유방 안쪽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비교적 흔한 해부학적 변이로, 미용적 고민을 넘어 위생 문제나 모유 수유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함몰유두, 얼마나 흔한가요?

함몰유두(함몰유두)는 유두가 유륜 표면과 평평하거나 안으로 들어간 해부학적 상태를 말합니다.3 국제 연구에 따르면 여성 인구의 약 10%에서 20%가 이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2 국내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약 3%에서 나타난다고 하며,11 다른 자료에서는 첫 출산 산모의 10%가 함몰유두를 가지고 있다고 인용하기도 합니다.4

함몰유두의 3단계 등급 분류법

함몰유두는 그 심각성에 따라 치료 방향이 결정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10과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유수 병원을 포함한 전 세계 의료 전문가들은 일관된 3단계 등급 분류 체계를 사용합니다.

  • 1등급 (Grade 1): 가장 경미한 단계입니다. 손으로 가볍게 당기거나 주변 유륜을 누르면 유두가 쉽게 밖으로 나옵니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나온 유두가 한동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입니다.3 이 경우 대개 모유 수유에는 큰 지장이 없습니다.3
  • 2등급 (Grade 2): 손으로 당기면 유두가 나오기는 하지만 1등급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손을 놓는 즉시 유두가 다시 안으로 말려 들어간다는 것입니다.12 2등급은 모유 수유에 어느 정도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 3등급 (Grade 3): 가장 심한 형태입니다. 유두가 깊고 단단하게 함몰되어 있어 손으로 당겨도 거의 또는 전혀 나오지 않습니다.3 이는 유두 아래의 섬유 조직과 유관이 심하게 짧고 단단하게 유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의료적 개입 없이는 모유 수유가 거의 불가능합니다.3

함몰유두는 왜 생길까요?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경고 신호

함몰유두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인 경우와 후천적인 경우로 나뉩니다.

  • 선천적 원인 (Congenital): 가장 흔한 원인으로, 태어날 때부터 함몰유두인 경우입니다. 유두 아래의 유관이 충분히 길게 자라지 못했거나, 유두를 잡아당기는 결합 조직(섬유 띠)이 비정상적으로 굵고 뻣뻣하게 발달했기 때문입니다.3
  • 후천적 원인 (Acquired):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원래 정상이었던 유두가 어느 날 갑자기 안으로 말려 들어갔다면, 이는 반드시 의학적 검사가 필요한 경고 신호입니다. 후천적 원인으로는 유방 부위의 외상,12 유관 확장증이라는 양성 질환,3 유방염이나 감염,12 혹은 유방 수술 후 생긴 흉터12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가능성은 유방암입니다. 유두 아래에 생긴 종양이 주변 조직을 끌어당겨 유두 함몰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12 따라서 유두 모양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반드시 유방외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함몰유두,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어떤 방법으로 개입할지는 함몰유두의 등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함몰 정도가 심할수록(등급이 높을수록) 아래쪽 섬유 조직의 유착이 복잡하고 강하기 때문에, 이를 풀어주기 위한 더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간단한 자가 진단, ‘핀치 테스트(Pinch Test)’: 엄지와 검지로 유륜 양옆을 가볍게 눌러보는 방법입니다. 이때 유두가 밖으로 돌출되면 정상 반응이지만,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간다면 함몰유두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4
  • 비수술적 방법 (1등급 및 2등급 보조): 호프만 운동(Hoffman exercises)이나 거꾸로 된 주사기를 이용한 방법은 유두 상태를 개선하고 모유 수유 성공률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17 또한, ‘유두 교정기(Nipple formers)’라는 부드러운 실리콘 디스크를 브래지어 안에 착용하여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압력을 가함으로써 유두를 점차 밖으로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4
  • 수술적 치료 (등급별 접근):
    • 1등급: 유착이 심하지 않아 약 2mm의 최소 절개를 통해 유두를 밖으로 꺼내준 뒤 다시 들어가지 않도록 쌈지봉합(purse string suture)으로 고정하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 가능합니다.15
    • 2등급: 유두 아래의 단단한 섬유 조직을 풀어주거나 절제하는 과정(섬유화 이완술)이 추가로 필요하며, 이후 쌈지봉합으로 마무리합니다.15
    • 3등급: 가장 복잡한 경우로, 재발을 막고 미용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유착된 섬유 띠를 완전히 풀어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두를 끌어당기는 주원인인 유관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절제(유관절제)해야 합니다.3 이 등급에서 유관을 무리하게 보존하려 하면 재발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수술받은 쪽 유방의 모유 수유 기능이 영구적으로 상실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함몰유두의 등급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등급에 따라 치료법이 명확히 달라지며, 특히 3등급의 경우 모유 수유 기능 보존 여부를 신중히 고려하여 수술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유엔비외과의원 등 국내 유방외과 전문 클리닉의 공통된 소견15

표 1: 함몰유두 등급별 특징 및 치료법 비교

등급 (Grade) 임상적 특징 기능적 영향 주요 치료법
1등급 손으로 쉽게 당겨지며, 돌출 상태를 잠시 유지함3 모유 수유에 거의 영향 없음. 위생 관리에 약간의 어려움 가능3 비수술적 방법(호프만 운동, 교정기)4 또는 간단한 쌈지봉합술
2등급 손으로 당기면 나오지만, 놓으면 즉시 들어감10 모유 수유에 어려움 유발 가능. 위생 문제 및 감염 위험 증가3 수술적 치료 (섬유조직 이완술 + 쌈지봉합술)15
3등급 손으로 당겨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 심하게 유착됨3 의료 개입 없이는 모유 수유 불가능. 위생 및 감염 위험 높음3 복합적 수술 (섬유조직 이완술 + 유관 절제술 + 조직 보충 등)3

3부: 유두가 보내는 건강 경고 신호

유두는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비추는 거울과 같습니다. 분비물, 통증, 피부 변화 등은 가벼운 문제부터 심각한 질병까지 다양한 상태를 암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호를 제때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두 분비물: 괜찮은 걸까요, 병원에 가야 할까요?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유두 분비물은 유방 종괴(멍울), 유방 통증과 함께 환자들이 유방 클리닉을 찾는 3대 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18 분비물은 정상적인 생리적 현상일 수도, 질병의 징후인 병적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 생리적 분비물: 보통 ▲양쪽 유방에서 ▲여러 유관을 통해 나오며 ▲유두를 짜거나 자극했을 때만 나옵니다. 색깔은 젖과 비슷한 우윳빛이거나 맑은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 수유(수유 중단 후 1년까지도 가능), 월경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 꽉 끼는 옷에 의한 자극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18
  • 병적 분비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면 의학적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극 없이 저절로 흘러나와 속옷에 묻고 ▲한쪽 유방, 한 개의 유관에서만 나오며 ▲특히 피가 섞인 경우(분홍색, 붉은색, 짙은 갈색)입니다.19

분비물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항우울제, 위장약, 고혈압약, 피임약 등 특정 약물의 부작용일 수 있으며,18 뇌하수체 종양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같은 전신 질환의 영향일 수도 있습니다.18 유방 자체의 문제로는 혈성 분비물의 가장 흔한 양성 원인인 ‘관내 유두종’이 있으며,18 드물지만 유방암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비록 비정상적 분비물의 5-10%만이 유방암과 관련되지만,18 혈성 분비물은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 심각한 가능성을 배제해야 합니다.

표 2: 유두 분비물 색깔과 양상에 따른 자가 점검 가이드

분비물 특징 주요 의심 원인 권장 조치
맑거나 우윳빛, 옅은 노란색; 양측성; 짜야 나옴19 생리적 현상 (호르몬), 임신/수유, 약물 부작용18 상태 관찰. 약물 복용 중이라면 주치의와 상담.
녹색, 갈색; 주로 양측성; 끈적한 질감18 유선관 확장증 (양성 질환)3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 방문 필요.
고름 (노란색/녹색); 주로 단측성; 부기, 열감, 통증 동반18 유방염, 농양 등 감염성 질환18 즉시 유방외과 전문의 진료 필요.
혈성 (분홍색, 붉은색), 짙은 갈색; 주로 단측성; 저절로 나옴19 관내 유두종 (가장 흔한 양성 원인), 유방암 (반드시 감별 필요)18 즉시 유방외과 전문의 진료 및 정밀 검사 필요.

분비물 외에 놓치지 말아야 할 다른 경고 신호들

핵심은 ‘평소와 다른 갑작스러운 변화’입니다.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 갑작스러운 유두 함몰: 2부에서 강조했듯이, 원래 정상이었던 유두가 갑자기 들어가는 것은 종양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경고 신호입니다.12
  • 지속적인 유두 통증: 월경 주기와 무관한 통증이 계속되거나, 수유 중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칸디다 등 곰팡이 감염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9
  • 낫지 않는 피부 변화: 유두나 유륜의 피부가 붉어지거나, 번들거리거나, 가렵고, 벗겨지는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습진9이나 드물지만 심각한 ‘유방 파제트병(Paget’s disease)’이라는 특수암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와의 연관성: 혈성 분비물의 흔한 원인인 관내 유두종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PV는 자궁경부암 등 다른 암의 주원인이기도 하므로,22 HPV 예방 및 검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4부: 유두 모양과 성공적인 모유 수유의 모든 것

유두의 형태는 특히 출산 초기에 모유 수유의 경험과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모양의 유두를 가졌든, 올바른 지식과 도구로 대부분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젖을 물기 힘들어하는 이유

아기가 유방을 올바르게 무는 ‘래치(latch)’는 효과적이고 통증 없는 수유의 핵심입니다.

  • 편평/함몰 유두: 가장 흔한 어려움의 원인입니다. 유두가 충분히 돌출되지 않으면 아기의 입천장 깊숙한 곳을 자극하여 빨기 반사를 유도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아기가 젖 물기를 시작하기 어려워하거나, 얕게 물어 효과적으로 젖을 빨지 못하게 됩니다.4 유방이 젖으로 팽팽해지는 ‘젖몸살’이 오면 유두가 더욱 평평해져 상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4
  • 크거나 긴 유두: 흔한 생각과 달리, 유두가 너무 크거나 길어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기가 유륜까지 깊게 물지 못하고 유두 끝만 빨게 되어 젖 전달이 비효율적이고 엄마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너무 긴 유두가 아기 목구멍을 깊이 자극해 구역질 반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9

2021년 한 연구는 넓고 긴 유두를 가진 경우 아기가 젖을 물기 어려울 위험이, 넓은 유두와 단단한 유륜을 가진 경우 엄마가 유두 통증을 겪을 위험이 커진다는 구체적인 연관성을 밝히기도 했습니다.7

통증과 상처의 악순환, 그리고 해결책

젖 물기의 어려움은 부정적인 악순환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해부학적 어려움 → 잘못된 젖 물기 → 엄마의 극심한 유두 통증과 상처(유두균열) → 모유 수유 조기 중단. 실제로 심한 유두 통증과 상처는 산모들이 모유 수유를 일찍 포기하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23 연구에 따르면 유두 통증/균열 문제는 출산 후 첫 달에 매우 흔하며,24 이 통증은 생후 6-8주 내 모유 수유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25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이 모유 수유 지원의 핵심 목표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수유 직전 준비: 수유 직전에 손으로 유두를 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유축기를 몇 분간 사용하거나, 차가운 수건을 잠시 대어 유두를 돌출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4
  • 보조 도구 활용:
    • 유두 보호기 (Nipple shields): 엄마의 유두 위에 씌우는 얇은 실리콘 캡입니다. 아기에게 더 크고 단단하며 물기 쉬운 목표물을 제공하여 젖 물기를 돕습니다. 사용 전 반드시 모유 수유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4
    • 유축기 (Breast pumps): 유두를 밖으로 당겨주는 역할 외에도, 아기가 효과적으로 젖을 빨지 못할 경우 유축을 통해 모유 생산량을 유지하고 아기에게 모유를 공급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26
  • 전문가의 도움: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는 호프만 운동이나 역주사기법 같은 중재가 편평/함몰 유두를 가진 산모의 유두 모양을 개선하고 모유 수유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17 무엇보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능한 한 빨리 모유 수유 전문가나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 원인을 찾고 해결하는 것이 성공적인 모유 수유의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9

자주 묻는 질문 (FAQ)

Q. 유두에 털이 나는데, 정상인가요?

A. 네, 완전히 정상입니다. 유륜 주위의 모낭에서 몇 가닥의 털이 자라는 것은 매우 흔한 현상이며 건강상의 문제가 아닙니다. 미용적으로 신경 쓰인다면 족집게로 뽑거나 조심스럽게 자를 수 있지만, 그대로 두어도 괜찮습니다.2

Q. 함몰유두 수술을 하면 모유 수유를 전혀 못하게 되나요?

A.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는 함몰 등급과 수술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1등급이나 2등급의 경우, 유관을 보존하는 수술법을 통해 모유 수유 기능을 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유착이 매우 심한 3등급의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유관을 절제해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유방으로는 수유가 어려워집니다.3 수술 전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술의 목표와 결과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Q. 유두와 유륜 색깔이 너무 어두워서 고민입니다. 미백이 가능한가요?

A. 유두 색깔은 멜라닌 색소에 의해 결정되며, 옅은 분홍색부터 짙은 갈색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이는 인종, 유전, 그리고 임신과 같은 호르몬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질병이 아닙니다.5 일부 미용 시술이 존재하지만, 의학적으로는 모든 색깔의 유두가 정상이고 건강하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적 미의 기준이 건강의 척도는 아닙니다. 만약 색깔의 변화가 가려움증, 통증, 피부 질감의 변화와 동반된다면 이는 다른 문제일 수 있으므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우리의 유두는 각기 다른 모양과 크기, 색깔을 지닌 고유한 신체 부위이며, 이러한 다양성은 지극히 정상적입니다. 사회가 만들어낸 획일적인 미의 기준에 얽매이기보다는,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긍정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동시에 유두는 중요한 건강 정보를 전달하는 창구이기도 합니다. 갑작스러운 함몰, 혈성 분비물, 낫지 않는 피부 변화와 같은 경고 신호를 인지하고 신속하게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함몰유두나 편평유두로 인해 모유 수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마십시오. 올바른 정보와 적절한 도구, 전문가의 지원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KRHOW는 앞으로도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를 통해 여러분이 자신의 몸을 더 잘 이해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면책 조항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건강 관련 우려 사항이 있거나 치료에 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유두(Nipple ) | 인체정보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252
  2. Nipple Facts: 24 Things to Know About Types, Sizes, and Bump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line.com/health/nipple-facts-male-and-female
  3. Inverted Nipple Surgery in Toronto,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theminorsurgerycenter.com/conditions/inverted-nipples
  4. Nipple Types and Breastfeeding |Medela,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ela.com/en-nz/breastfeeding-pumping/blog/breastfeeding-challenges/breastfeeding-with-flat-inverted-or-pierced-nipples
  5. Are My Nipples Normal? – O Positiv,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opositiv.com/blogs/blog/are-my-nipples-normal
  6. 예쁨을 무한대로, 유두성형 – 에이트성형외과,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ightprs.com/page/nipple
  7. Associations Between Variations in Breast Anatomy and Early Breastfeeding Challenges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2484716/
  8. 20대와 40대 여성의 유방형태 분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r.re.kr/upload/pdf/khea-34-2-85-6.pdf
  9. BREAST AND NIPPLE CONDITIONS –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 NCBI Bookshelf,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53481/
  10. 진료질환정보( 함몰유두 [inverted nipple] ) |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56
  11. 함몰 유두(Inverted nipple)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53
  12. Inverted Nipple Correction – Saber Plastic Surger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aberplasticsurgery.com/inverted-nipple-plastic-surgery/
  13. child.snuh.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56#:~:text=%2D%201%EB%93%B1%EA%B8%89%3A%20%ED%95%A8%EB%AA%B0%EB%90%9C%20%EC%9C%A0%EB%91%90,%EA%B7%B8%EB%A6%AC%EA%B3%A0%20%EA%BA%BC%EB%82%B4%EB%A9%B4%20%EB%B0%94%EB%A1%9C%20%EB%93%A4%EC%96%B4%EA%B0%80%EB%B2%84%EB%A6%B0%EB%8B%A4.
  14. 함몰유두수술 – 메디우먼여성의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ediwoman.com/wave/03/03
  15. 함몰유두 – 유엔비외과의원ㅣ주간응급 외과수술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ww.uenvsurgery.com/sub/r20/s205020.php
  16. 제 3장. 유두의 종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mc.or.kr/busok/voc/ch3.php
  17. The effect of interventions on flat and inverted nipple on breastfeeding: A systematic review,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7558567/
  18. 유두분비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685
  19. [건강검진정보]유두 분비물 나온다면 유방암일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ihealth.co.kr/checkupinfo/?bmode=view&idx=2235169
  20. 위암 – 울산지부 – 한국건강관리협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ulsan.kahp.or.kr/home/kahp_kor/rschYard/hlthInfo/7Cnc.jsp
  21. Health Renaissance Letter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care.cmcseoul.or.kr/userfiles/file/20100712blc_01.pdf
  22. 인유두종 바이러스 – 나무위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u.wiki/w/%EC%9D%B8%EC%9C%A0%EB%91%90%EC%A2%85%20%EB%B0%94%EC%9D%B4%EB%9F%AC%EC%8A%A4
  23. Initial nipple damages in breastfeeding women: analysis of photographic images and clinical associations – PubMed Central,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04699/
  24.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experienced by lactating mothers during the first six months in Kinshasa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55666/
  25. Postpartum Nipple Symptoms: Risk Factors and Dermatologic Characterization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3337281/
  26. 유두의 종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hmc.or.kr/baby/ch3.htm
  27. 유두 – 나무위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namu.wiki/w/%EC%9C%A0%EB%91%90
  28. 임원명단 –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m.ksaps.or.kr/about/staff.php
  29. 이사진 – 사단법인 대한성형외과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aprs.or.kr/about/committee.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