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검하수(Blepharoptosis)는 위눈꺼풀이 정상 위치보다 아래로 처지는 의학적 상태를 말합니다.1 이는 단순히 피곤해 보이는 인상을 넘어 시야를 방해하고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능적 문제이며, 신생아부터 노인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2 KRHOW 편집위원회는 이 심층 분석 기사를 통해 안검하수의 정확한 정의, 원인별 분류, 전문적인 진단 과정, 그리고 최신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총망라하여 독자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올바른 의학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 미국안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이 기사의 소아 안검하수 치료 및 조기 진단의 중요성에 관한 권장 사항은 미국안과학회가 발표한 지침에 근거합니다.7
-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 프로그램 “All of Us”: 성인 안검하수와 정신 건강(불안,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데이터는 NIH의 대규모 연구 결과에 기반합니다.16
- 서울아산병원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료 정보: 안검하수의 정의, 증상 및 국내 치료 접근 방식에 대한 내용은 국내 최고 의료기관의 전문 자료를 참조하였습니다.311
핵심 요약
- 정의 및 증상: 안검하수는 위눈꺼풀이 정상보다 처져 검은 눈동자를 2mm 이상 가리는 상태입니다.3 피곤한 인상 외에도 이마 주름, 턱을 드는 자세, 시야 제한 등의 기능적 문제를 유발합니다.1
- 원인 분류: 태어날 때부터 나타나는 ‘선천성 안검하수’와 노화, 외상, 신경 질환 등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후천성 안검하수’로 나뉩니다. 정확한 원인 감별이 치료의 핵심입니다.2
- 조기 진단의 중요성: 소아의 경우, 안검하수를 방치하면 약시나 난시 등 영구적인 시력 발달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7 성인에게도 시력 문제와 함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6
- 치료 방법: 눈꺼풀올림근의 기능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기능이 양호하면 ‘눈꺼풀올림근 절제술’을, 기능이 나쁘면 ‘이마근 걸기술’을 시행하며, 경미한 경우 약물 치료나 특수 안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34
- 전문가 선택: 안검하수 수술은 기능과 미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 수술이므로, 반드시 안과, 특히 눈 성형 재건 분야에 깊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832
제1부: 안검하수(Ptosis)에 대한 종합적 소개
1.1. 안검하수(Blepharoptosis)의 의학적 정의
안검하수(Blepharoptosis)는 위눈꺼풀의 가장자리가 정상 위치보다 아래로 처지는 의학적 상태를 정의하는 용어입니다.1 정상적인 상태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건강한 사람의 위눈꺼풀은 보통 검은 눈동자(각막)의 윗부분을 약 1~2밀리미터(mm) 정도 덮습니다.3 위눈꺼풀이 이보다 더 많이 내려와 검은 눈동자를 가릴 때, 이를 안검하수로 진단합니다. 심한 경우, 눈꺼풀이 동공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려 시축을 막게 되며, 이는 주변부 시야 상실을 유발하고 중심 시력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상태는 한쪽 눈(단안성) 또는 양쪽 눈(양안성)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신생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층에 영향을 미칩니다.2
안검하수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상태와 명확히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흔하게 혼동되는 상태 중 하나는 특히 노년층에서 흔한 ‘눈꺼풀피부이완증(dermatochalasis)’입니다. 눈꺼풀피부이완증에서는 눈꺼풀 가장자리의 위치는 완전히 정상이지만, 위눈꺼풀의 피부와 지방이 노화로 인해 늘어지고 처져 내려와 마치 눈꺼풀이 처진 것처럼 보입니다.6 또한, 안검하수는 종종 ‘게으른 눈(lazy eye)’이라고 잘못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보통 어린 시절 비정상적인 시력 발달로 인해 한쪽 또는 양쪽 눈의 시력이 저하되는 ‘약시(amblyopia)’를 가리키는 민간 용어입니다.2
안검하수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눈꺼풀의 기본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눈꺼풀을 정상 위치로 들어 올리고 유지하는 역할은 주로 두 개의 주요 근육이 담당합니다: 바로 ‘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과 ‘뮐러근(superior tarsal muscle)’입니다.5
- 눈꺼풀올림근: 이는 의지에 따라 움직이는 가로무늬근으로,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주된 역할을 하며 눈꺼풀 올림 힘의 약 80%를 담당합니다.5 이 근육은 뇌신경 제3번(눈돌림신경)의 한 분지에 의해 조절됩니다.
- 뮐러근: 이는 의지와 상관없이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민무늬근으로, 교감신경계의 지배를 받습니다. 뮐러근은 눈꺼풀을 약 1-2mm 추가로 들어 올리고 눈의 뜨인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5
이 두 근육 중 하나의 구조나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이를 지배하는 신경이 손상되는 것이 안검하수를 유발하는 핵심 원인입니다.2
1.2. 인지할 수 있는 징후와 증상
안검하수의 징후는 단순히 눈꺼풀이 처져 보이는 모습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능적 증상과 신체의 보상 행동을 포함합니다.
시각적 증상
- 처진 눈꺼풀: 가장 명확한 징후로, 위눈꺼풀이 아래로 처져 눈이 피곤해 보이거나 졸려 보이거나 비대칭적으로 보입니다.3
- 좁아진 눈꺼풀틈새: 위눈꺼풀 가장자리와 아래눈꺼풀 가장자리 사이의 수직 거리가 정상적인 눈이나 일반적인 수준에 비해 좁아집니다.2
- 눈꺼풀 주름의 변화: 위눈꺼풀 주름이 옅어지거나, 불규칙해지거나, 심지어 완전히 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선천성 안검하수에서 두드러집니다.2
보상 행동 (Compensatory Signs)
이는 나쁜 습관이 아니라, 시야가 가려졌을 때 시각 기능을 유지하려는 신체의 무의식적인 반사 작용입니다. 이러한 징후를 인지하는 것은 특히 어린 아이들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눈썹 치켜뜨기와 이마 주름: 환자는 시야를 넓히기 위해 이마근(frontalis muscle)을 수축하여 눈썹과 눈꺼풀 피부를 위로 끌어올려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이마근을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사용하면 근육 피로, 긴장감, 심지어 만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 턱을 들고 머리를 뒤로 젖히는 자세 (Chin-up head posture): 정면을 보기 위해, 특히 어린이나 심한 안검하수 환자들은 좁아진 눈꺼풀틈새로 시축을 맞추기 위해 턱을 위로 들고 머리를 뒤로 젖혀야 합니다.2 이러한 비정상적인 자세가 오래 지속되면 경추(목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7
기능적 영향
- 시야 제한: 초기에는 안검하수가 위쪽 시야를 가립니다. 상태가 심해지면 중심 시력까지 가릴 수 있어 운전, 독서, 얼굴 인식과 같은 일상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1
- 독서의 어려움: 일부 안검하수 유형, 특히 널힘줄성 안검하수(aponeurotic ptosis)는 아래를 볼 때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 책을 읽거나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할 때 어려움과 눈의 피로를 유발합니다.1
- 눈의 피로 및 기타 증상: 눈꺼풀의 무거움, 눈의 피로, 자극이나 안구건조로 인한 눈물 흘림은 특히 하루 종일 눈을 뜨려고 노력한 후 저녁에 흔히 호소하는 증상들입니다.4
1.3. 조기 진단의 중요성: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니다
안검하수를 단순히 외모상의 결함이 아닌, 심각한 기능적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상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문제의 본질을 “어떻게 하면 눈을 더 예쁘게 보일까?”에서 “어떻게 하면 시각 기능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까?”로 완전히 바꿉니다. 이는 단순한 미용적 해결책에 의존하기보다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과 치료를 찾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어린이의 경우, 조기 진단과 개입은 특히 중요합니다. 만약 어린 시절 초기에 처진 눈꺼풀이 시축을 가리면, 시력 발달에 심각하고 회복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약시(Amblyopia): 가장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한쪽 눈에서 들어오는 이미지가 흐리거나 가려지면, 뇌는 점차 그 눈에서 오는 신호를 ‘무시’하고 다른 쪽 눈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시기적절하게(보통 7-10세 이전) 치료하지 않으면 이러한 시력 저하 상태는 영구적이 됩니다.7
- 난시(Astigmatism): 처진 눈꺼풀이 각막 표면에 가하는 불균일한 압력은 각막의 곡률을 변화시켜 난시를 유발하고 이미지를 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7
- 사시(Strabismus): 안검하수가 있는 어린이는 두 눈이 같은 방향을 보지 않는 상태인 사시가 발생할 위험도 높습니다.7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게 안검하수의 심리사회적 영향 또한 상당합니다. 피곤해 보이고 비대칭적인 외모는 자신감 저하, 불안, 심지어 우울증으로 이어져 사회적 관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6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All of Us” 프로그램에서 수행된 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안검하수가 있는 성인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불안 및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장애의 유병률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6 따라서 안검하수 치료는 시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자신감과 정신 건강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제2부: 안검하수의 분류와 원인
안검하수는 발병 시기(선천성 또는 후천성)와 근본적인 병리학적 원인에 따라 분류됩니다. 안검하수의 종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2.1. 선천성 안검하수(Congenital Ptosis)
선천성 안검하수는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유형의 안검하수로, 출생 시부터 나타나거나 생후 첫해에 발생하는 경우로 정의됩니다.5 대부분의 선천성 안검하수 사례의 핵심 원인은 눈꺼풀올림근의 발달 이상(developmental myopathy)입니다. 태아 발달 과정에서 눈꺼풀올림근의 근섬유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고 섬유 및 지방 조직으로 대체되어, 이 근육이 약해지고 탄력이 떨어져 눈꺼풀을 효과적으로 들어 올릴 수 없게 됩니다.2
주요 선천성 안검하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순 선천성 근성 안검하수(Simple Congenital Myogenic Ptosis): 가장 흔한 형태로, 선천성 안검하수 사례의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이 상태는 보통 눈이나 전신에 다른 이상을 동반하지 않고 눈꺼풀올림근의 약화에 국한됩니다.10
- 마르쿠스-건 턱-윙크 증후군(Marcus Gunn Jaw-Winking Syndrome): 씹기 근육을 지배하는 삼차신경과 눈꺼풀올림근을 지배하는 눈돌림신경 사이에 비정상적인 신경 연결로 인해 발생하는 특별한 형태의 연합운동성 안검하수입니다.5 결과적으로 아이가 씹거나, 젖을 빨거나, 하품하거나 말하는 등 입을 움직일 때 처진 눈꺼풀이 경련하며 무의식적으로 올라갑니다.17
- 눈꺼풀틈새축소증후군(Blepharophimosis Syndrome): 보통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복합적인 유전 증후군입니다. 이 증후군은 양쪽의 심한 안검하수, 눈꺼풀틈새가 수평 및 수직으로 현저히 좁아짐, 양쪽 눈 안쪽 구석 사이의 거리가 정상보다 멀어짐(안쪽눈구석사이거리증, telecanthus), 그리고 역안쪽눈구석주름(epicanthus inversus)이라는 전형적인 네 가지 특징을 가집니다.5
2.2. 후천성 안검하수(Acquired Ptosis)
후천성 안검하수는 생애 후반에 발생하는 안검하수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소적인 근육 문제로 인한 선천성 안검하수와 달리, 후천성 안검하수는 더 심각한 잠재적 질환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천성 안검하수의 진단은 단순히 눈꺼풀이 처졌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한 의학적 조사를 의미합니다. 이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으며, 주의가 필요한 건강 문제를 예고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발생한 안검하수, 특히 겹쳐 보임(복시)이나 두통과 같은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는 응급 의료 상황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4
후천성 안검하수는 발병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널힘줄성(Aponeurotic Ptosis):
- 원인: 성인에서 가장 흔한 후천성 안검하수 유형입니다.2 원인은 눈꺼풀올림근 널힘줄(levator aponeurosis)이 늘어나거나 얇아지거나, 또는 눈꺼풀판(tarsal plate)의 정상적인 부착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기(dehiscence/disinsertion) 때문입니다.2 눈꺼풀올림근의 수축력은 좋지만, 이 힘이 눈꺼풀 가장자리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안검하수가 발생합니다.
- 위험 요인: 노화가 주된 원인입니다(노인성 안검하수 – involutional ptosis라고도 함). 또한 안내 수술(예: 백내장 수술), 만성적인 눈의 염증, 외상, 장기간의 콘택트렌즈(특히 하드렌즈) 착용 등이 이 상태를 촉진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2
- 근성(Myogenic Ptosis):
- 원인: 눈꺼풀올림근 자체 또는 신경근접합부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10
- 관련 질환:
-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면역계가 신경근접합부의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공격하여 근육 약화를 유발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안검하수는 이 질병의 가장 초기이자 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2 중증근무력증으로 인한 안검하수의 전형적인 특징은 하루 중 처짐 정도가 변하는 것으로, 보통 아침에는 가볍고 저녁이나 피곤한 후에 더 심해집니다.1
- 기타 근육 질환: 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 CPEO), 눈 운동 근육과 눈꺼풀 근육을 점진적으로 약화시키는 유전적 상태; 기타 근이영양증; 그리고 컨스-세이어 증후군(Kearns-Sayre syndrome)과 같은 미토콘드리아 질환이 포함됩니다.19
- 신경성(Neurogenic Ptosis):
- 원인: 뇌에서 눈꺼풀올림근으로 가는 신경 전달 경로의 중단 또는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2
- 관련 질환:
- 제3 뇌신경(눈돌림신경) 마비(Oculomotor Nerve Palsy): 이 신경은 눈꺼풀올림근과 대부분의 안구 운동 근육을 지배합니다. 제3 신경 마비는 심한 안검하수를 유발하며, 종종 바깥사시, 동공 확장, 복시를 동반합니다. 원인은 뇌동맥류, 뇌종양, 외상 또는 당뇨병 합병증 등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2
- 호너 증후군(Horner’s Syndrome): 눈으로 가는 교감신경 경로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증후군은 경미한 안검하수(뮐러근 마비로 인해), 동공 축소(miosis), 얼굴 한쪽의 땀 분비 감소 또는 소실(anhidrosis)이라는 전형적인 세 가지 증상을 보입니다. 원인은 폐첨부 종양(Pancoast tumor), 갑상선 종양, 또는 목 부위의 외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2
- 기타 원인: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이나 뇌졸중도 신경성 안검하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0
- 기계적(Mechanical Ptosis):
- 외상성(Traumatic Ptosis):
- 원인: 눈이나 안와 부위에 가해진 직접적 또는 간접적 외상은 모두 안검하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상으로 인해 눈꺼풀올림근이나 널힘줄이 찢어지거나 끊어지거나, 지배 신경이 손상되거나, 눈꺼풀에 흉터 수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이 복잡한 정보를 체계화하기 위해 아래 표는 주요 안검하수 유형을 요약하고 비교합니다.
주요 분류 | 세부 분류 | 대표 원인 | 주요 특징 |
---|---|---|---|
선천성 안검하수 | 근성(Myogenic) | 눈꺼풀올림근의 발달 이상5 | 출생 시부터 존재, 눈꺼풀올림근 기능 저하, 위눈꺼풀 주름이 옅거나 없음.10 |
신경성(Neurogenic) | 마르쿠스-건 증후군, 눈꺼풀틈새축소증후군5 | 입 움직일 때 눈꺼풀이 경련(마르쿠스-건), 또는 다른 기형 동반(눈꺼풀틈새축소증후군).17 | |
후천성 안검하수 | 널힘줄성(Aponeurotic) | 노화, 눈 수술, 장기간 콘택트렌즈 착용2 | 성인에서 가장 흔함,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보통 양호, 나이에 따라 서서히 진행.19 |
근성(Myogenic) | 중증근무력증, 근이영양증, CPEO19 | 하루 중 처짐 정도 변동(중증근무력증), 또는 진행성 근육 약화.1 | |
신경성(Neurogenic) | 제3 뇌신경 마비, 호너 증후군, 종양2 | 보통 갑자기 발병, 복시, 동공 변화, 또는 다른 신경학적 징후 동반 가능.10 | |
기계적(Mechanical) | 눈꺼풀 종양, 큰 콩다래끼, 흉터2 | 눈에 보이는 종양이나 흉터가 있음, 눈꺼풀이 무겁게 아래로 당겨짐.2 | |
외상성(Traumatic) | 눈꺼풀 또는 안와에 직접적인 외상1 | 명확한 외상 병력, 근육이나 널힘줄 파열 가능성.10 |
제3부: 전문적인 진단 및 평가 과정
안검하수의 진단 과정은 단순히 환자의 눈을 보는 것 이상입니다. 이는 “눈꺼풀이 어느 정도로 처졌는가?”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왜 처졌는가?”라는 두 가지 핵심 질문에 답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이며 과학적인 의학적 조사 과정입니다. 병력 청취부터 전문적인 측정, 추가적인 검사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는 증거를 수집하고 가능성을 배제하며 최종적으로 정확한 진단에 도달하기 위한 조사 도구 역할을 합니다. 이 정확성은 개인화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기반이 됩니다.
3.1. 임상 검진: 중요한 첫걸음
진찰은 항상 안과 의사가 상세하고 포괄적인 병력을 청취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9 이는 다음 진단 단계를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적인 단계입니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기와 경과: 안검하수가 언제부터 나타났습니까(선천성 또는 후천성)? 갑자기 나타났습니까, 아니면 몇 달,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었습니까?5
- 특성: 하루 중 처짐 정도가 변합니까? 저녁에 더 심해집니까? (중증근무력증 시사)1
- 동반 증상: 환자가 겹쳐 보임(복시), 두통, 눈의 통증 또는 기타 신경학적 증상을 겪고 있습니까?4
- 과거력: 머리-얼굴 부위 외상, 눈 수술 또는 당뇨병, 갑상선 질환, 근육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의 과거력이 있습니까?2
- 가족력: 가족 중에 안검하수가 있는 다른 사람이 있습니까? (유전 증후군 시사)2
병력 청취 후, 의사는 시력 검사, 모든 방향에서의 안구 운동 평가, 동공 반사 및 크기 검사, 그리고 안구 표면 검사를 포함한 포괄적인 눈 검사를 시행하여 안구 건조 상태와 눈의 보호 기능을 평가합니다.10
3.2. 전문적인 측정: 수술 선택의 열쇠
안검하수 상태를 정량화하고 특히 수술을 포함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의사는 전문적인 측정을 시행합니다. 이는 객관적이고 매우 중요한 지표들입니다.
- 눈꺼풀테-각막반사거리 1 (Margin-Reflex Distance 1 – MRD1) 측정:
- 설명: 이는 안검하수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객관적이고 가치 있는 측정법으로 간주됩니다.25 의사는 환자에게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로 앉게 한 후, 눈에 광원(펜라이트 등)을 비추고 각막 중심의 빛 반사점부터 위눈꺼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밀리미터(mm) 단위로 측정합니다.9
- 의미: MRD1 지수는 “눈꺼풀이 얼마나 처졌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량적 답변을 제공합니다. 정상인의 경우 MRD1은 3.5mm에서 4.5mm 사이입니다.25
- 경도 안검하수: MRD1 약 2mm 이상
- 중등도 안검하수: MRD1 약 1-2mm
- 중증 안검하수: MRD1 1mm 이하 또는 동공을 가림8
- 이 지수는 중증도를 분류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치료 효과를 추적하는 기준이 됩니다.27
- 눈꺼풀올림근 기능 (Levator Function – LF) 평가:
- 설명: MRD1이 “얼마나”라는 질문에 답한다면, LF는 “엔진의 힘이 얼마나 남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이는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입니다.8 LF를 측정하기 위해 의사는 엄지손가락으로 환자의 눈썹 부위를 이마뼈에 단단히 눌러 이마근의 도움을 완전히 차단합니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아래를 최대한 보았다가 위를 최대한 보도록 요청합니다. 의사는 이 두 위치 사이에서 위눈꺼풀 가장자리가 이동한 거리를 자로 측정합니다.3
- 의미: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양호(Good): > 8-10 mm
- 보통(Fair): 5-7 mm
- 불량(Poor): ≤ 4-5 mm19
- 이 분류는 수술 기법 선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기능이 양호하거나 보통인 경우는 눈꺼풀올림근 강화 수술에 적합하며, 기능이 불량한 경우는 이마근 걸기술을 시행해야 합니다.4
3.3. 근본 원인 파악을 위한 추가 검사
병력 청취와 임상 검진에서 얻은 의심을 바탕으로, 의사는 질병의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몇 가지 전문적인 추가 검사를 지시할 수 있습니다:
- 페닐에프린 검사: 의사는 처진 눈꺼풀에 2.5% 페닐에프린(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제) 안약을 한 방울 점안합니다. 몇 분 후 눈꺼풀이 현저하게(약 1-2mm) 올라가면, 이는 뮐러근이 여전히 잘 작동하고 교감신경 자극에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양성 결과는 환자가 덜 침습적인 방법인 결막을 통한 뮐러근 절제술의 이상적인 후보임을 나타냅니다.10
- 얼음찜질 검사(Ice Pack Test): 진료실에서 중증근무력증을 선별하는 데 매우 가치 있는 간단한 검사입니다. 처진 눈꺼풀 위에 얼음주머니를 약 2-5분 동안 올려놓습니다. 차가운 온도는 신경-근 시냅스 틈에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늦추어 일시적으로 신호 전달을 개선합니다. 얼음주머니를 제거한 후 눈꺼풀이 뚜렷하게(≥ 2mm) 올라가면 검사는 양성으로 간주되며, 중증근무력증의 강력한 징후입니다.24
- 혈액 검사: 중증근무력증이 의심되는 경우, 자가면역 항체, 특히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AChR antibodies)를 찾기 위한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이 검사는 눈에만 증상이 있는 환자의 약 50%에서 음성으로 나올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10 갑상선 관련 안병증(그레이브스병)의 징후가 있는 경우 갑상선 기능 검사도 지시될 수 있습니다.24
- 영상 진단: 신경학적 또는 기계적 원인이 의심될 때 뇌와 안와의 자기공명영상(MRI) 또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뇌종양, 동맥류, 안와 염증 또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과 같은 이상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2
제4부: 안검하수 치료 방법
안검하수 치료 방법의 선택은 질병의 원인, 처짐 정도, 눈꺼풀올림근의 기능, 환자의 나이 및 동반 질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치료 목표는 미용 개선뿐만 아니라 시각 기능을 회복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4.1. 비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모든 안검하수 사례가 즉각적인 수술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보존적 치료 방법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경과 관찰(Observation): 경미한 선천성 안검하수로 시축을 가리지 않아 약시 유발 위험이 없는 어린이의 경우, 의사는 정기적인 경과 관찰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아이가 3-5세가 될 때까지 연기될 수 있습니다. 이 나이가 되면 근육 기능 및 처짐 정도 측정이 더 정확해지고, 아이도 검사 및 수술 후 관리 과정에 더 잘 협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7 기다리는 동안, 약시 예방 치료(있는 경우)로 건강한 눈을 가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안검하수 지지대(Ptosis Crutches): 이는 비침습적인 기계적 해결책으로, 수술 후보가 아니거나(예: 심각한 전신 질환으로 인해) 수술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지지대는 보통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작은 막대로, 안경테에 부착됩니다. 이 막대가 위눈꺼풀 주름에 기대어 눈꺼풀을 수동적으로 들어 올려 눈을 뜨게 유지합니다.9
- 안약(Medication):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성인의 널힘줄성 후천성 안검하수 치료를 위해 옥시메타졸린 염산염 0.1%(Upneeq) 안약을 승인했습니다.7 옥시메타졸린은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로, 뮐러근을 직접 자극하여 수축시켜 눈꺼풀을 약 1-2mm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경도에서 중등도의 안검하수 사례에 유용한 선택지입니다. 그러나 약물의 효과는 일시적이며 유지를 위해 매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약은 신경성 원인(예: 제3 신경 마비)이나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매우 약한 안검하수에는 효과가 없습니다.7
4.2. 수술적 치료: 원칙과 주요 기법
기능적 또는 미용적으로 의미 있는 대부분의 안검하수 사례에서 수술은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수술 기법을 선택하는 황금률은 눈꺼풀올림근 기능(Levator Function – LF) 평가 결과에 기반하는 것입니다.3
- 눈꺼풀올림근 절제술/강화술 (Levator Resection/Advancement):
- 적응증: 경도에서 중증의 안검하수를 앓고 있지만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보통에서 양호한(보통 LF>5mm) 환자에게 선택되는 방법입니다.10
- 기법: 수술 의사는 자연적인 눈꺼풀 주름을 따라(또는 새로운 주름을 만들어) 피부 절개를 합니다. 그 후, 눈꺼풀올림근 널힘줄(aponeurosis)이나 눈꺼풀올림근 자체를 노출시킵니다. 구체적인 상태에 따라 의사는 근육을 짧게 하는(절제, resection) 또는 널힘줄을 당겨 눈꺼풀판에 올바른 위치에 다시 봉합하는(강화, advancement) 수술을 시행합니다. 이 두 기법 모두 근육에서 눈꺼풀 가장자리로 힘이 전달되는 효율을 높여 눈꺼풀을 더 높은 위치로 들어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6 이는 노화로 인한 안검하수와 근 기능이 양호한 많은 선천성 안검하수 사례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 이마근 걸기술/현수술 (Frontalis Sling/Suspension):
- 적응증: 이 방법은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매우 약하거나 완전히 상실된(보통 LF<4-5mm) 심한 안검하수 사례에만 적용됩니다.4 이러한 상태는 심한 선천성 안검하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됩니다.
- 기법: 주 ‘엔진'(눈꺼풀올림근)이 고장났기 때문에, 이 수술은 예비 ‘엔진’인 이마근을 사용하여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대체 메커니즘을 만듭니다. 수술 의사는 아래쪽 눈꺼풀판과 위쪽 이마근을 연결하는 ‘걸이줄’을 만듭니다. 수술 후 환자는 눈썹을 치켜뜨는 방식으로 눈을 뜨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6 걸이줄로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결막을 통한 뮐러근 절제술 (Conjunctivo-Müllerectomy):
아래 비교표는 환자들이 수술 선택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특정 방법이 제안되는 이유와 각 방법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술 방법 | 주요 적응증 (LF 기준) | 기법 설명 | 장점 | 단점/유의사항 |
---|---|---|---|---|
눈꺼풀올림근 강화술 (Levator Resection/Advancement) | LF 보통 – 양호 (>5mm)19 | 위눈꺼풀 피부 절개를 통해 눈꺼풀올림근을 짧게 하거나 강화.6 | 가장 자연스럽고 생리적인 눈꺼풀 움직임을 만듦.12 | 근 기능이 너무 약하면 효과 없음; 정확한 절제량 평가 필요.10 |
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 | LF 불량 (<5mm)19 | 눈꺼풀을 이마근에 연결하는 걸이줄을 만들어 이마를 사용해 눈꺼풀을 들어 올림.6 | 다른 방법이 실패한 가장 심한 안검하수에 매우 효과적.20 | 눈꺼풀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이마 움직임에 의존; 수면 시 눈이 잘 안 감김; 아래를 볼 때 부자연스러움.15 |
결막을 통한 뮐러근 절제술 (Conjunctivo-Müllerectomy) | LF 양호 & 경미한 안검하수 (1-2 mm)25 | 눈꺼풀 안쪽 면에서 뮐러근과 결막을 절제.10 | 최소 침습, 외부 흉터 없음, 빠른 회복, 높은 결과 정확도.17 | 선별된 환자 그룹에만 적용 가능; 중등도 또는 중증 안검하수에는 효과 없음.17 |
4.3. 소아 치료 시 특별 유의사항
소아 안검하수 치료의 최우선적이고 시급한 목표는 정상적인 시력 발달을 보호하고 촉진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약시를 예방하는 것입니다.7 만약 안검하수가 동공을 가릴 정도로 심하다면, 조기 수술은 필수적이며 지체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경우, 빛이 눈으로 들어가 시각 뇌의 발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생후 몇 개월 내에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7 안검하수가 더 경미하고 약시 위험이 없다면, 수술은 측정 결과의 정확성과 아이의 협조도를 높이기 위해 유치원 연령(3-5세)에 계획될 수 있습니다.17 대부분의 소아 안검하수 수술은 안전과 절대적인 부동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전신 마취 하에 시행됩니다.27
4.4. 성인 치료 시 특별 유의사항
성인, 특히 노년층에서는 널힘줄성 안검하수가 종종 눈꺼풀피부이완증(dermatochalasis)을 동반합니다. 따라서 기능과 미용 양쪽에서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수술 의사는 종종 두 가지 수술을 동시에 시행해야 합니다: 안검하수 치료 수술(눈꺼풀 가장자리를 올리기 위해)과 눈꺼풀 성형술(blepharoplasty, 늘어진 피부를 제거하기 위해).3 또한, 안검하수가 중증근무력증과 같은 기저 질환으로 인한 경우, 눈꺼풀에 대한 어떠한 수술적 개입을 고려하기 전에 약물로 해당 질환을 안정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21
제5부: 위험, 합병증 및 수술 후 관리
안검하수 수술은 안과 수술 분야에서 가장 섬세하고 복잡한 기술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32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시행하더라도 여전히 위험과 원치 않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현실적인 기대를 갖기 위해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상담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합병증”은 실제로는 눈꺼풀의 작동 메커니즘을 변경함으로써 예측 가능하고 거의 피할 수 없는 결과입니다. 이는 “절충을 통한 개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능력을 얻기 위해 환자는 눈꺼풀의 자연스러운 기능에 약간의 변화를 받아들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5.1. 합병증 및 원치 않는 결과
- 부족 교정(Under-correction) 또는 과교정(Over-correction):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입니다.10
- 부족 교정: 수술 후에도 눈꺼풀이 여전히 처져 있는 상태. 절제된 근육 양이 부족하거나 걸이줄이 느슨해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교정: 눈꺼풀이 너무 높이 당겨져 놀란 듯한 외모를 만들고, 미용적으로 좋지 않으며, 더 중요하게는 심각한 토안(兎眼, 눈이 감기지 않음)을 유발하여 안구 건조 및 각막 손상의 위험을 초래합니다.
두 경우 모두 재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10
- 비대칭(Asymmetry): 양쪽 눈의 100% 완벽한 대칭을 이루는 것은 최고의 수술 의사에게도 큰 도전입니다. 수술 후 양쪽 눈꺼풀의 높이나 곡선에 항상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10
- 수면 시 토안(Lagophthalmos): 안검하수 수술 후, 특히 이마근 걸기술 후에 거의 피할 수 없는 결과입니다.10 눈꺼풀을 올리는 메커니즘이 변경되고 짧아졌기 때문에, 잘 때 눈꺼풀이 완전히 펴져 닫히지 못합니다. 토안의 정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눈꺼풀이 부드러워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지만, 보통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이 상태는 올바르게 관리하고 보호하지 않으면 안구 건조, 각막염, 심지어 각막 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7
- 눈꺼풀테 곡선 이상(Eyelid Contour Abnormalities):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곡선 대신, 수술 후 눈꺼풀테가 변형되어 중앙에 뾰족한 정점이 생기거나 울퉁불퉁해질 수 있습니다.
- 아래 볼 때 눈꺼풀 지체(Lid Lag on Downgaze): 이 또한 예측 가능한 결과로, 특히 이마근 걸기술 후에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환자가 아래를 볼 때, 수술받은 눈꺼풀은 안구의 움직임을 따라 자연스럽게 내려가지 않습니다. 더 높은 위치에 “걸려” 각막 위쪽의 흰자위가 노출됩니다. 한쪽만 수술했다면 이 차이는 매우 두드러질 것입니다.15 환자는 가까운 것을 볼 때 눈만 아래로 내리지 않고 고개를 숙이는 등 적응하도록 안내받아야 합니다.
5.2. 수술 후 관리 지침
수술 후 관리 지침을 엄격하게 따르는 것은 합병증 위험을 최소화하고, 치유 과정을 촉진하며, 최상의 최종 결과를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구 표면 보호: 이것이 최우선 순위입니다. 수면 시 토안으로 인해 각막을 충분히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환자는 다음을 필요로 합니다:
- 붓기와 멍 감소: 수술 후 첫 2-3일 동안 눈 부위에 (깨끗한 거즈를 통해) 부드럽게 냉찜질을 하면 붓기와 멍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수술 부위 위생: 수술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항생제 연고를 사용합니다.
- 활동 제한: 수술 후 첫 몇 주 동안은 눈 부위에 압력을 높이고 수술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과격한 활동, 무거운 물건 들기, 머리 낮게 숙이기 또는 수영을 피해야 합니다.
- 정기 검진 준수: 정해진 날짜에 재방문하는 것은 의사가 치유 과정을 추적하고, 실밥을 제거하고, 합병증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시기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제6부: 결론 및 전문가 조언
6.1. 언제 의사를 만나야 하는가?
성인이든 어린이의 부모든, 안검하수의 징후를 발견한 사람은 누구나 전문적인 검사와 평가를 받기 위해 안과 전문의와의 약속을 잡아야 합니다.7 조기 진단과 정확한 평가는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열쇠입니다.
특히, 응급 상황으로 간주되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검하수가 몇 시간 또는 며칠 내에 갑자기 나타난 경우.
- 안검하수가 겹쳐 보임(복시)을 동반하는 경우.
- 안검하수가 심한 눈의 통증이나 두통을 동반하는 경우.
- 안검하수가 동공 크기의 변화(한쪽이 다른 쪽보다 크거나 작음)를 동반하는 경우.
이러한 증상들은 뇌동맥류, 뇌졸중 또는 종양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신경학적 질환의 경고 신호일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응급 의료 조치가 필요합니다.2
어린이의 경우, 부모는 아이가 자주 턱을 들거나 눈썹을 치켜뜨고 보는 모습, 양쪽 눈이 비대칭적으로 보이는 모습, 또는 눈꺼풀이 아이의 시야를 가리는 등의 징후를 관찰하면 조기에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야 합니다. 조기 개입은 약시를 예방함으로써 아이의 미래 시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7
6.2. 신뢰할 수 있는 의사와 의료기관 선택
안검하수 수술은 안과 영역의 수술 중에서도 고도의 기술과 섬세함이 요구되는 수술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32 수술의 성공은 수술 의사의 경험, 해부학 및 기능에 대한 깊은 이해에 크게 좌우됩니다.
따라서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조언은 적절한 자격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를 찾는 것입니다. 가장 좋은 선택은 안과 의사(Ophthalmologist), 특히 눈 성형 및 재건 수술(Oculo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의사입니다.8 이 전문가들은 수술 기술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눈의 기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갖추고 있어, 기능과 미용 두 요소를 모두 균형 있게 고려하여 최적의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환자는 전문 안과 병원, 대학 병원 또는 대한안과학회와 같은 전문 학회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의사와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38 질병 상태, 치료 선택지, 현실적인 기대치, 잠재적 위험에 대해 의사와 솔직하고 개방적인 논의를 하는 것은 수술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필수적인 단계입니다.20 훌륭한 의사는 재능 있는 수술 의사일 뿐만 아니라,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위해 가장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헌신적인 상담가이기도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안검하수는 미용 문제인가요, 아니면 질병인가요?
안검하수 수술은 꼭 해야 하나요? 비수술적 치료법은 없나요?
쌍꺼풀 수술과 안검하수 수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쌍꺼풀 수술은 주로 미용적인 목적으로 눈꺼풀에 주름을 만드는 수술입니다. 반면, 안검하수 수술은 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이 수술은 약해진 눈꺼풀올림근의 힘을 강화하거나 다른 근육(이마근)을 이용해 처진 눈꺼풀 자체를 위로 들어 올려주는, 보다 복잡하고 의학적인 수술입니다.6 안검하수 환자가 쌍꺼풀 수술만 받게 되면 눈이 더 작아 보이거나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 안검하수 수술은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
참고 문헌
- Aponeurotic Ptosis – EyeWiki,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eyewiki.org/Aponeurotic_Ptosis
- Ptosis (eyelid) – Wikipedia,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Ptosis_(eyelid)
- 안검하수(Ptosis of eyelid)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27
- 안검하수 – 한길안과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hangileye.co.kr/03_disease/ds_4_1.html
- A review of acquired blepharoptosis: prevalence, diagnosis, and current treatment option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376882/
- 안검하수(눈꺼풀쳐짐) | 안과 질환 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oph.amc.seoul.kr/asan/depts/oph/K/bbsDetail.do?menuId=1266&contentId=153319
- What Is Ptosis? –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aao.org/eye-health/diseases/what-is-ptosis
- Droopy Eyelids (Ptosis) – Vision Center,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visioncenter.org/conditions/droopy-eyelids-ptosis/
- Ptosis: Types, Symptoms, Causes, Diagnosis, Treatment and More – Health,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health.com/ptosis-7495935
- Ptosis –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6705/
- 안과 > 진료과소개 > 진료실적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OT&MENU_ID=001021
- 안과 > 전문클리닉 > 성형안과클리닉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OT&MENU_ID=005019
- 안과 질환 정보 – 대한안과학회,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ophthalmology.org/content/reference/faq_list.html
- The One Pediatric Ophthalmology Center – 더원안과,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the1eyecenter.com/infant/crosseye
- 성형안과센터 – 영등포구 – 김안과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kimeye.com/goods/center.php?gc_id=7
- Association of Ptosis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in Adults from a Large United States Research Database – Karger Publisher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karger.com/cxp/article/doi/10.1159/000546894/928626/Association-of-Ptosis-with-Mental-Health
- 눈꺼풀처짐(안검하수)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45
- 안검경련이 아닌지 – SL안과 – 이젠 새로운 세상을 만나보세요!,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slasik.com/m/advice_view.html?no=22452&PHPSESSID=2c462749b79e8a0b58b2fbfe79cb26a4
- Acquired Ptosis: Evaluation and Management –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aao.org/eyenet/article/acquired-ptosis-evaluation-management
- 안검하수 – 밝은신안과,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bs-iclinic.co.kr/blepharoptosis
- 안검하수를 보이는 중증근무력증 진단에 있어서의 얼음검사의 유용성,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jkos.org/upload/pdf/Kjo2046-10-02.pdf
- Kearns-Sayre syndrome – Genetics – MedlinePlu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kearns-sayre-syndrome/
- Movement Disorders Following Cerebrovascular Lesions: Etiology, Treatment Options and Prognosi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e-jmd.org/journal/view.php?doi=10.14802/jmd.16008
- What is the approach to diagnosing Ptosis (Blepharoptosi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droracle.ai/articles/71694/how-to-work-up-ptosis
- 17 Correction of Ptosis – Thieme Connect,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thieme-connect.de/products/ebooks/pdf/10.1055/b-0036-135529.pdf
- Using margin-reflex distance versus levator function in diagnosing congenital blepharoptosis – ResearchGate,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3386496_Using_margin-reflex_distance_versus_levator_function_in_diagnosing_congenital_blepharoptosis
-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tosis Improvement and Immediate Postoperative Lagophthalmos following Blepharoptosis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in Pediatric Patients,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89339/
- Ptosis | PPTX – SlideShare,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slideshare.net/slideshow/ptosis-68345793/68345793
- Graves’ Disease – FIU,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nweb.eng.fiu.edu/brownm/BME3403/Chapters%205-8%20Supplemental%20Info/Graves’%20Disease%20NEJM.pdf
- 안검하수 교정술 – 내눈에 김안과,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www.mykimeye.co.kr/31
- 안검하수 – 김안과21,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keye21.co.kr/m130
- 김안과병원, ‘안검하수’ 주제 해피eye 눈 건강 강좌 개최 |,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www.kmedinfo.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54775
- 안검하수 교정 수술(Correction of Blepharoptosis ) | 검사/시술/수술 정보 – 서울아산병원,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54
- 안검하수 – 바른안과,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www.baruneye.co.kr/bbs/content.php?co_id=sub5010&device=pc
- 저시력 – 국가건강정보포털 – 질병관리청,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24
- 소아 이상두위의 임상 분석,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jkos.org/upload/pdf/14807373.pdf
- 안검하수, 원인과 개인 상태에 맞는 치료해야,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933
- 김종우 – 안과 – 성예사,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sungyesa.com/new/prolist/592
- 대한안과학회, 2025년 8월 12일 접속, https://www.ophthalmolog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