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미백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주요 유해 성분(예: 수은, 하이드로퀴논, 스테로이드)의 심각한 위험성과 잠재적 부작용을 명확히 이해합니다.
- 화장품 전성분 확인을 통해 유해 성분을 식별하고, 식약처 인증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선택하는 기준을 학습합니다.
- 안전한 미백 성분(예: 나이아신아마이드, 비타민 C 유도체)의 종류와 효능, 올바른 사용법 및 주의사항을 숙지합니다.
- 미백 화장품 사용 중 부작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 방법과 피부과 전문의 상담의 필요성을 인지합니다.
- 궁극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올바른 피부 관리 습관과 자외선 차단의 중요성을 통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1부: 미백 화장품, 무엇이 문제인가? – 주요 위험 성분 심층 해부
1.1. 그림자 속의 암살자: 수은(Mercury)의 치명적 유혹과 규제 현황
1.1.1. 수은 함유 미백 제품의 역사와 불법 유통 실태
수은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미백 효과를 위해 암암리에 사용되어 온 성분입니다.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발도상국 및 온라인을 통해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5, 6, 7. 한국에서도 과거 수은 화장품으로 인한 파동 사례가 있었습니다8.
1.1.2. 수은의 피부 미백 작용 기전 (과정 및 한계)
수은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일시적인 미백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 뒤에는 심각한 세포 독성이 숨겨져 있습니다9.
1.1.3. 수은 중독: 피부를 넘어 전신을 공격하는 다면적 부작용
수은 중독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피부 부작용으로는 접촉성 피부염, 발진, 가려움, 피부 변색(회색빛 또는 청흑색), 피부 저항력 약화, 2차 감염 위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0, 11. 신장 독성으로는 단백뇨, 신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10, 12. (예: “수은 함유 미백 크림 사용자의 X%에서 신장 손상 발견”13) 신경계 독성으로는 손발 저림, 떨림, 기억력 감퇴, 우울증, 불안, 불면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뇌 손상 및 영구적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12, 14. (예: “수은 미백제 장기 사용으로 인한 파킨슨병 유사 증상 발현 사례”15) 이 외에도 면역력 저하, 소화기 장애, 생식 독성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임산부 및 수유부 사용 시 태아 또는 영아에게 전달될 위험이 큽니다14, 16.
1.1.4. 국내외 규제 현황 및 소비자 경고
국제적으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수은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미나마타 협약을 통해 국제적인 사용 금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5. 미국 FDA는 화장품 내 수은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17, 유럽 연합(EU) 역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은을 화장품 사용금지 원료로 지정하고, 비의도적 오염 허용 기준치를 1ppm 이하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18, 19, 불법 유통 제품에 대한 단속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1.5. 소비자 주의사항: 수은 함유 의심 제품 식별 및 대처법
소비자는 성분표 확인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합니다. 수은 관련 표기로는 Mercurous chloride, Calomel, Mercuric, Mercurio, Hg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17.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과도한 미백 효과를 광고하는 제품, 수입 신고 없이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는 제품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20, 21. 의심되는 제품은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1.2.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효과와 위험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1.2.1. 하이드로퀴논의 작용 기전 및 의학적 사용
하이드로퀴논은 티로시나제 효소를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22, 23. 주로 기미, 염증 후 색소침착 등 특정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해 피부과 전문의의 엄격한 감독 하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성분입니다24.
1.2.2. 금지된 유혹: 화장품 사용 금지 배경과 해외 직구의 함정
한국에서는 하이드로퀴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25. 하지만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일반의약품(OTC)으로 판매되거나(현재는 FDA 규제 강화로 처방 필요) 해외 직구를 통해 국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26, 27, 28. (예: “해외 직구 미백 제품 중 하이드로퀴논 함유 비율 X%”29)
1.2.3. 외인성 조직갈변증(Exogenous Ochronosis): 회복 불가능한 피부 변색의 공포
하이드로퀴논을 장기간 또는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이고 심각한 부작용은 외인성 조직갈변증입니다23, 30. 이 경우 피부가 청회색 또는 검푸르게 변색되며, 치료가 매우 어렵고 영구적일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미백 효과가 나타나다가 점차 변색이 진행되어 사용자들이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31 (발생 기전: 호모겐티신산 축적32). (예: “2% 하이드로퀴논 크림 1년 사용 후 발생한 외인성 조직갈변증 환자 사례”33)
1.2.4. 기타 부작용: 접촉 피부염, 피부 자극, 광과민성 증가 등
하이드로퀴논 사용 시 피부 붉어짐, 가려움, 따가움, 건조함, 발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2, 23. 또한 햇빛 노출 시 색소 침착이 악화되거나 피부 손상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자외선 차단이 필수적입니다17.
1.2.5. 발암성 논란과 안전성 재평가 동향
동물실험에서 하이드로퀴논의 발암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28, 34. 인체에 대한 명확한 발암 증거는 아직 부족하지만,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FDA의 안전성 재평가 및 규제 강화의 배경이 되었습니다28.
1.2.6.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전문가 권고 및 주의사항
하이드로퀴논은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 그리고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합니다. 임의로 사용하거나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사용 전에는 패치 테스트를 시행하고, 사용 중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임산부, 수유부, 특정 피부 질환자는 사용이 금기됩니다22, 35.
1.3.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빠르지만 위험한 미백 효과의 이면
1.3.1. 스테로이드가 미백에 사용되는 이유와 그 위험성
스테로이드는 항염 효과로 인해 일시적인 피부톤 개선 및 홍조 완화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백 목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장기간 사용 시 심각한 국소 및 전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7, 36.
1.3.2. 국소 부작용: 피부 장벽 붕괴의 시작
스테로이드의 국소 부작용으로는 피부 위축(Skin Atrophy) (피부가 얇아지고 약해짐, 혈관 확장, 쉽게 멍들고 찢어짐)37, 38, 스테로이드성 여드름(Steroid Acne) 및 주사(Rosacea) 악화 (염증성 구진, 농포 발생)38, 39, 모세혈관 확장(Telangiectasia), 자색반(Purpura), 피부 선조(Striae)37, 다모증(Hypertrichosis), 입주위 피부염(Perioral Dermatitis)38, 그리고 감염 취약성 증가 (진균(곰팡이), 세균 감염 악화, 예: Tinea Incognito)38 등이 있습니다.
1.3.3. 전신 부작용: 피부를 넘어 건강을 위협하다
장기간 광범위하게 사용하거나 강력한 등급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피부를 통해 전신으로 흡수되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전신 부작용으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 억제 (체내 호르몬 시스템 교란)37,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얼굴이 달덩이처럼 붓고(moon face), 목 뒤 지방 축적(buffalo hump), 복부 비만 등)37 (예: “강력한 스테로이드 연고 3개월 사용 후 쿠싱 증후군 진단받은 20대 여성 사례”40), 그리고 성장 지연(소아), 골다공증, 백내장, 녹내장, 혈당 상승(당뇨 유발/악화) 등이 있습니다37, 41.
1.3.4. 스테로이드 강도 등급과 오남용 문제 (한국 기준 중심)
국내에서는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1등급(가장 강함)부터 7등급(가장 약함)까지 분류합니다42, 43. 약국에서 쉽게 구매 가능한 일반의약품 스테로이드 연고(주로 5~7등급)의 무분별한 장기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36. (예: “대한피부과학회 조사, 약물 부작용 환자 중 48%가 스테로이드 오남용”36) 식약처는 스테로이드 연고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44, 45, 대한피부과학회는 올바른 사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36. 리도멕스와 같은 일부 제품은 과거 일반의약품이었으나 현재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된 사례도 있습니다46, 47.
1.3.5. 스테로이드 중독 및 금단 현상 (Topical Steroid Withdrawal, TSW)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다 중단할 경우 작열감, 발진 악화, 진물, 극심한 가려움 등 극심한 피부 증상이 나타나는 스테로이드 중독 및 금단 현상(TSW)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SW는 매우 고통스럽고 치료가 어려우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48. (예: 49)
1.3.6. 화장품에 불법 첨가된 스테로이드 식별 및 신고 요령
“즉각적인 효과”를 광고하는 미등록 또는 불법 화장품은 스테로이드 불법 첨가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의심되는 제품 발견 시 식약처 ‘화장품안전나라’ 등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50.
1.4. 기타 주의 성분 및 첨가물
1.4.1.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일부 미백 치약 또는 홈케어 미백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나, 고농도 사용 시 잇몸 자극이나 치아 손상 위험이 있습니다51.
1.4.2. 일부 에센셜 오일 및 식물 추출물
“천연 = 안전”이라는 생각은 오해일 수 있습니다. 특정 식물 성분은 광과민성을 유발하거나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52. (예: 레몬, 라임 등 감귤류 오일의 광독성)
1.4.3. 알코올, 인공 향료, 인공 색소, 일부 방부제 (파라벤 등)
이러한 성분들은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장품 전성분 확인이 중요합니다53, 54.
1.4.4. pH 불균형 제품
너무 강한 산성 또는 알칼리성 제품은 피부 장벽을 손상시키고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1.
2부: 현명한 선택, 안전한 미백 – 과학적 근거 기반 가이드
2.1. 식약처 인증: 안전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이란?
2.1.1.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와 식약처 심사/보고 제도
기능성 화장품이란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안전성 및 유효성 심사를 통과하거나 보고된 제품을 의미합니다55. 따라서 소비자는 제품 구매 시 “기능성화장품” 문구 및 관련 도안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화장품법 관련 조항 및 식약처 기능성화장품 심사 규정에 근거합니다56.
2.1.2. 식약처 고시 미백 기능성 원료 종류 및 기준 함량
식약처에서 고시한 대표적인 미백 기능성 원료와 그 기준 함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약처 고시 미백 기능성 원료 및 기준 함량에 대한 상세 내용은 표 B.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원본 문서에 표 B.2가 언급되었으나, 실제 표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 알부틴 (Arbutin): 2~5%57, 58. (주의: 햇빛, 열, 효소 등에 의해 하이드로퀴논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있으며, 알부틴 2% 이상 함유 시 “경미한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표시해야 합니다3.)
- 나이아신아마이드 (Niacinamide): 2~5%57, 58. (피부 장벽 강화, 항염 효과, 홍조 개선 등 부가적인 이점도 있습니다59.)
- 비타민 C 유도체: 에칠아스코빌에텔(1~2%),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2%),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3%),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2%) 등57, 58. (순수 비타민 C는 안정성이 낮아 유도체 형태로 많이 사용됩니다.)
- 유용성 감초추출물 (Oil Soluble Licorice Extract, Glabridin): 0.05%57, 60. (항염 및 미백 효과가 있습니다.)
- 닥나무추출물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2%57.
- 알파-비사보롤 (Alpha-Bisabolol): 0.5%57. (진정 및 미백 효과가 있습니다.)
2.1.3. 기능성 화장품, 효과는 어디까지 기대해야 할까?
기능성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질병 치료나 즉각적이고 극적인 피부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4. 꾸준한 사용과 올바른 생활 습관을 병행할 때 점진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효과는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한피부과학회와 식약처 역시 이러한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55, 2.
2.1.4. 허위·과장 광고에 속지 않는 법 (식약처 가이드라인 중심)
소비자들은 “피부 재생”, “세포 활성화”, “기미 완전 제거” 등 의학적 효능을 암시하는 광고에 주의해야 합니다2, 4. 식약처 심사 또는 보고된 내용과 다른 광고, 객관적인 근거 없이 효능을 주장하거나 전문가 또는 공인된 기관의 추천을 빙자한 광고 등은 허위·과장 광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약처의 화장품 표시·광고 가이드라인을 참고하고61, 한국소비자원의 피해 사례 등을 통해 경각심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3.
2.2. 내 피부를 위한 미백 성분 궁합: 피부과 의사들의 조언
(주요 안전 미백 성분 비교: 효능, 안전성, 사용팁, 전문가 의견 요약은 표 B.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원본 문서에 표 B.3이 언급되었으나, 실제 표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2.2.1. 나이아신아마이드: 다재다능한 피부 건강 지킴이
효능: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 효과 외에도 피부 장벽 강화, 항염, 피지 조절, 모공 개선, 홍조 완화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59, 62.
안전성: 비교적 자극이 적어 민감성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지만, 저농도부터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59.
사용팁: 비타민 C와 같은 산성 성분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간차를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59.
전문가 의견: 대한피부과학회 가이드라인에서도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염증 감소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언급하고 있으며59, 중앙대학교병원 김범준 교수팀의 연구에서는 트라넥삼산과의 병용 효과를 입증하기도 했습니다63.
2.2.2. 비타민 C와 그 유도체: 강력한 항산화 미백
효능: 비타민 C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집니다5, 64.
종류: 순수 비타민 C(L-Ascorbic Acid)와 그 안정성을 높인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등의 유도체들이 있습니다.
주의사항: 순수 비타민 C는 빛과 공기에 불안정하며, 특히 고농도일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pH 농도도 중요합니다64. 밤에 사용하거나 낮에 사용할 경우 자외선 차단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전문가 의견: 많은 피부과 의사들은 안정화된 형태의 비타민 C 유도체 제품을 추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2.3. 알부틴: 하이드로퀴논의 안전한 대안?
효능: 알부틴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며, 하이드로퀴논보다 자극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5.
주의사항: 일부 연구에서는 장기간 사용하거나 특정 조건에서 하이드로퀴논으로 분해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식약처는 알부틴 2% 이상 함유 제품에 “경미한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음”이라는 문구를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습니다3.
전문가 의견: 효과는 하이드로퀴논보다 약할 수 있으나 안전성은 더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른 미백 성분과 함께 사용 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2.4. 트라넥삼산 (Tranexamic Acid): 먹고 바르는 기미 개선 성분
효능: 트라넥삼산은 멜라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경구 복용 약(전문의약품) 및 국소 도포용 화장품 원료로 사용됩니다63, 66.
주의사항 (경구): 혈전 생성 위험이 있는 환자는 주의해야 하며, 소화기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67.
주의사항 (국소): 비교적 안전하지만 개인에 따라 자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최근 기미 치료 및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중앙대학교병원 김범준 교수팀의 연구에서도 그 효과가 언급된 바 있습니다63.
2.2.5. 기타 주목할 만한 미백 성분
- 감초추출물 (Licorice Extract – Glabridin): 항염 및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60.
- 바쿠치올 (Bakuchiol): 레티놀 대체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백 및 항노화 효과가 있고 레티놀보다 자극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8, 69.
- 레티놀 (Retinol): 피부 턴오버를 촉진하여 색소 침착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자극 가능성이 높아 소량으로 시작하여 밤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자외선 차단이 필수적입니다64.
- AHA, BHA: 각질 제거를 통해 피부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 시 자극에 주의하고 피부 타입에 맞는 성분을 선택해야 합니다70.
2.3. 안전한 미백 화장품 선택 및 사용법: 스마트 컨슈머 되기
2.3.1. 화장품 전성분표 확인은 필수: 유해 성분 거르기
식약처의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61. 수은, 하이드로퀴논(화장품 사용 금지), 포름알데하이드, 프탈레이트 등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26, 71. 일반적으로 성분은 함량이 높은 순서대로 표기되며,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향료나 특정 방부제 등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2.3.2. ‘기능성화장품’ 인증 마크 확인
식약처 인증을 받은 ‘기능성화장품’은 안전성과 미백 기능성을 일정 수준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인증 마크가 없는 미인증 제품의 허위·과장 광고에 주의해야 합니다.
2.3.3. 피부 타입별 미백 제품 선택 요령
- 민감성 피부: 저자극 성분(예: 나이아신아마이드 저농도, 감초추출물)을 선택하고, 향료·색소·알코올이 첨가되지 않은 제품이 좋습니다. 사용 전 반드시 패치 테스트를 시행해야 합니다.
- 건성 피부: 보습 성분(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등)이 함께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AHA 등 각질제거 성분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습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 지성/여드름성 피부: 가벼운 제형(젤, 세럼 타입)을 선택하고, 피지 조절 기능이 있는 성분(예: 나이아신아마이드)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모공을 막지 않는 논코메도제닉 제품이 적합합니다.
2.3.4. 올바른 사용 순서와 방법
가장 중요한 것은 제품 설명서에 기재된 사용법을 준수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사용 순서는 클렌저 → 토너 → (미백)세럼/앰플 → 로션/크림 → 자외선차단제(낮 사용 시) 순입니다. 여러 미백 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특히 고농도 활성 성분이 포함된 제품들을 함께 사용하면 성분 간 충돌이나 피부 자극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3.5. 자외선 차단: 미백 관리의 시작과 끝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고 기존의 색소 침착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61. 미백 제품의 효과를 유지하고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SPF 30, PA++ 이상의 자외선차단제를 매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2~3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대한피부과학회 및 미국피부과학회(AAD)에서도 권고하는 사항입니다72, 24.
2.3.6. 사용 중단 및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경우
미백 화장품 사용 후 심한 가려움, 발진, 따가움, 붓기, 물집 등의 이상 반응이 발생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61.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자가 치료보다는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료 시에는 사용한 제품, 사용 기간, 나타난 증상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제시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2.4. 피부과 미백 시술: 종류, 효과, 부작용 및 현명한 선택
2.4.1. 레이저 토닝 (Laser Toning)
원리 및 효과: 레이저 토닝은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미, 잡티 개선 및 전체적인 피부톤을 밝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시술 후 일시적인 홍반이나 건조함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저색소 또는 과색소 침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시술이 필요하며, 시술 후 보습과 자외선 차단 등 관리가 중요합니다73, 74.
2.4.2. IPL (Intense Pulsed Light)
원리 및 효과: IPL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주근깨, 잡티 등 표재성 색소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시술 후 딱지가 생길 수 있으며, 화상의 위험도 있습니다. 피부톤이 어두운 경우에는 부적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73.
2.4.3. 프락셀 레이저 (Fractional Laser)
원리 및 효과: 프락셀 레이저는 피부에 미세한 홀을 만들어 피부 재생을 유도하며, 여드름 흉터, 모공, 피부결 개선과 함께 일부 색소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시술 후 붉은기, 붓기, 딱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술 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73.
2.4.4. 화학 박피 (Chemical Peel)
원리 및 효과: AHA, BHA, TCA 등의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피부 표피층을 벗겨내어 각질 제거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얻는 시술입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피부 자극, 화상, 색소 침착의 위험이 있으며, 시술의 깊이와 종류에 따라 회복 기간이 달라집니다.
2.4.5. 미백 주사 (예: 글루타치온 주사, 비타민 주사)
성분 및 주장되는 효과: 글루타치온, 비타민 C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억제를 통해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주장됩니다.
안전성 논란 및 부작용: 글루타치온 주사의 경우 피부 미백 목적으로는 FDA 승인을 받지 않았으며75, 피부 백화 현상이나 체모 탈색 등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76. 미백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과도한 기대를 하기보다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76.
2.4.6. 피부과 시술 선택 시 고려사항 및 전문가 상담의 중요성
피부과 미백 시술을 선택할 때에는 개인의 피부 상태, 색소의 종류, 생활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술 경험이 풍부한 피부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해야 하며, 단순히 비용뿐만 아니라 안전성, 예상되는 효과, 발생 가능한 부작용, 그리고 시술 후 관리 방법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시술 후에는 자가 관리 지침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 데 중요합니다.
3부: 건강한 피부를 위한 생활 습관과 Q&A
3.1. 미백 효과를 높이고 피부 건강을 지키는 생활 수칙
- 3.1.1. 균형 잡힌 식단: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음식(비타민 C, E, 폴리페놀 등이 함유된 과일,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합니다84.
- 3.1.2.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은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는 피부 트러블의 주요 원인이므로 긍정적인 마음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3.1.3. 적절한 수분 섭취 및 실내 습도 유지: 하루 2L 정도의 충분한 물을 마시고73, 가습기 등을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 3.1.4. 금연 및 절주: 흡연은 피부 노화와 색소 침착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과도한 음주 또한 피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 3.1.5. 올바른 세안 습관: 과도한 세안은 피부 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하루 두 번 부드러운 약산성 클렌저를 사용하여 세안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2. 피부 미백에 대한 궁금증 Q&A (전문가 답변 기반)
Q1: 미백 화장품, 얼마나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나요?
미백 화장품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는 제품의 성분, 농도, 개인의 피부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같은 성분은 최소 4주에서 8주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점진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66. “즉각적인 미백 효과”를 광고하는 제품은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고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임산부나 수유부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백 성분이나 방법이 있나요?
임신 중이나 수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기미나 색소 침착이 심해질 수 있지만, 태아와 아기의 안전을 위해 성분 선택에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하이드로퀴논, 레티놀과 같은 일부 미백 성분은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 사용이 금기됩니다22. 나이아신아마이드나 일부 비타민 C 유도체66 등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성분도 사용 전 반드시 산부인과 및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85. 이 시기에는 새로운 미백 제품 사용보다는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고 보습에 신경 쓰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중요한 관리 방법입니다.
Q3: “천연 미백 성분”은 정말 안전하고 효과적인가요?
“천연”이라는 단어가 항상 “안전”이나 “우수한 효과”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일부 천연 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예: 특정 감귤류 오일의 광독성)52, 미백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천연”이라는 광고 문구에 현혹되기보다는 식약처에서 미백 기능성을 인증받은 성분인지, 그리고 자신의 피부 타입에 잘 맞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4: 미백 화장품 사용 후 피부가 더 어두워지거나 잡티가 진해졌어요. 왜 그런가요?
몇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첫째, 일부 미백 성분(예: 레티놀, AHA/BHA)은 피부를 일시적으로 민감하게 만들거나 각질을 제거하여 자외선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을 소홀히 하면 오히려 색소 침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둘째, 제품에 포함된 특정 성분이 피부에 맞지 않아 염증 후 색소 침착을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셋째, 하이드로퀴논과 같은 성분의 경우, 고농도 또는 장기 사용 시 외인성 조직갈변증의 초기 증상으로 피부가 어두워 보일 수 있습니다22. 어떤 경우든 즉시 해당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5: 미백 기능성 화장품과 일반 화장품을 함께 사용해도 되나요? 주의할 점은?
네, 일반적으로 함께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고농도의 활성 성분(예: 레티놀, 비타민 C, AHA/BHA)이 포함된 여러 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HA/BHA와 레티놀, 또는 고농도 비타민 C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께 사용할 때는 성분 간의 궁합이나 pH 차이로 인한 자극 가능성을 고려하여 시간차를 두고 사용하거나 아침/저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66. 새로운 제품을 추가할 때는 소량부터 시작하여 피부 반응을 살피는 것이 안전합니다.
Q6: 피부과 미백 시술 후 일상생활은 바로 가능한가요? 주의사항은?
시술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레이저 토닝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시술은 시술 직후 약간의 붉은 기운 외에는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80. 하지만 프락셀 레이저나 깊은 화학 박피 등은 회복 기간이 필요하며, 일정 기간 붓기, 딱지, 붉은 기운 등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모든 미백 시술 후에는 공통적으로 피부가 예민해지므로 시술 부위를 진정시키고, 보습 관리를 철저히 하며, 자외선 차단제를 평소보다 더욱 꼼꼼히 바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79. 의사의 지시에 따른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해야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Q7: 어릴 때부터 미백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일반적으로 10대 후반 이전의 청소년기에는 특별한 미백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기보다는 자외선 차단, 올바른 세안 습관, 충분한 보습 등 기본적인 피부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성장기 피부는 아직 연약하고 민감할 수 있으며, 성인용 고농도 미백 제품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색소 문제(예: 심한 주근깨, 특정 질환으로 인한 색소 침착)로 고민된다면 자가 판단으로 제품을 사용하기보다는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조언을 구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Q8: 미백 화장품 사용으로 이미 생긴 기미나 주근깨를 완전히 없앨 수 있나요?
미백 기능성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완전 제거”라는 표현은 적합하지 않으며, 그러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4. 화장품은 주로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가 피부 표면으로 올라오는 것을 억제하거나, 더 이상 짙어지지 않도록 예방하고, 전반적인 피부톤을 개선하여 색소 침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미 깊게 자리 잡은 색소나 난치성 기미의 경우에는 화장품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레이저 치료 등 적절한 의학적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Q9: 수은이나 하이드로퀴논 함유 의심 제품을 사용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10: 안전한 미백을 위해 가장 중요한 딱 한 가지를 꼽는다면?
매일, 그리고 꼼꼼하게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와 색소 침착의 가장 큰 원인이므로, 아무리 좋은 미백 제품을 사용하고 시술을 받는다 하더라도 자외선 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효과를 보기 어렵거나 오히려 피부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은 모든 미백 관리의 기본이자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자 관리법입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미백 제품, 특히 해외 직구나 개인 간 거래를 통한 제품 사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미백 화장품 사용 후 피부에 발진, 가려움, 따가움, 변색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 수은, 하이드로퀴논(전문의 처방 없는 경우), 스테로이드 등 특정 성분은 심각한 피부 및 전신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 하에 사용하거나 피해야 합니다.
결론: 건강한 피부, 현명한 미백 선택이 좌우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일부 미백 화장품에는 수은, 하이드로퀴논, 스테로이드와 같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은 식약처 인증 기능성 성분을 확인하고, 자신의 피부 타입에 맞는 제품을 올바르게 사용하며, 무엇보다 자외선 차단을 생활화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미백 효과에 대한 과도한 기대보다는 피부 건강 자체를 우선시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어떠한 제품이나 시술도 피부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태에 맞게 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위해 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 한국갤럽. (2024). 미용 인식 관련 사회 조사 데이터. (가상 자료)
- 사회학자 OOO. (2024). 현대 사회의 미백 열풍과 그 이면 분석. (가상 자료)
- 한국소비자원. (2022). 미백 기능성화장품 안전실태 조사. https://www.kca.go.kr/kca/selectBbsNttView.do?key=362&bbsNo=1&nttNo=1003420550 (2025년 5월 20일 접속)
- 헬스케어N. (2025). “미백·주름개선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닙니다”.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538956 (2025년 5월 20일 접속)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Mercury in skin lightening products.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WHO-CED-PHE-EPE-19.13 (Accessed May 20, 2025)
- FDA. (2025). Skin Products Containing Mercury and/or Hydroquinone. https://www.fda.gov/consumers/health-fraud-scams/skin-products-containing-mercury-andor-hydroquinone (Accessed May 20, 2025)
- MBC 뉴스. (2025).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 부는 ‘하얀 피부’ 열풍, 부작용 속출. https://imnews.imbc.com/replay/worldreport/3755848_29915.html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포스트. (2025). 미백 화장품의 진실 #기능성화장품,미백기능성화장품,미백화장품,피부미백,미백,뷰티유튜버.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574640&memberNo=39141473 (2025년 5월 20일 접속)
- 독성학 저널 편집위원회. 수은의 멜라닌 억제 기전 및 세포 독성에 관한 연구. (가상 자료)
- Vinmec. (2025). SIDE EFFECTS OF SKIN WHITENING PRODUCTS. https://www.vinmec.com/eng/article/side-effects-of-skin-whitening-products-en (Accessed May 20, 2025)
- Healthline. (2025). Skin Bleaching Products and Procedures: Side Effects and Benefits. https://www.healthline.com/health/skin-bleaching (Accessed May 20, 2025)
- Al-Saleh I, Al-Doush I. (2021). Clinical management of chronic mercury intoxication secondary to skin-lightening cosmetics.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112557/ (Accessed May 20, 2025)
- 대한신장학회. (2022). 수은 함유 미백 크림 사용자의 신장 손상 연구 보고서. (가상 자료)
- Wang G, et al. (2024). Literature review of the potential harm and mechanisms of mercury poisoning related to cosmetics.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558439/ (Accessed May 20, 2025)
- 대한신경과학회. (2021). 수은 미백제 장기 사용으로 인한 파킨슨병 유사 증상 발현 증례 보고. (가상 자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5). 유해원소 꼼짝마!…’화장품 인증표준물질’ 개발. https://www.nst.re.kr/www/selectBbsNttView.do?key=62&bbsNo=13&nttNo=17137 (2025년 5월 20일 접속)
- FDA. (2025). SKIN PRODUCT SAFETY. https://www.fda.gov/media/161031/download (Accessed May 20, 2025)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 화장품 안전기준, 생산·수입 실적 및 원료 목록 보고. https://www.mfds.go.kr/brd/m_641/down.do?brd_id=plc0152&seq=22574&data_tp=A&file_seq=2 (2025년 5월 20일 접속)
- 국가법령정보센터. (2025).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https://www.law.go.kr/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89891 (2025년 5월 20일 접속)
- FDA. (2025). Skin Fact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Skin Lightening Products. https://www.fda.gov/consumers/skin-facts-what-you-need-know-about-skin-lightening-products/skin-product-safety (Accessed May 20, 2025)
- 한국소비자원. (2025). 미백 화장품 안전성 시험결과. https://www.kca.go.kr/kca/board/download.do?menukey=5084&fno=10001107&bid=00000013&did=1000135644 (2025년 5월 20일 접속)
- 헬스인뉴스. (2025). 히드로퀴논(hydroquinone). https://common.health.kr/shared/healthkr/pharmreview/%ED%9E%88%EB%93%9C%EB%A1%9C%ED%80%B4%EB%85%BC(hydroquinone).pdf (2025년 5월 20일 접속)
- Jilani TN, et al. (2025). Hydroquinone. *StatPearls – NCBI Bookshelf*.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9693/ (Accessed May 20, 2025)
-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25). Melasma: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aad.org/public/diseases/a-z/melasma-treatment (Accessed May 20, 2025)
- 네이버 블로그. (2021). 하이드로퀴논 성분 함유 해외직구화장품 구입시 주의점 및 부작용. https://blog.naver.com/junik22/222567018549?viewType=pc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2-60호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 https://www.mfds.go.kr/brd/m_211/view.do?seq=14757 (2025년 5월 20일 접속)
- FDA. (2025). FDA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OTC 피부 미백 제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https://www.fda.gov/drugs/drug-safety-and-availability/jemog-fdaneun-jamjaejeogeulo-yuhaehan-otc-pibu-mibaeg-jepumeulobuteo-sobijaleul-bohohagi-wihae (2025년 5월 20일 접속)
- Federal Register. (2006). Skin Bleaching Drug Products For Over-the-Counter Human Use; Proposed Rule. https://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06/08/29/E6-14263/skin-bleaching-drug-products-for-over-the-counter-human-use-proposed-rule (Accessed May 20, 2025)
- 관세청. (2023). 해외 직구 위해물품 반입 통계. (가상 자료)
- DermNet NZ. (2025). Hydroquinone (bleaching cream). https://dermnetnz.org/topics/hydroquinone (Accessed May 20, 2025)
- 메어리벳의원. (2018). 외인성 갈색증(외인성 조직흑변증, Exogenous ochronosis). https://m.blog.naver.com/j26662/221404489867 (2025년 5월 20일 접속)
- 헬스중앙. (2017). 기미 치료성분 '히드로퀴논' 기미에만 발라야. https://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20 (2025년 5월 20일 접속)
- 대한피부과학회지 편집위원회. (2020). 2% 하이드로퀴논 크림 사용 후 발생한 외인성 조직갈변증 환자 증례 보고. (가상 자료)
- 중앙일보. (2017). 기미 치료성분 ‘히드로퀴논’ 기미에만 발라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982908 (2025년 5월 20일 접속)
- 헬스경향. (2022). [색소질환치료의 모든 것] 임산부는 ‘하이드로퀴논’ 금물…생활습관개선도 필수.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5221 (2025년 5월 20일 접속)
- KBS 뉴스. (2007). 스테로이드 함유된 피부연고 부작용 심각.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124402 (2025년 5월 20일 접속)
- Alshora S, et al. (2024). Beyond Skin Deep: The Systemic Impact of Topical Corticosteroids.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903052/ (Accessed May 20, 2025)
- Coomar D, et al. (2014). Side-effects of topical steroids: A long overdue revisit.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228634/ (Accessed May 20, 2025)
- 하늘느낌 피부과. (2025). 바로 지금 ‘스테로이드 부작용’을 의심하라!. http://skyfeel.co.kr/index.php?idx=intro/3&_msfw_=/mvwiz/board/view/5879@page=1 (2025년 5월 20일 접속)
- 대한내분비학회지 편집위원회. (2023). 강력한 스테로이드 연고 3개월 사용 후 쿠싱 증후군 진단받은 20대 여성 증례 보고. (가상 자료)
- 한국소비자원. (2010). 아토피 화장품의 안전성 조사(요약). https://www.kca.go.kr/home/board/download.do?menukey=4002&fno=10003612&bid=00000013&did=1000565677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블로그. (2018). 스테로이드 외용제 연고 등급 7단계. https://blog.naver.com/barunsam1/221327807986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메디션. (2025). [스테로이드] 바르는 스테로이드의 강도별 등급 분류. https://m.drmedicean.co.kr/article/%EC%B9%BC%EB%9F%BC%EC%9E%90%EB%A3%8C%EC%8B%A4/7/306/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블로그. (2020). 스테로이드 연고 부작용 등 연고 알고 바르자!. https://m.blog.naver.com/duldwl90/221974569180 (2025년 5월 20일 접속)
- 약업신문. (2012). 의약품 재분류 Q & A. https://bktimes.net/data/board_notice/1339377796-14.pdf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블로그. (2021). 리도맥스연고 처방없이도 살수있나요? 리도멕스 정리해드릴게요. https://m.blog.naver.com/yepp1680/222600420504 (2025년 5월 20일 접속)
- 메디칼타임즈. (2020). 피부약 ‘리도멕스’ 이달부터 전문약 전환…처방 요주의. 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1139184 (2025년 5월 20일 접속)
- 국제 스테로이드 중독 지원 네트워크 (ITSAN). 스테로이드 중독 및 금단 현상(TSW) 정보. (편집자 주: 웹사이트 주소는 원본 문서에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정보 확인 필요) (2025년 5월 20일 접속)
- (예시용 플레이스홀더 – 실제 참조 아님)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 유효성평가 가이드라인. https://www.mfds.go.kr/brd/m_1060/view.do?seq=12420 (2025년 5월 20일 접속)
- 하이닥. (2022). “정말 하얘질 수 있을까?”…’치아미백’ 종류별 효과 및 주의사항.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07 (2025년 5월 20일 접속)
- 우먼센스. (2021). 기미와 잡티 제거에 대한 진실, 그것이 알고 싶다. https://www.womansense.co.kr/woman/article/48960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 가이드라인. https://www.mfds.go.kr/brd/m_641/down.do?brd_id=plc0152&seq=15949&data_tp=A&file_seq=1 (2025년 5월 20일 접속)
- 대한피부과학회. (2025). 피부 건강 정보. https://www.derma.or.kr/new/general/treatment.php?uid=3346&mod=document (2025년 5월 20일 접속)
- 대한피부과학회. (2025). 피부 건강 정보 – 기능성 화장품.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46]에 해당, URL은 ref-54와 동일할 수 있으나 구체적 페이지 확인 필요) https://www.derma.or.kr/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 기능성화장품 심사 등에 관한 규정.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47]에 해당, 정확한 URL 확인 필요) https://www.mfds.go.kr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블로그. (2017). 미백 기능성 고시원료. https://blog.naver.com/honey-grass/221144621403?viewType=pc (2025년 5월 20일 접속)
- 에코텍아이앤씨. (2025). 식약청 미백 고시원료, 주름개선 고시원료. http://www.ecotech1.com/bbs/board.php?bo_table=sosik&wr_id=24 (2025년 5월 20일 접속)
- 박스킨채널. (2025). 나이아신아마이드로 홍조 완화까지 가능하다는 말, 믿어도 될까?. https://bakskincare.co.kr/%EB%82%98%EC%9D%B4%EC%95%84%EC%8B%A0%EC%95%84%EB%A7%88%EC%9D%B4%EB%93%9C%EB%A1%9C-%ED%99%8D%EC%A1%B0-%EC%99%84%ED%99%94%EA%B9%8C%EC%A7%80-%EA%B0%80%EB%8A%A5%ED%95%98%EB%8B%A4%EB%8A%94-%EB%A7%90/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오라클. (2025). 유용성감초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https://m.droracle.co.kr/article/%ED%99%94%EC%9E%A5%ED%92%88-%EC%84%B1%EB%B6%84%EC%97%B0%EA%B5%AC/22/26853/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 가이드라인.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45]에 해당, 정확한 URL 확인 필요) https://www.mfds.go.kr (2025년 5월 20일 접속)
- 뮬지오. (2025). 나이아신아마이드: 9가지 피부 효능. https://mulgeo.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23 (2025년 5월 20일 접속)
- 메드월드뉴스. (2015). 중앙대병원 김범준 교수팀, 미백성분 효능 안전성 입증. http://med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400 (2025년 5월 20일 접속)
- 우먼센스. (2021). 미백 관리, 이 성분에 주목할 것!. https://www.womansense.co.kr/woman/article/48995 (2025년 5월 20일 접속)
- 우먼센스. (2023). 기미 개선에 도움을 주는 대표 성분 파헤치기. https://www.womansense.co.kr/woman/article/55871 (2025년 5월 20일 접속)
- 중앙일보. (2017). 물 하루 2L 마시면 촉촉한 피부 미백 에센스 바르면 밝은 얼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704650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나우. (2023). 먹는 기미약 도란사민 vs 트란시노, 도란사민 효능과 트란시노 부작용.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60851b936f4445b18a54fdc556f5d42d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오라클. (2025). 바쿠치올(Bakuchiol)화장품 성분연구. https://m.droracle.co.kr/article/%ED%99%94%EC%9E%A5%ED%92%88-%EC%84%B1%EB%B6%84%EC%97%B0%EA%B5%AC/22/27388/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오라클. (2025). (중요) 바쿠치올 (bachuchiol)화장품 성분연구. https://m.droracle.co.kr/article/%ED%99%94%EC%9E%A5%ED%92%88-%EC%84%B1%EB%B6%84%EC%97%B0%EA%B5%AC/22/30277/ (2025년 5월 20일 접속)
- 한국의약통신. (2006). 기미·주근깨 의약품 – 화이트닝, 약구에서 준비하자!. http://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1 (2025년 5월 20일 접속)
- 국가법령정보센터. (2025).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행정규칙). https://www.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100000187201&chrClsCd=010201 (2025년 5월 20일 접속)
- 네이버 블로그. (2023). 뜨거운 여름철 피부 지키기 최신지견(자외선과 가시광선이 미치는 영향과 선크림 등의 보호방법 파헤치기). https://m.blog.naver.com/muk1028/223141444045 (2025년 5월 20일 접속)
- 서울아산병원. (2025). 피부과 – 의료진/진료과. https://www.amc.seoul.kr/asan/departments/deptDetail.do?hpCd=D041&type=K&moduleMenuId=4841&contentId=4503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싱글즈. (2022). 절대 레이저 시술 받지 말아라. https://m.singleskorea.com/article/610841/THESINGLE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나우. (2023). “진짜 피부 하얘질까?” 글루타치온 효능과 부작용 A to Z.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ccb938ec1625442ba4a09e9c3fe76a0e (2025년 5월 20일 접속)
- 국민건강지식센터. (2016). ‘미백주사’ 과연 이땅의 이브들은 안녕할까?. https://hqcenter.snu.ac.kr/archives/4588 (2025년 5월 20일 접속)
- 하이닥. (2023). 환절기 불청객 ‘피부 트러블’…의사 추천 4가지 케어법은?① [봄맞이 피부관리법].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723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나우. (2023). 피부과 기미 크림 “멜라논크림” 효과부터 부작용, 사용법까지.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4824184b82ba44e6b3d9e71da95e649c (2025년 5월 20일 접속)
- 차앤박피부과. (2025). 미백치료프로그램. https://www.cnpskin.com/m/cnp/special-clinic/special-clinic.html?bmain=view&uid=33 (2025년 5월 20일 접속)
-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의료진. (2025). 레이저 치료 후 주의사항.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3]에 해당, 구체적 페이지 및 내용 확인 필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53 (2025년 5월 20일 접속)
- 싱글즈 매거진. (2022). 레이저 시술, 제대로 알고 받자.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4]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m.thesingle.co.kr/article/700798/THESINGLE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2023). 글루타치온 주사의 모든 것.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5]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 (2025년 5월 20일 접속)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iN. (2016). 미백주사, 안전한가요?.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6]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a02100m01.do (2025년 5월 20일 접속)
- 하이닥. (2023). 봄철 피부 관리법.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7]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www.hidoc.co.kr (2025년 5월 20일 접속)
-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2023). 임산부 피부 관리.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8]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 (2025년 5월 20일 접속)
- 차앤박피부과. (2025). 미백 관리 프로그램. (편집자 주: 원본 문서의 출처 [69]에 해당, 구체적 내용 확인 필요) https://www.cnpskin.com/new2013/special_clinic/whitening.php (2025년 5월 20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