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모유 수유 중에도 임신은 가능하며, 출산 후 생리가 없더라도 배란이 먼저 시작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피임 지식은 필수입니다.
- 수유 무월경법(LAM)은 완전 무월경, 완전/거의 완전 모유 수유, 아기 6개월 미만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엄격히 충족할 때 효과적인 자연 피임법이 될 수 있지만, 그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다른 피임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모유 수유 중에는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법과 장기 지속형 가역적 피임법(LARC) 등 모유와 아기에게 비교적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다양한 피임 방법이 있으며, 개인의 건강 상태, 수유 패턴, 가족 계획 등을 고려하여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모든 피임 정보는 최신 의학 연구와 국제적인 권위 기관(WHO, CDC 등) 및 국내 전문가(대한산부인과학회, 한국마더세이프 등)의 권고에 기반해야 하며, 예상치 못한 임신이 확인될 경우에도 당황하지 않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히 대처해야 합니다.
I. 서론: 모유 수유와 가족 계획, 왜 중요할까요?
출산 후 여성의 몸은 임신과 출산이라는 큰 변화를 겪으며 서서히 회복됩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다시 임신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며, 특히 모유 수유 중에는 피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통념으로 인해 원치 않는 임신을 경험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모유 수유 중 임신은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모유 수유를 하면 임신이 안 된다’거나 ‘생리가 없으니 괜찮다’는 등의 오해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1. 계획된 임신과 건강한 터울 조절은 엄마와 아기 모두의 건강은 물론, 가족 전체의 행복과도 직결됩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출산과 양육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만큼, 개별 가정의 상황에 맞는 신중한 가족 계획이 더욱 강조됩니다. 이 글은 모유 수유 중인 대한민국 엄마들이 가장 궁금해하고 걱정하는 임신 가능성과 피임 방법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의학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여 건강한 선택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I. 모유 수유 중 임신, 정말 가능한가요? – 과학적 원리 이해
많은 분들이 모유 수유 중에는 임신이 잘 안 된다고 알고 있지만, 이는 특정 조건 하에서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과학적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출산 후 생식 능력은 언제 어떻게 돌아올까요?
출산 후 여성의 생식 능력 회복은 다양한 호르몬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임신 중 변화했던 프로락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의 호르몬 수치가 출산과 함께 다시 조절되기 시작하며 배란과 월경 주기가 회복됩니다2. 배란이 재개되는 시점은 모유 수유 여부와 수유 패턴에 따라 개인차가 매우 큽니다. 모유 수유를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 평균적으로 분만 후 4주에서 6주 이내, 빠르면 27일 만에도 배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3, 4. 반면, 모유 수유를 하는 여성은 프로락틴 호르몬의 영향으로 배란 억제 효과가 지속되어 배란 재개가 늦어질 수 있으며, 이는 평균적으로 출산 후 6개월 전후, 길게는 1년 이상 지연되기도 합니다1, 5. 중요한 점은 많은 경우 첫 월경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배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3, 4. 따라서 “아직 생리가 없으니 임신 가능성이 없다”고 안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첫 산후 월경의 약 2/3는 무배란성 월경일 수 있지만, 그 이전이나 이후에 이미 배란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B. 프로락틴 호르몬: 모유 수유와 임신 억제의 연결고리
프로락틴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주로 유즙 분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2. 아기가 젖을 빨면 이 자극이 엄마의 뇌로 전달되어 프로락틴 분비가 증가하고, 이는 모유 생성을 유지시킵니다. 동시에, 높은 농도의 프로락틴은 난소에서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억제하고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를 방해하여 배란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2. 이것이 바로 모유 수유가 자연적인 피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과학적 근거입니다. 하지만 프로락틴 수치와 그로 인한 배란 억제 효과는 수유 빈도, 한 번 수유 시 아기가 빠는 강도와 시간, 밤중 수유 여부, 그리고 아기에게 모유 외 다른 음식(보충식)을 먹이는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수유 패턴이 불규칙해지거나 수유량이 줄어들면 프로락틴 수치가 낮아져 배란 억제 효과가 약해지고 임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III. 수유 무월경법 (Lactational Amenorrhea Method, LAM): 자연 피임의 조건과 한계
수유 무월경법(LAM)은 아기에게 완전 모유 수유를 하는 동안 자연적으로 피임 효과를 얻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그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정확한 조건과 한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A. LAM이란 무엇인가요?
수유 무월경법(LAM)은 출산 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모유 수유 자체가 일시적으로 배란을 억제하여 피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6, 7. 이는 1988년 이탈리아 벨라지오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전문가들이 LAM의 효과와 조건을 표준화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피임 방법입니다7, 8. LAM의 작동 원리는 아기가 엄마의 젖을 규칙적으로 충분히 빨면 프로락틴 호르몬 수치가 높게 유지되어, 난소에서 난포가 성숙하고 배란되는 과정을 억제하는 것입니다6.
B. LAM의 효과와 성공 조건 (3가지 핵심 기준)
LAM이 효과적인 피임법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핵심 기준을 모두 엄격하게 충족해야 합니다6, 7, 9, 10:
- 1. 완전 무월경 상태인가?: 출산 후 첫 56일(8주) 이후 어떤 질 출혈도 없어야 합니다. 56일 이전에 나타나는 출혈은 산후 오로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이후의 출혈은 월경 재개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6, 7.
- 2. 아기에게 완전 모유 수유 또는 거의 완전 모유 수유를 하고 있는가?:
- 3. 아기의 월령이 6개월 미만인가?: 출산 후 6개월이 지나면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하게 되고 수유 패턴이 바뀌면서 LAM의 효과가 급격히 감소합니다6, 9, 10, 11.
위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LAM의 피임 효과는 출산 후 첫 6개월 동안 약 98%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 9, 10, 8. 하지만 이는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효과이며,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 등 관련 연구에 따르면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성공률 및 실패율은 사용자의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일부 연구에서는 LAM 사용자와 미사용 완전 수유 여성 간 임신율에 명확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기도 합니다7.
C. LAM 사용 시 주의사항 및 한계점
LAM은 자연스럽고 편리한 피임법이 될 수 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주의사항과 한계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 조건 불충족 시 효과 급감: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지켜지지 않으면 피임 효과는 급격히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보충식을 시작하거나 밤중 수유를 건너뛰면 임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1.
- 개인차 존재: 모든 여성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같은 조건을 지키더라도 개인의 생리적 차이에 따라 배란이 더 일찍 회복될 수 있습니다.
- 6개월 이후 또는 월경 재개 시 전환 필수: 아기가 6개월이 되거나, 산후 56일 이후 한 번이라도 월경이 시작되었다면 LAM의 피임 효과는 더 이상 신뢰할 수 없으므로 즉시 다른 효과적인 피임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이해 부족으로 인한 위험: LAM의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안일하게 생각하다 원치 않는 임신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7.
D. LAM, 언제까지 안전하며 어떻게 전환해야 할까요?
LAM의 피임 효과를 신뢰할 수 있는 시점은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동안, 그리고 최대 출산 후 6개월까지입니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LAM은 더 이상 안전한 피임법이 아니므로 다른 피임법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 아기의 월령이 6개월이 되었을 때
- 산후 56일 이후 월경이 시작되었을 때 (점상 출혈이라도 해당될 수 있음)
- 아기에게 규칙적으로 모유 외 보충식(분유, 이유식, 물 등)을 주기 시작했을 때
- 밤중 수유를 포함한 수유 간격이 길어지거나 수유 횟수가 줄어들었을 때
이러한 전환 시점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 수유 상황, 향후 가족 계획 등을 고려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다른 피임법으로의 전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갑작스러운 피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IV. 모유 수유 중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임 방법 총정리
모유 수유 중 피임 방법을 선택할 때는 아기와 엄마 모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각 피임법의 효과, 장단점,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개인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비호르몬 피임법
비호르몬 피임법은 모유 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1. 차단 피임법 (Barrier Methods)
- 콘돔 (남성용/여성용):
- 격막(Diaphragm), 자궁경부 캡(Cervical Cap) (살정제와 함께 사용):
- 자궁경부를 덮어 정자가 자궁 내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입니다. 피임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살정제와 함께 사용됩니다.
- 장점은 모유 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6.
- 단점으로는 정확한 크기를 의사에게 처방받아 정확히 장착해야 하고, 사용 전후 관리가 번거로우며, 한국에서는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살정제 (Spermicides):
2. 구리 자궁 내 장치 (Copper Intrauterine Device, Cu-IUD)
- 작용 기전은 자궁 내에 삽입된 구리가 정자의 운동성과 수정 능력을 방해하고, 수정란의 착상을 어렵게 만드는 것입니다.
- 피임 효과는 99%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한 번 시술로 제품에 따라 최대 10년까지 효과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13, 6, 12.
- 장점으로는 호르몬을 포함하지 않아 모유 수유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장기간 효과가 지속되며, 제거 후에는 즉시 가임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6, 12, 14.
- 단점으로는 시술이 필요하고, 시술 초기 몇 달간 생리량이 늘거나 생리통이 심해질 수 있으며, 드물지만 골반 감염이나 자궁 천공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6.
- 삽입 시기는 일반적으로 출산 후 자궁이 충분히 회복된 4주에서 6주 이후에 권장됩니다12, 14.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의학적 피임법 사용 기준(MEC)에 따르면, 출산 후 48시간 이내에도 삽입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장치 배출의 위험이 다소 높을 수 있어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이 필요합니다15.
3. 자연주기법 (Fertility Awareness-Based Methods)
- 종류로는 기초체온법, 자궁경부 점액관찰법(빌링스법), 증상체온법 등이 있으며, 여성 스스로 생리 주기에 따른 가임기를 파악하여 해당 기간 동안 금욕하거나 다른 차단 피임법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은 특별한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6.
- 단점으로는 출산 후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가임기 예측이 매우 어렵고, 이로 인해 피임 실패율이 약 76%로 매우 높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12. 성공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철저한 교육과 꾸준한 실천이 필요하며, 특히 모유 수유 중에는 배란 주기가 더욱 불규칙하므로 전문가의 특별한 교육과 지도가 필요합니다6.
- 모유 수유 중 적용의 어려움: 프로락틴 호르몬의 영향으로 배란 주기가 불규칙하고 예측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모유 수유 중인 여성에게 자연주기법은 신뢰할 수 있는 피임 방법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B. 호르몬 피임법 (전문의 상담 필수)
호르몬 피임법은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결정하세요.
1.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법 (Progestin-Only Contraceptives, POCs)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법은 에스트로겐 없이 프로게스틴 성분만 포함된 피임법으로, 주로 자궁경부 점액을 끈끈하게 만들어 정자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일부 배란을 억제하며, 자궁내막을 수정란이 착상하기 어려운 상태로 변화시킵니다. 모유 수유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에스트로겐을 포함하지 않아 모유의 양이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거나 거의 없어 수유 중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 16, 17.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미국모유수유의학회(ABM) 등 주요 기관에서도 이를 권고하고 있습니다6, 17.
- 가. 프로게스틴 단독 경구 피임약 (Progestin-Only Pills, POPs / 미니필 Minipill):
- 복용법은 매일 같은 시간에 정확히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피임 효과는 정확히 복용할 경우 약 91-99%입니다12.
- 장점으로는 모유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부작용(예: 혈전 위험 증가)을 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6, 16.
- 단점으로는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복용 시간을 놓치면 피임 효과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점입니다6.
- 시작 시기는 CDC MEC 2024년 기준에 따르면 모유 수유 중인 여성은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으며(카테고리 1 또는 2 해당)17, 18, 미국모유수유의학회(ABM)는 모유 생성이 안정적으로 확립된 후에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6.
- 나. 프로게스틴 주사제 (DMPA – Depot Medroxyprogesterone Acetate):
- 3개월에 한 번씩 주사로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 피임 효과는 약 94-99%입니다12.
- 장점으로는 높은 피임 효과와 사용의 편의성을 들 수 있습니다.
- 단점으로는 불규칙한 출혈, 체중 증가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골밀도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있고, 주사 중단 후 가임력 회복이 다소 지연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6.
-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유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보고가 많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출산 초기 사용 시 모유량 감소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CDC MEC 기준으로는 출산 후 6주 미만 수유부에게는 카테고리 3(이론적 또는 입증된 위험이 이점보다 크다고 판단)으로 분류되며, 6주 이후에는 카테고리 1 또는 2로 분류됩니다15, 17, 18, 19. ABM은 모유 생성이 완전히 확립되기 전 초기 사용에는 신중할 것을 권고합니다6.
- 한국에서도 이 피임 주사 사용이 가능합니다12.
- 다. 피하 이식형 피임제 (Contraceptive Implant, 예: 임플라논):
- 팔 안쪽 피부 밑에 성냥개비 크기의 작은 막대를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 피임 효과는 99%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한 번 시술로 최대 3년간 효과가 지속됩니다13, 12, 20.
- 장점으로는 매우 높은 피임 효과와 장기간 지속성, 사용자가 매일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점, 그리고 제거 후 비교적 빠른 가임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13, 20.
- 단점으로는 시술 및 제거 과정이 필요하며,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그 외 두통이나 체중 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6.
-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은 모유의 양이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DC MEC 기준에 따르면 모유 수유 중인 여성은 언제든지 시술을 시작할 수 있으며(카테고리 1 또는 2 해당)17, 18, ABM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피임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6.
- 한국에서도 임플라논 등의 피하 이식형 피임제 사용이 가능합니다13, 12, 20.
- 라. 레보노르게스트렐 방출 자궁 내 장치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LNG-IUS / 호르몬 루프, 예: 미레나, 카일리나, 제이디스):
- 자궁 내에 T자 모양의 작은 장치를 삽입하여 국소적으로 소량의 프로게스틴(레보노르게스트렐)을 방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자궁경부 점액을 변화시켜 정자의 통과를 막고, 일부 배란을 억제하며, 자궁내막을 위축시켜 착상을 어렵게 합니다.
- 피임 효과는 99%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제품 종류에 따라 3년에서 최장 8년까지 효과가 지속됩니다13, 12, 14.
- 장점으로는 매우 높은 피임 효과와 장기간 지속성 외에도, 생리량과 생리통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점(특히 미레나의 경우)입니다14.
- 단점으로는 시술이 필요하며, 시술 초기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일부 여성에서는 무월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골반 감염이나 자궁 천공 등의 위험도 있습니다.
-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은 전신으로 흡수되는 호르몬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모유의 양이나 질, 또는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DC MEC 기준에 따르면, 출산 후 48시간 이내 삽입은 수유부에게 카테고리 2(이점이 위험보다 크다고 판단), 48시간에서 출산 후 4주 미만 사이에는 카테고리 3, 출산 후 4주 이후에는 카테고리 1(사용에 제한 없음)로 분류됩니다15, 17, 18. ABM은 출산 직후 장착 시 모유 수유 기간 단축 가능성을 언급한 단일 연구를 소개하며, 출산 후 6주 이후 장착은 문제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6.
- 한국에서는 미레나, 카일리나 등 다양한 종류의 LNG-IUS가 사용되고 있습니다13, 14.
2. 복합 호르몬 피임법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ves, CHCs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 종류로는 경구 피임약, 피부에 붙이는 패치, 질내에 삽입하는 링 등이 있습니다.
- 주된 작용 기전은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경부 점액을 변화시켜 정자의 통과를 막으며, 자궁내막을 수정란이 착상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 모유 수유에 대한 영향 (주의 필요!):
- 복합 호르몬 피임법에 포함된 에스트로겐 성분은 모유의 양과 질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6, 16, 21. 이는 특히 모유 생성이 아직 완전히 확립되지 않은 출산 초기에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미국산부인과학회(ACOG), 미국모유수유의학회(ABM) 등 주요 전문가 단체의 권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출산 후 6주 이내, 특히 3-4주 이내에는 사용을 피하거나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이 시기는 모유 생성이 아직 안정되지 않았고, 산모의 혈전 위험도 높은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CDC의 의학적 피임법 사용 기준(MEC) 2024년판에 따르면, 모유 수유 중인 여성이 출산 후 21일 미만일 경우 복합 호르몬 피임법 사용은 카테고리 4(절대 금기)이며, 21일에서 30일 사이에는 정맥혈전색전증(VTE) 위험이 없을 경우 카테고리 3(이론적 또는 입증된 위험이 이점보다 큼), 30일에서 42일 사이에는 VTE 위험이 없을 경우 카테고리 2(이점이 위험보다 큼), 42일 이후에는 카테고리 2로 분류됩니다15, 17, 18.
- 출산 후 6주 이후 사용 고려: 모유 수유가 잘 확립되었고, 다른 피임법 사용이 어렵거나 부적합한 경우,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저용량 에스트로겐을 포함한 복합 호르몬 피임법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습니다6, 9, 10.
- 프로게스틴 단독 제제가 우선적으로 권장됩니다.
- 장점 (일반적): 규칙적인 생리 주기 조절, 생리통 및 생리량 감소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단점 (일반적):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혈전 생성 위험 증가, 두통, 오심, 체중 변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한국 상황: 일부 복합 경구 피임약은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지만, 모유 수유 중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처방 및 지도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12.
C. 응급 피임법 (Emergency Contraception)
- 정의 및 사용 시점: 응급 피임법은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졌거나, 사용하던 피임 방법에 실패했을 경우(예: 콘돔 파손, 피임약 복용 누락)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가능한 한 빨리 사용할수록 효과가 높습니다12.
- 종류:
- 모유 수유 중 사용:
- 레보노르게스트렐 제제: 모유로 소량 이행되지만 아기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거의 없습니다. WHO, CDC 등 주요 기관에서도 모유 수유 중 사용 가능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6, 15. 일부에서는 약물 복용 후 몇 시간 동안 수유를 일시 중단하고 유축하여 버릴 것을 권고하기도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제제: 모유로 이행되며, 아기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가 레보노르게스트렐 제제보다 부족합니다. 약물 복용 후 일정 기간(예: 1주일) 동안 수유를 중단하고 유축하여 버릴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CDC MEC 기준으로는 카테고리 2(이점이 위험보다 큼)로 분류되나,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15.
- 구리 IUD: 호르몬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모유 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6.
- 주의사항: 응급 피임법은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일상적인 피임 수단이 아닙니다. 오심, 구토, 두통, 불규칙한 질 출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처방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D. 영구 피임법 (Permanent Contraception)
- 가족 계획을 모두 마쳤다고 확신하는 경우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성 또는 남성에게 시술합니다.
- 여성 난관 수술 (난관 결찰 또는 절제):
- 남성 정관 수술:
- 고려사항: 영구적인 피임 방법이므로 매우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시술 후 임신을 원할 경우 복원 수술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며, 성공률도 낮습니다. 부부간의 충분한 상의와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E. 피임 방법 선택을 위한 핵심 고려사항
모유 수유 중 피임 방법을 선택할 때는 다음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부인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한 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려사항 | 내용 |
---|---|
모유 수유 패턴 | 완전 모유 수유 여부, 하루 수유 빈도 및 간격, 밤중 수유 여부, 이유식 또는 보충식 시작 여부 등 |
출산 후 기간 | 출산 직후, 출산 후 6주 이내, 6주 이후, 6개월 이후 등 시기별로 권장되거나 피해야 할 피임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개인의 건강 상태 | 혈전 위험 인자 유무, 특정 질환(예: 고혈압, 당뇨, 편두통) 병력, 현재 복용 중인 약물 등 |
피임 효과 | 각 피임 방법의 일반적인 효과율 및 실패율을 정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
사용 편의성 및 지속성 | 매일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주기적인 주사 필요성, 한 번 시술로 장기간 효과 지속 여부 등 생활 패턴에 맞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
부작용 및 안전성 | 개인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예: 부정출혈, 체중 변화, 두통 등)과 심각한 합병증 발생 위험을 이해해야 합니다. |
모유 및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 특히 호르몬 피임법의 경우, 모유의 양이나 질, 아기의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가임력 회복 | 피임 방법 중단 후 다시 임신을 원하는 경우, 가임력 회복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
비용 | 초기 시술 비용 및 장기적인 유지 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성병 예방 효과 | 콘돔을 제외한 대부분의 피임법은 성병 예방 효과가 없습니다. |
개인의 선호도 및 생활 방식 | 자신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고, 생활 방식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파트너와의 상의 | 피임은 부부가 함께 책임지고 결정해야 할 문제입니다. |
전문의 상담 |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산부인과 전문의는 개인의 건강 상태, 수유 상황, 가족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가장 적합한 피임 방법을 추천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V. 모유 수유 중 임신이 확인된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모유 수유 중이라도 피임에 실패하거나 계획하지 않은 임신이 확인될 수 있습니다.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다음 단계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임신 확인 방법
- 임신 테스트기 사용: 모유 수유 중에도 소변으로 hCG(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임신 테스트기의 정확도는 유지됩니다. 따라서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자가 검사를 해볼 수 있습니다.
- 병원 진료 및 검사: 자가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거나, 임신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의사는 혈액 검사나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임신 여부, 임신 주수, 태아의 상태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모유 수유 지속 여부 결정
모유 수유 중에 임신 사실을 알게 되면 많은 엄마들이 모유 수유를 계속해도 되는지 고민하게 됩니다.
- 일반적인 안전성: 대부분의 경우, 임신 중 모유 수유(tandem nursing)는 건강한 산모와 태아, 그리고 수유 중인 아기 모두에게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WHO와 같은 국제기구에서도 특별한 건강 문제가 없는 한 임신 중 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 자궁 수축 가능성: 모유 수유 시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자궁 수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조산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건강하고 정상적인 임신 과정에서는 이러한 자궁 수축이 조산 위험을 크게 높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다만, 조산 경험이 있거나 유산 위험이 높은 고위험 임신의 경우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수유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 모유 성분 및 양의 변화 가능성: 임신을 하면 호르몬 변화로 인해 모유의 맛이나 양이 다소 변할 수 있습니다. 초유와 유사한 성분으로 변하기도 하며, 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유 중인 아기가 이전만큼 젖을 잘 먹지 않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엄마의 영양 관리 중요성: 임신과 동시에 모유 수유를 하는 것은 엄마의 몸에 상당한 영양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태아의 성장과 모유 생성에 필요한 충분한 열량과 영양소를 섭취하기 위해 균형 잡힌 식단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필요시 영양제 복용에 대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가 상담 필수: 모유 수유 지속 여부는 산모의 건강 상태, 임신 주수, 태아의 상태, 수유 중인 아기의 나이와 건강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문제입니다. 반드시 산부인과 의사 및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C. 새로운 임신 중 건강 관리
모유 수유 중 임신이 확인되었다면, 새로운 임신 기간 동안 산모와 태아 모두의 건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산전 진찰: 산부인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인 산전 진찰을 빠짐없이 받아야 합니다.
-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충분한 휴식: 임신과 수유를 동시에 하는 만큼, 평소보다 더 많은 열량과 영양소가 필요합니다.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체력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 필요시 영양제 복용: 의사의 처방에 따라 엽산, 철분, 칼슘 등 임신과 수유에 필요한 영양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VI. “젖을 떼야 임신이 되나요?” – 흔한 질문에 대한 답변
많은 여성들이 다음 임신을 계획할 때 “모유 수유를 중단해야만 임신이 가능할까?”라는 궁금증을 가집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드시 젖을 떼야만 임신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22. 모유 수유 중에도 배란은 회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신도 가능합니다. 완전 모유 수유를 하는 동안에는 프로락틴 호르몬의 영향으로 배란이 억제될 수 있지만,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수유 빈도가 줄어들거나 이유식을 시작하게 되면 프로락틴 수치가 변동하여 배란이 다시 시작될 수 있습니다.
만약 다음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아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급격한 단유보다는 점진적으로 수유량이나 횟수를 조절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단유 없이도 임신 시도는 가능하며, 실제로 많은 여성이 수유 중에 다음 아이를 임신합니다.
- 임신을 계획한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임신 준비 계획(예: 엽산 복용 시작, 건강 상태 점검 등)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연구 동향에 따르면, 보조생식술(ART)을 고려하는 여성이 모유 수유 중일 경우, 수유가 난소 기능이나 자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단유 후 시술을 진행하도록 권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23.
VII. 자주 묻는 질문 (FAQ) – 대한민국 엄마들의 실제 궁금증 해결
Q1. 모유 수유 중 생식력은 언제 가장 빨리 회복되나요?
A1. 개인차가 매우 큽니다. 일반적으로 월경이 돌아오면 배란도 정상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수유 빈도가 낮아지거나 수유 간격이 길어지면 프로락틴 분비가 줄어들어 배란이 더 빨리 시작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월경 없이도 배란이 먼저 일어난 후 임신이 가능하므로, 단순히 월경 유무만으로 임신 가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1.
Q2. 모유 수유 중 안전한 피임약은 무엇인가요? 에스트로겐 없는 피임약만 써야 하나요?
A2. 네, 일반적으로 모유 수유 중에는 에스트로겐 성분이 없는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약(미니필)이 권장됩니다.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복합 호르몬 피임약은 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특히 출산 후 6주 이내 또는 모유 수유가 완전히 확립되기 전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산 후 6주가 지나고 모유 수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저용량 복합 호르몬 피임약도 신중하게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6.
Q3. 자궁 내 장치(루프)는 언제부터 할 수 있고, 모유 수유에 영향은 없나요?
A3. 구리 자궁 내 장치(Cu-IUD)는 호르몬을 포함하지 않아 모유 수유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레보노르게스트렐 방출 자궁 내 장치(LNG-IUS, 호르몬 루프) 역시 전신으로 흡수되는 호르몬의 양이 매우 적어 모유나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출산 후 자궁이 충분히 회복되는 4주에서 6주 이후에 시술이 가능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만 직후나 퇴원 전에 삽입하기도 하지만, 이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개인의 상태에 대해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6.
Q4. 수유 무월경법(LAM)만으로 충분할까요? 추가 피임이 필요한 시점은 언제인가요?
A4. 수유 무월경법(LAM)은 세 가지 조건, 즉 ① 완전 무월경 상태 유지, ② 아기에게 완전 또는 거의 완전 모유 수유, ③ 아기의 월령이 6개월 미만이라는 조건을 모두 엄격하게 지킬 때에만 약 98%의 피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시점(예: 아기가 6개월 이상 되었을 때, 아기에게 규칙적으로 이유식이나 분유를 먹이기 시작했을 때, 산후 56일 이후 월경이 다시 시작되었을 때)에는 즉시 다른 효과적인 피임 방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9.
Q5. 모유 수유 중 임신 테스트기 결과는 정확한가요?
A5. 네, 정확합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임신 테스트기는 소변 중 hCG(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 수치를 감지하여 임신 여부를 판단합니다. 모유 수유 자체가 이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모유 수유 중이라도 임신 테스트기의 결과는 신뢰할 수 있습니다.
Q6. 밤중 수유를 거르지 않고 자주 하는데, 이 정도면 LAM 효과가 있을까요?
A6. 밤중 수유를 포함하여 아기가 원할 때마다 하루 8-12회 이상 충분히 수유하는 것은 수유 무월경법(LAM)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나머지 두 가지 조건, 즉 ‘완전 무월경 상태’와 ‘아기의 월령 6개월 미만’이라는 조건도 함께 충족되어야 하며, 아기에게 모유 외 다른 보충식을 전혀 또는 거의 주지 않는 ‘완전 또는 거의 완전 모유 수유’ 상태여야 합니다. 모든 조건이 정확히 충족되고 있는지, 그리고 LAM을 안전하게 사용해도 되는지에 대해서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별 상황에 맞는 조언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24.
Q7. 출산 후 바로 LARC(장기 지속형 가역적 피임법) 시술을 받아도 되나요?
A7. 네, 많은 경우 출산 직후 병원에서 퇴원하기 전이나 첫 산후 검진 시에 LARC(자궁 내 장치 또는 피하 이식형 피임제) 시술이 가능하며, 이는 원치 않는 단기 임신 간격을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권장되기도 합니다. LARC는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시술 가능 여부와 가장 적절한 시기는 개인의 건강 상태, 분만 방법(자연분만 또는 제왕절개), 그리고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 산부인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25.
VIII. 결론: 현명한 선택으로 엄마와 아기 모두의 건강을 지키세요
모유 수유 중에도 임신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 드립니다. 수유 무월경법(LAM)은 특정 조건을 엄격히 지킬 경우 효과적인 자연 피임법이 될 수 있지만, 그 조건과 한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주의 깊게 적용해야 합니다. 다양한 비호르몬 및 호르몬 피임법, 그리고 장기 지속형 가역적 피임법(LARC) 등 여러 선택지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과 모유 수유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건강 상태, 현재의 수유 패턴, 향후 가족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피임 방법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정확한 의학적 정보를 얻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피임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현명한 피임 선택은 계획되지 않은 임신으로부터 엄마의 건강을 보호하고, 아기와의 소중한 시간을 더욱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대한민국 엄마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모든 피임 방법은 개인의 건강 상태 및 상황에 따라 적합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어떠한 피임법을 선택하거나 변경하기 전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며, 특정 개인에 대한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건강상의 문제가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면책 조항
본 기사에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개인의 특수한 건강 상태나 상황에 대한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피임 방법 선택 및 건강 관련 결정은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KRHOW.COM은 본 정보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참고 문헌
-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건강정보. 모유수유 중 무월경과 피임 [인터넷].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2010년 11월 17일 [2010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chmc.ac.kr/cheonan/selectBbsNttView.do?key=446&bbsNo=257&nttNo=73308&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7&integrDeptCode=
- 질병관리청. 유루증 [인터넷]. 국가건강정보포털; 2024년 10월 21일 [2024년 10월 21일 최종 수정;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11
- 강남차병원 공식 블로그. 출산 후 생리, ‘생리하지 않아도 임신할 수 있어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8년 9월 28일 [2018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hamkter/221361566013
- 일산차병원 공식 블로그. 출산 후 첫 생리에 관한 모든 궁금증, 일산차병원 산부인과에서 알려드려요!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21년 9월 23일 [2021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schamc/222509217737
- Gray RH, Campbell OM, Apelo R, Eslami SS, Zacur H, Ramos RM, et al. Risk of ovulation during lactation. Lancet. 1990;335(8680):25-9. doi:10.1016/0140-6736(90)90147-w. PMID: 1967336.
-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ABM Clinical Protocol #13: Contraception During Breastfeeding, Revision 2015 [인터넷].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2015 [2017년 8월 한국어 번역본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fmed.org/assets/DOCUMENTS/PROTOCOLS/13-contraception-and-breastfeeding-protocol-korean.pdf
- Van der Wijden C, Manion C. Lactational amenorrhoea method for family planning.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2015(10):CD001329. doi:10.1002/14651858.CD001329.pub2. PMID: 26457918.
- Kennedy KI, Rivera R, McNeilly AS. Consensus statement on the lactational amenorrhea method for family planning. Int J Gynaecol Obstet. 1989;Suppl 1:119-25. (Bellagio Consensus 언급 관련, 직접 인용된 자료는 아니나 LAM의 역사적 배경 자료로 참고)
- 하이닥뉴스. 모유수유 중 피임 필요하다? 수유부 필수지식 10가지 [인터넷]. 하이닥; 2017년 10월 10일 [2017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95
-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모유 수유 중 안전한 약물 사용 필수 지식 10가지 [인터넷]. (사)임산부약물정보센터; (발행연도 확인 필요, 콘텐츠는 2017년 자료 기반으로 보임)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mothersafe.co.kr/?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7069141&t=board (해당 링크는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의 일반 게시판 검색 결과로, ‘모유 수유 중 안전한 약물 사용 필수 지식 10가지’라는 제목의 직접 문서는 보건복지부 2017년 자료https://www.mohw.go.kr/upload/140/201710/1507531147915_20171009153908.pdf 에서 확인 가능)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ntraception and Birth Control Methods [인터넷]. CDC; (웹페이지 최종 검토/업데이트일 확인 필요)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contraception/about/index.html
- 보건복지부. 산후 일상생활 관리 [인터넷].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콘텐츠 업데이트일 확인 필요)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ildcare.go.kr/?menuno=415
- 대한산부인과학회. 임신과 출산 그리고 산후조리 [인터넷].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년 [2017년 발행;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학회 웹사이트 자료실에서 최신판 확인 필요, 예시 링크: https://www.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notice&number=2715)
- 서울대학교병원 국민건강지식센터. 첫째와 둘째, 2년 터울이 좋아요 [인터넷]. 서울대학교병원; 2014년 11월 17일 [2014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qcenter.snu.ac.kr/archives/4336
-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 5th edition. [인터넷]. WHO; 2015. (Table: Postpartum contraception, NBK579650) [2022년 업데이트된 Postnatal care 권고안 내 표 인용;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79650/table/ch3.tab53/ (WHO의 최신 MEC 전체 문서는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49158 에서 확인)
- 김애란. 모유수유와 약물요법. 한양의학리뷰. 2010;30(1):41-53.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30hmr/hmr-30-41.pdf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24. MMWR Recomm Rep. 2024;73(RR-4):1-60. [2024년 5월 10일 발행;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mmwr/volumes/73/rr/pdfs/rr7304a1-H.pdf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ppendices for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24. [인터넷]. CDC; 2024년 5월 10일 [2024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dc.gov/mmwr/volumes/73/rr/rr7304a1_appendix.htm
- The Breastfeeding Network. Contraception and Breastfeeding [인터넷]. The Breastfeeding Network; (웹페이지 최종 검토/업데이트일 확인 필요, 2022년 자료로 보임)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breastfeedingnetwork.org.uk/factsheet/contraception/
- 뉴스1. [100세건강] “‘현대적 피임법’ 쓰는 한국 여성 30%도 안 된다” [인터넷]. 뉴스1코리아; 2024년 3월 1일 [2024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ews1.kr/life-culture/health-info/5340939
- Phillips SJ, Tepper NK, Kapp N, Nanda K, Temmerman M, Curtis KM.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ve use among breastfeeding wome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2016;94(3):263-275. (게재는 2016년, 온라인 발표는 2015년) doi:10.1016/j.contraception.2015.08.002. PMID: 26278091. (본문에서는 26002804로 오기된 PMID 수정)
-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 및 “Bắt đầu nghiên cứu.txt” 보고서 내 분석을 기반으로 KRHOW.COM 편집팀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특정 출처가 “원본 기사 내용”으로만 명시된 경우에 대한 포괄적 표현)
- Agarwal M, Haney C, Brennan K, Bohler H Jr, Kuokkanen S. Re-embarking in ART while still breastfeeding: an unresolved question. J Assist Reprod Genet. 2024;41(5):1189-1195. doi:10.1007/s10815-024-03104-2. PMID: 38565856. (PMC 링크는 원 보고서의 것과 다를 수 있으나 같은 논문 지칭, 원보고서 62번 링크는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90365/ )
- 아모마 코리아 공식 블로그. [모유수유]모유수유 중에 임신이 잘 안되는 이유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2018년 3월 7일 [2018년 업데이트;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amoma_korea1/221222156823?viewType=pc
- Martin EE, Chen M, Kanthi P, Wafford QE, Brown L, Creinin MD, et al. Immediate versus delayed postpartum insertion of contraceptive implants and intrauterine devic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21;2021(1):CD011913. doi:10.1002/14651858.CD011913.pub3. [인용일: 2025년 5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chrane.org/ko/CD011913/FERTILREG_piimyong-impeulranteuna-jagung-nae-jangcikoilreul-culsan-hu-suil-inaee-sabibhaneun-geosi-joheun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