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질 누공의 근본 원인과 효과적인 치료법: 고통받는 여성을 위한 심층 가이드

질 누공은 여성에게 신체적 불편함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으로도 큰 고통을 안겨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소변이나 대변이 질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새어 나오는 증상은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고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립니다. KRHOW.COM은 질 누공으로 인해 말 못 할 고민을 안고 계신 많은 여성을 위해, 질 누공의 정확한 정의와 다양한 유형부터 발생 원인, 그리고 최신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깊이 있으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본 글을 통해 질 누공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적절한 대처와 치료를 통해 건강한 삶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핵심 요약

  • 질 누공은 질벽과 방광, 요관, 요도, 직장 등 인접 장기 사이에 비정상적인 통로가 형성되는 질환으로, 소변이나 대변 등이 질을 통해 배출되는 증상을 유발합니다12.
  • 질 누공은 연결된 장기에 따라 다양한 비뇨생식기 누공 및 소화기계 누공으로 분류되며,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와 크기, 주변 조직 상태 파악이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1.
  •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만에서 10만 명의 여성이 주로 산과적 원인으로 질 누공을 경험하며14, 선진국에서는 부인과 수술 합병증이 주된 원인으로 보고됩니다1.
  • 국내 질 누공의 정확한 최신 유병률 및 원인별 발생 빈도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부족한 실정이나,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질 누공의 이해

질 누공은 여성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정확한 정보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질 누공이 무엇인지, 어떤 유형이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여성이 이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질 누공 정복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질 누공의 정의 및 유형

질 누공(Vaginal fistula)은 질벽과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는 다른 골반 장기, 예를 들어 방광, 요관, 요도와 같은 비뇨기계 장기 또는 직장, 대장, 소장과 같은 소화기계 장기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통로(구멍)를 의미합니다1. 이러한 누공은 주로 조직의 손상이나 혈액 공급 차단으로 인한 괴사로 인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소변, 대변, 또는 가스와 같은 체내 분비물이 질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증상을 유발합니다2. 이는 환자에게 신체적 불편감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고통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1.

질 누공은 연결된 장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요 유형으로 분류됩니다1.

비뇨생식기 누공 (Genitourinary Fistulas)

질과 비뇨기계 장기 사이에 형성되는 누공입니다2.

  • 방광질 누공 (Vesicovaginal Fistula, VVF): 방광과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질 누공 중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입니다1. 이 경우 소변이 지속적으로 질을 통해 누출되어 요실금을 유발합니다1.
  • 요관질 누공 (Ureterovaginal Fistula):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관인 요관과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되는 경우입니다1. 이로 인해 소변이 방광을 거치지 않고 질로 직접 흐르게 됩니다1.
  • 요도질 누공 (Urethrovaginal Fistula): 방광에서 몸 밖으로 소변을 배출하는 통로인 요도와 질 사이에 누공이 발생하는 유형입니다1.

소화기계 누공 (Digestive System Fistulas)

질과 소화기계 장기 사이에 형성되는 누공입니다2.

  • 직장질 누공 (Rectovaginal Fistula, RVF): 직장과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되어 대변이나 가스가 질을 통해 배출될 수 있습니다1. 이는 산과적 외상이나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6. 따라서 직장질 누공의 치료 시에는 누공 자체의 치료와 함께 원인 질환, 예를 들어 크론병의 경우 염증 조절이 병행되어야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7.
  • 결장질 누공 (Colovaginal Fistula): 결장(대장)과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되는 경우로, 하부 생식기 누공 중 수술적 교정이 필요한 세 번째로 흔한 유형으로 보고되기도 합니다1.
  • 소장질 누공 (Enterovaginal Fistula): 소장과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되는 유형입니다1.

누공을 단순히 연결된 장기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넘어, 누공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예: 방광 경부, 방광 삼각부, 질 상부 또는 하부), 크기, 개수, 그리고 주변 조직의 상태(염증, 섬유화, 방사선 조사 여부 등)를 파악하는 것은 치료 방법 선택과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합니다1. 예를 들어, 방광질 누공이라도 누공의 위치가 방광 경부에 가까운지, 아니면 방광 체부에 있는지, 크기가 작은지 큰지에 따라 질식 접근법이 가능할 수도 있고, 복식 접근이나 조직 이식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9. 또한,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누공은 주변 조직의 혈류가 좋지 않아 치유가 어렵고 재발률이 높을 수 있으므로1112, 이러한 세부 사항을 진단 과정에서 면밀히 평가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질 누공의 역학: 발생률 및 유병률 개요

질 누공의 발생률과 유병률은 지역 및 원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전 세계적 현황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만에서 10만 명의 여성이 주로 산과적 원인으로 인해 질 누공을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아시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는 치료받지 못한 환자가 2백만 명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4. 산과적 누공은 조기 임신, 유해한 전통 관습, 그리고 시기적절한 응급 산과 진료 접근성 부족과 같은 예방 가능한 요인들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15. UNFPA의 2024년 사무총장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주의적 위기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새로운 위협 요인들이 산과적 누공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18.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87,000명의 여성이 임신 및 출산 관련 원인으로 사망했으며, 이 중 약 95%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은 해당 지역에서 여전히 산과적 누공 발생 위험이 높음을 시사합니다16.

원인별 발생 빈도

  • 산과적 누공: 개발도상국에서 질 누공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장시간의 분만 지연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14.
  • 의인성 누공: 선진국에서는 부인과 수술, 특히 자궁절제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1. 자궁절제술 후 방광질 누공 발생률은 약 0.1~0.2% (1,000건당 1~2건)로 보고됩니다13. 최근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도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함에 따라 의인성 산과적 누공 발생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21.
  • 방사선 유발 누공: 골반 부위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하며, 발생률은 연구 집단 및 방사선 치료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약 1~13%로 다양하게 보고됩니다22.
  • 크론병 관련 누공: 크론병 환자의 약 20~40%에서 누공이 발생하며26, 이 중 직장질 누공은 약 9%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8. 국내 연구에서도 크론병 환자의 26.1%가 항문주위병변(치루, 농양 등 포함)을 동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27.

국내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의 공개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질 누공의 정확한 유병률 및 원인별 발생 빈도에 대한 최신 분석 보고서나 연구 논문은 현재 확보된 자료에서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습니다2829. 전 세계적으로,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산과적 누공의 심각성은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 질 누공의 구체적인 역학, 특히 의인성, 염증성, 방사선 유발성 누공 등에 대한 체계적인 최신 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는 국내 실정에 맞는 예방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HIRA 데이터 등을 활용한 심층적인 국내 역학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주요 질 누공 유형별 특징, 주요 증상 및 일차적 원인 요약

질 누공은 그 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징과 증상을 나타내며, 발생 원인 또한 다릅니다. 다음 표는 주요 질 누공 유형별 핵심 정보를 요약한 것입니다.

Table 1: 질 누공의 유형별 특징, 주요 증상 및 일차적 원인
누공 유형 (Fistula Type) 해부학적 연결 (Anatomical Connection) 주요 임상 증상 (Main Clinical Symptoms) 주요 발생 원인 (Primary Causes) 관련 자료 (References)
방광질 누공 (Vesicovaginal Fistula, VVF) 방광 – 질 (Bladder – Vagina) 지속적인 요실금, 질을 통한 소변 누출, 잦은 요로 감염, 질 자극 및 악취 부인과 수술 (특히 자궁절제술), 산과적 외상 (장시간 분만), 방사선 치료, 골반암 1
요관질 누공 (Ureterovaginal Fistula) 요관 – 질 (Ureter – Vagina) 지속적인 요실금 (정상 배뇨 가능할 수도 있음), 질을 통한 소변 누출 부인과 수술 (자궁절제술 등), 골반 수술 중 요관 손상, 방사선 치료 1
요도질 누공 (Urethrovaginal Fistula) 요도 – 질 (Urethra – Vagina) 배뇨 시 또는 지속적인 질을 통한 소변 누출, 요실금, 잦은 요로 감염 질 내 이물질, 산부인과 수술, 산과적 외상 1
직장질 누공 (Rectovaginal Fistula, RVF) 직장 – 질 (Rectum – Vagina) 질을 통한 대변 또는 가스 배출, 악취 나는 질 분비물, 반복적인 질염 또는 요로 감염, 성교통 산과적 외상 (분만 중 열상), 크론병, 골반 부위 방사선 치료, 직장 또는 항문 수술 합병증, 암 1
결장질 누공 (Colovaginal Fistula) 결장 – 질 (Colon – Vagina) 질을 통한 대변 또는 가스 배출, 악취 나는 질 분비물 게실염 합병증, 크론병, 대장암, 대장 수술 합병증, 방사선 치료 1
소장질 누공 (Enterovaginal Fistula) 소장 – 질 (Small Intestine – Vagina) 질을 통한 장 내용물 배출, 악취 나는 질 분비물, 영양실조, 체중 감소 크론병, 골반 수술 합병증, 복강 내 농양, 방사선 치료 1

II. 질 누공의 주요 원인

질 누공은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통해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산과적 외상, 수술 합병증, 염증성 장질환, 암 및 방사선 치료, 그리고 감염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A. 산과적 외상 (Obstetric Trauma)

산과적 외상은 전 세계적으로 질 누공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특히 의료 자원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 여성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14. 선진국에서는 발생 빈도가 낮지만, 여전히 난산이나 분만 관련 합병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3.

장시간 분만 및 난산의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of Prolonged/Obstructed Labor)

장시간 분만 또는 난산 시,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뼈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질, 방광, 직장 사이의 연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됩니다2. 이러한 허혈 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조직은 괴사(necrosis)하게 되고, 괴사된 조직이 결국 탈락하면서 비정상적인 통로, 즉 누공이 형성됩니다2. 이 기전은 주로 방광질 누공(VVF)과 직장질 누공(RVF)을 유발하며, 숙련된 의료진의 부재 시 분만 합병증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19. 산과적 누공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는 조기 결혼 및 그로 인한 어린 나이의 출산(골반 미성숙), 산모의 영양실조, 작은 키, 부적절하거나 부족한 산전 관리, 그리고 응급 제왕절개 수술에 대한 접근성 제한 등이 있습니다14. 한 연구에서는 산과적 누공 환자의 92%가 산전 관리를 받지 못했으며, 상당수가 가정 분만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나 의료 시스템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19.

분만 중 열상 및 회음절개 관련 합병증 (Childbirth Lacerations and Episiotomy-related Complications)

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질 열상, 특히 3도 또는 4도 회음부 열상이 직장까지 확장되거나, 회음절개 부위가 감염되거나 부적절하게 봉합되어 치유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누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 회음절개 부위 봉합에 사용된 실에 의한 감염은 염증을 유발하여 누공 형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30. 특히 정중선 회음절개술은 3, 4도 열상 및 직장질 누공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33. 산과적 누공의 발생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장시간 조직 압박으로 인한 ‘허혈성 손상’과 직접적인 ‘외상성 손상’이라는 두 가지 주요 병태생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장시간 분만으로 조직이 약해진 상태에서 기계 분만(겸자 분만 등)을 시도하면 열상 위험이 커지고, 이 열상이 감염되면 누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산과적 누공 예방을 위해서는 분만 중 산모와 태아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분만 지연 시 신속하고 적절한 의학적 개입(예: 제왕절개), 분만 중 발생한 열상의 정확한 진단과 숙련된 봉합술, 그리고 철저한 감염 예방 및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B. 수술 합병증 (Surgical Complications)

선진국에서는 질 누공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수술 합병증이 꼽히며, 특히 부인과 수술과 관련이 깊습니다1. 수술 중 직접적인 장기 손상, 봉합 부위의 부적절한 치유, 또는 수술 후 감염 등이 누공 형성의 주요 기전입니다3.

부인과 수술 (Gynecological Surgery)

자궁절제술 (Hysterectomy): 방광질 누공의 가장 빈번한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1. 북미 지역에서는 자궁절제술 중 발생하는 방광 손상이 방광질 누공의 주된 원인으로 보고되기도 합니다1. 수술 시간이 5시간 이상으로 길어지거나, 수술 중 출혈량이 많거나, 주변 조직의 제거 범위가 넓은 복잡한 자궁절제술일수록 누공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3. 자궁절제술 시 방광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궁경부 주변 인대 등을 자궁에 최대한 가깝게 결찰하고 절단하며, 방광을 질 전벽으로부터 충분히 밀어내고, 봉합 시에는 시야를 명확히 확보하여 클램프 끝을 확인하는 등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35.

기타 부인과 수술: 골반저 재건술, 질 성형술 등 다른 부인과 수술 후에도 누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

대장항문외과 수술 (Colorectal Surgery)

직장암 수술, 특히 저위전방절제술 후 직장질 누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 문합부 누출이 질벽으로 파급되거나 수술 중 질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직장암 수술 후 직장질 누공 발생률은 약 3.2%로 보고되었으며,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가 이러한 누공 발생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36. 최근에는 직장암 수술 시 난소 혈관을 포함한 지방 피판을 문합부 전방에 충전하여 직장질 누공을 예방하려는 새로운 수술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도 제시되고 있습니다37.

의인성 누공 발생 기전 및 예방

의인성 누공은 수술 중 부주의한 조직 박리, 잘못된 봉합, 수술 부위의 혈류 공급 장애로 인한 조직 괴사, 또는 수술 부위 감염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3. 당뇨병이나 흡연과 같은 환자 요인은 수술 후 합병증, 특히 누공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3. 의인성 누공은 단순히 특정 외과의의 실수를 넘어, 수술 술기의 표준화 부족, 수술 중 장기 손상에 대한 인지 및 즉각적인 복구 능력의 한계, 고위험군 환자(예: 이전 골반 수술력, 당뇨, 방사선 치료력, 심한 유착)에 대한 관리 전략 부재 등 시스템적 문제와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인성 누공 예방은 외과의 개개인의 주의를 넘어, 수술 프로토콜의 개선, 술기 교육 강화, 수술 중 장기 손상 감시 기술(예: 방광 내 염료 주입, 방광경 검사)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고위험 환자군에 대한 맞춤형 관리 전략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관련 학회들의 가이드라인에서도 강조되는 부분입니다10.

C.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염증성 장질환, 특히 크론병은 질 누공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크론병 (Crohn’s Disease)

크론병은 직장질 누공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장질 누공이나 결장질 누공 등 다른 유형의 질 누공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크론병 환자의 약 20~40%에서 누공이 발생하며26, 이 중 항문주위 누공이 가장 흔합니다7. 직장질 누공은 크론병으로 인한 항문주위 누공의 약 9%까지 차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8. 국내 한 연구에서는 크론병 환자의 26.1%가 항문주위병변(치루, 농양 등 포함)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7. 크론병에서 누공은 만성적인 장 염증으로 인해 장벽에 깊은 궤양이 형성되고, 이 궤양이 장벽 전체를 관통하여 인접한 장기(예: 질)나 피부 표면으로 이어지는 비정상적인 통로를 형성하는 기전으로 발생합니다6. 때로는 장 주변에 농양(고름집)이 먼저 형성된 후, 이 농양이 터지면서 누공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7. 크론병 관련 누공의 치료는 단순히 누공 자체를 수술적으로 교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기저 질환인 크론병의 염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항생제, 면역조절제, 그리고 항TNF 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 등 다양한 약물 치료가 선행되거나 병행되어야 합니다7. 필요한 경우 세톤 삽입술, 누공절개술, 조직 피판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미국소화기학회(ACG) 및 유럽크론병및대장염학회(ECCO) 가이드라인은 크론병 누공 치료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414243.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크론병에 비해 드물지만,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도 직장질 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특히 궤양성 대장염으로 인해 대장 전체를 절제하고 소장 끝을 항문에 연결하는 회장낭-항문 문합술(ileal pouch-anal anastomosis, IPAA)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으로 누공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45. 궤양성 대장염에서 누공은 깊은 궤양이 직장질 사이의 벽을 관통하거나,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또는 골반 내 농양이 원인이 되어 형성될 수 있습니다47. 염증성 장질환, 특히 크론병에 의해 발생하는 누공은 단순한 해부학적 결손이 아니라 만성적인 염증 과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누공의 치료는 누공 자체에 대한 외과적 접근과 함께, 염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강력한 내과적 치료(특히 생물학적 제제)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 관련 누공은 재발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는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대장항문외과 전문의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D. 암 및 방사선 치료 (Cancer and Radiation Therapy)

골반 부위의 악성 종양 자체 또는 이에 대한 방사선 치료가 질 누공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골반 부위 암 (Pelvic Cancers)

자궁경부암, 직장암, 질암, 항문암 등 골반 내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주변 조직을 직접 침범하거나 압박하여 괴사를 유발함으로써 질과 인접 장기 사이에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1. 또한, 이러한 암 치료를 위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누공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방사선 치료 후 조직 손상 및 누공 발생 기전 (Mechanism of Post-Radiation Tissue Damage and Fistula Formation)

골반 부위 암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방사선 치료는 암세포를 파괴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동시에 주변 정상 조직에도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22. 방사선은 조직 내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에 손상을 입혀 폐쇄성 동맥내막염(endarteritis obliterans)을 유발합니다. 이는 해당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을 만성적으로 감소시켜 조직 허혈, 섬유화, 그리고 결국 괴사를 초래하여 누공을 형성하게 됩니다11. 방사선으로 인한 조직 손상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방사선 유발 누공의 발생 시기 (Timing of Radiation-Induced Fistula Development)

방사선 치료 후 누공은 즉시 나타나지 않고 수개월에서 수년, 길게는 20~30년이 지난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6. 평균적으로 방사선 치료 종료 후 1.5년에서 3년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11, 자궁경부암 방사선 치료 후 직장질 누공 발생까지의 기간 중앙값은 20개월(범위 5~240개월)로 보고된 연구도 있습니다23. 이러한 지연성 발생 특징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발생률 (Incidence)

자궁경부암 방사선 치료 후 방광질 누공 발생률은 약 1~8%25, 직장질 누공 발생률은 약 3~13% 정도로 보고됩니다23. 직장암 환자가 수술 전후로 항암방사선치료를 받는 경우에도 직장질 누공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36. 방사선 유발 누공은 지연성으로 발생하며, 주변 조직의 혈류 감소와 심한 섬유화로 인해 일반적인 누공보다 치료가 더 어렵고 재발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는 누공 발생 가능성에 대해 장기간 주의 깊게 추적 관찰해야 하며, 누공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단순 봉합보다는 혈액 공급이 좋은 건강한 조직을 이용한 피판술(flap surgery) 등 보다 복잡한 재건술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방사선 손상 조직의 치유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E. 감염 및 기타 원인 (Infections and Other Causes)

  • 게실염 (Diverticulitis): 대장의 벽에 형성된 작은 곁주머니(게실)에 염증이 생기는 게실염은 심한 경우 주변 조직인 질과 유착되어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2. 특히 고령층에서 이러한 합병증이 더 흔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3. 게실염으로 인한 누공은 주로 대장-질 누공(colovaginal fistula) 또는 직장질 누공(rectovaginal fistula)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 골반 감염 질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및 농양 (Abscess): 심한 골반 감염이나 골반 내 농양(예: 난관난소농양)이 주변 조직으로 파급되거나 자연적으로 터지면서 질과 인접 장기(방광, 직장 등) 사이에 비정상적인 통로, 즉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1. PID 자체가 직접적으로 질벽을 침식하여 누공을 형성하기보다는, PID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골반 농양이 파열되거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주변 조직의 괴사 및 유착을 유발하여 이차적으로 누공이 형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난관난소농양이 직장이나 방광 쪽으로 터지면서 각각 직장질 누공이나 방광질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528.
  • 만성 변비 및 분변 매복 (Chronic Constipation and Fecal Impaction): 심한 만성 변비로 인해 단단한 대변 덩어리가 직장 내에 장기간 정체되는 분변 매복은 직장 벽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직장 벽의 혈류가 방해받고 조직 괴사가 발생하여 직장과 질 사이의 벽이 약해지면서 직장질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3. 이러한 기전은 특히 장 운동성이 저하되고 직장 감각이 둔화된 노인 환자에서 더 높은 위험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외상 (Trauma): 성폭행이나 사고와 같은 외부적인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질과 주변 장기 사이에 직접적인 파열이나 심각한 조직 손상이 발생하여 누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 질 내 이물질 (Foreign bodies in the vagina): 장기간 방치된 질 내 이물질(예: 페서리)은 주변 조직에 만성적인 압박과 염증을 유발하여 괴사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누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1.

III. 질 누공의 진단

질 누공의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 과정은 환자의 증상 및 병력 청취, 신체 검사, 그리고 다양한 특수 진단 검사들을 포함합니다.

A. 임상 증상 및 병력 청취 (Clinical Symptoms and Medical History)

질 누공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질을 통한 비정상적인 내용물의 누출입니다. 누공의 종류에 따라 소변(방광질 누공, 요관질 누공, 요도질 누공), 대변 또는 가스(직장질 누공, 결장질 누공, 소장질 누공)가 질을 통해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1. 이로 인해 악취 나는 질 분비물, 반복적인 질염 및 요로 감염, 외음부 피부 자극 및 통증, 성교통, 복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1.

상세한 병력 청취는 누공의 잠재적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과거 분만력(난산, 기계 분만, 회음부 열상 등), 골반 부위 수술력(자궁절제술, 직장 수술 등), 염증성 장질환, 골반 부위 방사선 치료력, 암 병력, 최근의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1.

B. 신체 검사 및 골반 검사 (Physical and Pelvic Examination)

시진, 촉진, 그리고 질경을 이용한 골반 검사를 통해 질벽에서 누공의 외부 개구부, 비정상적인 분비물, 염증, 자극, 또는 주변 조직의 경화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1. 때로는 누공이 매우 작거나 질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C. 특수 진단 검사 (Specialized Diagnostic Tests)

임상적 의심을 확인하고 누공의 정확한 위치, 크기, 경로, 그리고 관련된 다른 이상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검사가 시행됩니다.

  • 염료 검사 (Dye Test): 방광질 누공이 의심될 때 가장 간단하고 흔히 사용되는 검사법입니다. 방광 내에 메틸렌블루와 같은 색소를 주입한 후 질 내에 거즈나 탐폰을 삽입하고 환자에게 기침을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여 질 내 거즈나 탐폰이 염색되는지 확인합니다1. 요관질 누공 감별을 위해 페나조피리딘(phenazopyridine) 경구 투여 후 질 내 탐폰의 오렌지색 염색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20. 대장-방광 누공이 의심될 경우 양귀비 씨앗 섭취 후 소변에서 씨앗이 배출되는지 확인하는 양귀비 씨앗 검사(poppy seed test)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40.
  • 방광경/질경/직장경 검사 (Cystoscopy/Vaginoscopy/Proctoscopy/Sigmoidoscopy/Colonoscopy): 내시경을 이용하여 방광, 질, 직장 내부를 직접 관찰하여 누공의 내부 개구부를 확인하고, 점막 상태 및 다른 병변 유무를 평가합니다1. 필요한 경우 조직 생검을 통해 악성 종양이나 특정 염증성 질환(예: 크론병)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6.
  • 영상 진단 (Imaging Studies):
    • 누공조영술 (Fistulogram): 누공의 외부 개구부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누공의 경로, 수, 그리고 연결된 장기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1.
    •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CT 요로조영술(CT urogram)은 비뇨기계 누공 진단에 유용하며, 직장 조영제를 사용한 CT는 직장질 누공 평가에 도움이 됩니다1.
    •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연부 조직에 대한 해상도가 뛰어나 누공의 경로, 주변 조직의 염증, 농양 형성, 섬유화 정도를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1. 특히 직장질 누공이나 복잡한 누공의 평가, 수술 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이나 역동적 조영증강 MRI(Dynamic Contrast-Enhanced MRI, DCE-MRI)와 같은 기능적 MRI 기법은 누공 주변 조직의 혈류 상태나 염증 활성도를 평가하여 수술 후 치유 가능성을 예측하고 적절한 수술 시기 및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누공이나 크론병 관련 누공과 같이 주변 조직의 혈류가 좋지 않거나 심한 염증이 동반된 경우, MRI를 통해 이러한 조직 상태를 미리 파악하면 단순 봉합술보다는 혈액 공급이 좋은 조직을 이용하는 피판술을 계획하는 등 보다 정교한 수술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초음파 (Ultrasound): 질식 초음파(transvaginal ultrasound)나 항문내 초음파(endoanal ultrasound)는 누공의 경로를 시각화하고, 컬러 도플러를 이용하면 누공을 통한 액체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9. 초음파 탄성영상(ultrasound elastography)은 누공 주변 조직의 경직도(섬유화 정도)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어, 조직의 질을 평가하고 수술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기타 영상 검사: 배뇨 중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이나 역행성 신우조영술(Retrograde Pyelogram) 등도 특정 유형의 누공 진단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1.

D.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질 누공의 증상, 특히 질을 통한 소변이나 대변의 누출, 악취 나는 질 분비물 등은 다른 질환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을 감별해야 합니다:

  • 심한 스트레스성 요실금 (Sever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기침, 재채기 등 복압 상승 시 다량의 소변 누출이 발생하여 방광질 누공과 유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55.
  • 요관딴곳증 (Ureteral Ectopia): 요관이 방광이 아닌 다른 부위(예: 질, 요도)로 비정상적으로 개구하는 선천성 기형으로, 지속적인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0.
  • 심한 질염 또는 직장염 (Severe Vaginitis or Proctitis): 심한 염증으로 인해 다량의 질 분비물이나 직장 분비물이 질 쪽으로 흘러나와 누공으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61.
  • 기타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의 원인: 골반 내 농양의 질내 파열, 자궁경부 또는 자궁내막의 병변으로 인한 분비물 등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 누공은 저절로 치유될 수 있나요?

매우 작은 누공의 경우 드물게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질 누공은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며 증상 개선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산과적 외상이나 수술 후 발생한 누공, 염증성 장질환이나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누공은 전문가의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이 필수적입니다14.

질 누공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질 누공 수술 후 회복 기간은 누공의 크기, 위치, 원인, 수술 방법, 그리고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수 주에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완전한 회복과 정상적인 활동 복귀까지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른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방광질 누공의 경우 수술 후 도뇨관을 일정 기간 유지해야 할 수 있습니다5.

질 누공이 있으면 정상적인 성생활이 불가능한가요?

질 누공은 통증, 분비물 누출, 감염 등으로 인해 성생활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1. 하지만 성공적인 치료 후에는 대부분 정상적인 성생활이 가능합니다. 치료 과정 중에는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여 성생활 재개 시점과 주의사항에 대해 안내받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리적인 지지나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질 누공 진단을 위해 어떤 검사가 가장 중요한가요?

질 누공 진단에는 여러 검사가 종합적으로 활용됩니다. 기본적인 병력 청취와 골반 검사 후, 방광질 누공이 의심되면 염료 검사가 간단하면서도 유용합니다1. 누공의 정확한 위치, 경로, 주변 조직 상태 평가를 위해서는 방광경, 질경, 직장경과 같은 내시경 검사나 MRI와 같은 영상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1. 특히 MRI는 복잡한 누공이나 재수술 계획 시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크론병으로 인한 질 누공은 치료가 더 어려운가요?

네, 크론병과 관련된 질 누공은 만성적인 염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단순 수술만으로는 재발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7. 따라서 크론병 자체의 염증을 조절하는 약물 치료(항생제, 면역조절제, 생물학적 제제 등)와 함께 누공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7. 다학제적 접근이 매우 중요한 경우입니다.

결론

질 누공은 여성에게 큰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야기하는 질환이지만,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산과적 외상, 수술 합병증, 염증성 장질환,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 원인과 누공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 전략이 중요합니다.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치료가 어려웠던 복잡한 누공이나 재발성 누공에 대해서도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치료 성공률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증상을 숨기거나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꾸준히 치료에 임하는 자세입니다. KRHOW.COM은 질 누공으로 고통받는 모든 여성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증상이 있거나 질 누공이 의심되는 경우, 자가 진단이나 민간요법에 의존하지 마시고 반드시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또는 대장항문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방사선 치료를 받았거나 크론병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질 누공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술 후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회복 관리를 철저히 하고,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별 환자에 대한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제시된 정보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고, 실제 건강 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담당 의사 또는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1. 질 누공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2년 08월 03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yeojooya/222839387030?viewType=pc
  2. Cleveland Clinic. Vaginal Fistula: Types, Causes, Symptoms & Treatment [인터넷]. Cleveland Clinic; 2021년 10월 18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22079-vaginal-fistula
  3. Mayo Clinic. Vaginal fistula – Symptoms and causes [인터넷]. Mayo Clinic; 2022년 01월 22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vaginal-fistulas/symptoms-causes/syc-20355762
  4. 헬스조선. 치료 어렵다던 질누공, 이젠 수술 한번으로 치료 가능? [인터넷]. 헬스조선; 2022년 08월 16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81201423
  5. 서울아산병원. 방광질 누공 | 질환백과 | 의료정보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15
  6. 직장질 누공 원인, 증상, 치료방법 및 성전환 수술 후 발생 가능성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05월 22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369korea369/223635444684
  7. Crohn’s & Colitis Foundation. Fistulizing Crohn’s Disease [인터넷]. Crohn’s & Colitis Foundation;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rohnscolitisfoundation.org/patientsandcaregivers/what-is-crohns-disease/treatment/surgery/fistulizing-crohns-disease
  8. Scharl M, Rogler G, Biedermann L. Current treatment of rectovaginal fistula in Crohn’s disease. Dig Dis. 2011;29(1):60-3. doi:10.1159/000323962. PMID: 2173438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057157/
  9. Patil S, Samantaray A, Mahapatra S, Sahu PK. Diagnostic and Management in Vesicovaginal Fistulas. Cureus. 2023;15(5):e39407. doi:10.7759/cureus.39407. PMID: 37383600; PMCID: PMC1029405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cispace.com/pdf/diagnostic-and-management-in-vesicovaginal-fistulas-phwao7sgkm.pdf
  10. Stamatakos M, Sargedi C, Stasinou T, Kontzoglou K. Vesicovaginal Fistula: Diagnosis and Management. Indian J Surg. 2014;76(2):131-6. doi:10.1007/s12262-012-0780-y. PMID: 24891778; PMCID: PMC403968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039689/
  11. Nalluri HB, Nama L, Vadamalayan B, Nayak S, Rao R, V N K. Vesicovaginal Fistula After Fourteen Years of Pelvic Radiation. Cureus. 2019;11(3):e4238. doi:10.7759/cureus.4238. PMID: 31086794; PMCID: PMC649740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1460126_Vesicovaginal_Fistula_After_Fourteen_Years_of_Pelvic_Radiation
  12. Bieńkiewicz T, Barnaś E, Zamojska M, Tarkowski R. Therapeutic options in radiation-induced rectovaginal fistula. Curr Gynecol Oncol. 2016;14(2):114-20. doi:10.15557/CGO.2016.0012. 다음에서 제공함: http://ginekologia.pl/index.php/issues/2016-vol-14-no-2/therapeutic-options-in-radiation-induced-rectovaginal-fistula
  13. DynaMed. Vesicovaginal Fistula [인터넷]. EBSCO Information Services; [업데이트 날짜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ynamed.com/condition/vesicovaginal-fistula
  14. EBSCO Research Starters. Obstetric fistula [인터넷]. EBSCO Information Services; [발행일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anatomy-and-physiology/obstetric-fistula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bstetric fistula [인터넷]. WHO; 2023년 05월 19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ho.int/news-room/facts-in-pictures/detail/10-facts-on-obstetric-fistula
  16. Asante EKO, Mohammed S, Adu-Gyamfi EA, Abdul-Rahman A, Musah S. Geopolitical Instability and Maternal Health: Assessing the Impact on Obstetric Fistula Prevalence and Car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Preprints.org 2025;2025041102. doi:10.20944/preprints202504.1102.v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reprints.org/manuscript/202504.1102/v1
  17.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Intensifying efforts to end obstetric fistula within a decade: Report of the Secretary- General (A/79/112) [인터넷]. UNFPA; 2024년 05월 14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nfpa.org/resources/intensifying-efforts-end-obstetric-fistula-within-decade-report-secretary-general-a79112
  18. Tebeu PM, Fomulu JN, Khaddaj S, de Bernis L, Delamou A, Rochat CH. Risk factors for obstetric fistula: a clinical review. Int Urogynecol J. 2012;23(4):387-94. doi:10.1007/s00192-011-1622-x. PMID: 22143430; PMCID: PMC330587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305871/
  19. Tuma F, Ahmad T, Cagir B. Vesicovaginal Fistula. [Updated 2023 Aug 8].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4389/
  20. El-Dine FMS, El-Azab AS, El-Kalaa F, Nӧtling S, El-Din Mahmoud S, Husby KR. Iatrogenic urogenital fistula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Defining a growing challenge. J Glob Health Rep. 2023;7:e2023002. doi:10.29392/001c.12905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joghep.scholasticahq.com/article/129055-iatrogenic-urogenital-fistula-in-low-and-middle-income-countries-defining-a-growing-challenge
  21. American Cancer Society. Radiation Therapy for Vaginal Cancer [인터넷]. American Cancer Society; 2020년 05월 01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ancer.org/cancer/types/vaginal-cancer/treating/radiation-therapy.html
  22. Sari DK, Larasati EA, Sirait AM, Sirait R, Sirait LI. Fatal rectovaginal fistula in post-radiotherapy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patients. Bali Med J. 2022;11(3):1836-40. doi:10.15562/bmj.v11i3.3686.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5640087_Fatal_rectovaginal_fistula_in_post-radiotherapy_locally_advanced_cervical_cancer_patients
  23. Kang S, Kim YS, Kim JY, Kim M, Kim YB, Koom WS, et al. Radiation-induced vesicovaginal fistula in uterine cervical cancer: a literature review and novel curative treatment us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Radiat Oncol J. 2023;41(4):203-12. doi:10.3857/roj.2023.00500. PMID: 38151104; PMCID: PMC10754806.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roj.org/upload/pdf/roj-2023-00500.pdf
  24. 글로벌희귀질환네트워크연구소. 질환명 : 소장 및 대장 모두의 크론병 [인터넷]. 글로벌희귀질환네트워크연구소; 2023년 12월 06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krdis.com/iboard/board.html?oo_id=573&oo_day=20231206094404&mode=view&&code=bbs_004&pstart=720&ib_category=value10&openType=&PHPSESSID=750a29ad943e4b9df3bfc096efaebeab
  25. Yang SK, Yun S, Kim JH, Park JY, Kim HY, Kim YH, et al. Epidemi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e Songpa-Kangdong district, Seoul, Korea, 1986-2005: a KASID study. Inflamm Bowel Dis. 2008;14(4):542-9. doi:10.1002/ibd.20310. PMID: 1794107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rjournal.org/upload/pdf/IR007-01-06.pdf
  2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질병 통계 –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인터넷].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Tab1.do
  2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 < 통계자료실 < 연구 · 통계 < 의료정보 [인터넷].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 최종 업데이트 날짜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
  28. 코리아헬스로그. 자연분만 하면서 생긴 ‘질누공’, 여성 삶의 질 흔들어 [인터넷]. 코리아헬스로그; 2021년 09월 08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05
  29. Hilton P. Rectovaginal Fistulas [인터넷]. The Global Library of Women’s Medicine (GLOWM); 2009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lowm.com/section-view/heading/Rectovaginal%20Fistulas/item/65
  30. Fayyad AM, Sand P. Post-hysterectomy Vesicovaginal Fistula: A Case Report. J Reprod Med. 2024;69(1-2):95-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88848400_Post-hysterectomy_Vesicovaginal_Fistula_A_Case_Report
  31. Li Y, Xu H, Geng J, Liu D, Zhang Y, Zhao Y,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ctovaginal fistula after rectal cancer surgery: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Rxiv 2025.04.09.25325534 [Preprint]. 2025 [posted 2025 Apr 12; cited 2025 May 29]. doi:10.1101/2025.04.09.2532553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5.04.09.25325534v1.full-text
  32. Gao C, Liu J, Li K, Han F, Wang S, Zhang X, et al. The prevention of rectovaginal fistula after rectal cancer surgery by packing with laparoscopic dislocated fat flap containing ovarian vascular pedicle anterior to the anastomotic stoma: a parallel grou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 BMC Surg. 2024;24(1):21. doi:10.1186/s12893-023-02305-9. PMID: 38229166; PMCID: PMC1079523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95231/
  33. 크론병 누공이란 무엇입니까?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4년 05월 20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yeojooya/223451359372?viewType=pc
  34. 메디칼업저버. 가이드라인을 통해 본 크론병 [인터넷]. 메디칼업저버; 2013년 04월 29일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101
  35.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CG). ACG Clinical Guideline: Management of Crohn’s Disease in Adults [인터넷]. ACG; 2018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cgcdn.gi.org/wp-content/uploads/2018/04/ACG-Crohns-Guideline-Summary.pdf
  36. 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sation (ECCO). ECCO Guidelines [인터넷]. ECCO; [발행일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cco-ibd.eu/publications/ecco-guidelines-science.html
  37. Shibata M, Nakajima K, Kunogi T, Sato T, Mimura T. A case of postoperative pouch-vaginal fistula of ulcerative colitis successfully treated with estriol vaginal tablet. Inflamm Intest Dis. 2024. doi:10.1159/000546361. [Epub ahead of print].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arger.com/iid/article/doi/10.1159/000546361/927139/A-case-of-postoperative-pouch-vaginal-fistula-of
  38. Tsai YL, Lin EM. Rectovaginal Fistulas. Clin Colon Rectal Surg. 2010;23(2):81-5. doi:10.1055/s-0030-1254294. PMID: 21629626; PMCID: PMC2967329.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967329/
  39. Johns Hopkins Medicine.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인터넷]. Johns Hopkins Medicine; [발행일 확인 불가,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conditions-and-diseases/urinary-incontinence/urinary-incontinence-in-women
  40. MSD 매뉴얼 일반인용. 질 가려움 또는 질 분비물 – 여성 건강 문제 [인터넷]. MSD 매뉴얼; 2023년 07월 [2025년 05월 2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7%AC%EC%84%B1-%EA%B1%B4%EA%B0%95-%EB%AC%B8%EC%A0%9C/%EB%B6%80%EC%9D%B8%EA%B3%BC-%EC%A7%88%ED%99%98%EC%9D%98-%EC%A6%9D%EC%83%81%EB%93%A4/%EC%A7%88-%EA%B0%80%EB%A0%A4%EC%9B%80-%EB%98%90%EB%8A%94-%EC%A7%88-%EB%B6%84%EB%B9%84%EB%AC%BC
  41. Puliafito M, Ciorraga FEL, Pisani A, Fiori C, Palmisano A, Giannini V. Report of a complex case of tubo-ovarian abscesses and colonic fistula: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iagnosis and management. EGO. 2024;3:10. doi:10.48299/EGO.2024.3.1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gojournal.eu/journal/2024-3/report-of-a-complex-case-of-tubo-ovarian-abscesses-and-colonic-fistula-a-multidisciplinary-approach-to-diagnosis-and-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