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케어

화장품 속 드라이알코올과 지방알코올의 진실: 장단점 완벽 분석

화장품 성분 목록에서 ‘알코올’이라는 단어는 소비자들에게 종종 혼란과 우려를 동시에 안겨줍니다. 알코올은 소독이나 청량감 부여 외에도 화장품 제형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실제로 수많은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1. 하지만 ‘알코올’이라는 용어 자체가 광범위한 화학적 분류를 지칭하기 때문에, 피부에 미치는 영향 또한 성분의 종류에 따라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소비자 혼란의 주된 원인입니다2. 일반적으로 화장품 속 알코올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자극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성분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합니다3. 이러한 인식은 특정 유형의 알코올, 특히 휘발성이 강한 ‘드라이 알코올(Dry Alcohol)’ 또는 ‘단순 알코올(Simple Alcohol)’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알코올이 피부에 해로운 것은 아니며, 오히려 어떤 종류의 알코올, 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Fatty Alcohol)’은 피부에 보습과 부드러움을 제공하는 등 유익한 효과를 나타냅니다2. 이러한 오해는 때때로 특정 성분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을 조성하는 마케팅 전략에 의해 증폭되기도 합니다4. 예를 들어, ‘알코올 프리(Alcohol-Free)’라는 표시는 규제적으로 특정한 의미(주로 에탄올 무첨가)를 지니지만5, 소비자에게는 모든 종류의 알코올이 배제된 것처럼 오인될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주요 알코올 유형인 드라이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의 과학적 실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6. 각 알코올의 화학적 특성, 화장품에서의 주요 기능, 그리고 피부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균형 잡힌 시각에서 조명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화장품 성분에 대한 막연한 오해에서 벗어나, 자신의 피부 타입과 필요에 맞는 제품을 현명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확하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요약 – 화장품 알코올,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성분 종류에 따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하므로, 모든 알코올을 동일하게 여겨서는 안 됩니다2.
  • 일반적으로 ‘드라이 알코올'(예: 에탄올)은 휘발성이 높아 피부 건조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 ‘지방 알코올'(예: 세틸알코올)은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제공합니다2.
  • ‘알코올 프리’ 표기는 대개 에탄올 무첨가를 의미하며, 피부에 유익한 지방 알코올 등 다른 종류의 알코올은 함유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5.
  • 본 글은 드라이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의 화학적 특성, 기능, 피부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소비자가 정보에 기반한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화장품 속 알코올의 이해: 근본적인 차이점

화장품 성분으로서 알코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학적 정의와 그 구조적 다양성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만드는 핵심 요인임을 인지해야 합니다.

1.1. 알코올의 화학적 정의와 특성

화학적으로 알코올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OH기)를 가지고 있는 유기 화합물을 총칭합니다2. 이 하이드록시기의 존재는 알코올 분자의 극성을 높여 물과의 친화성을 증가시키는 등 여러 화학적 특성에 기여합니다. 특히 알코올의 탄소 사슬 길이와 구조는 그 물리적 성질, 예를 들어 휘발성, 용해도, 피부에 느껴지는 감촉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7. 일반적으로 탄소 사슬이 짧을수록 분자량이 작아 휘발성이 높고 물에 잘 녹는 경향을 보이며, 탄소 사슬이 길어질수록 분자량이 커져 휘발성이 낮아지고 유용성(기름과의 친화성)이 증가하며 왁스 같은 고체 형태를 띠기도 합니다.

1.2. 드라이 알코올 vs. 지방 알코올: 핵심 구분

화장품학적 관점에서 알코올은 크게 ‘드라이 알코올(저급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고급 알코올)’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탄소 사슬의 길이에 따른 분류입니다.

드라이 알코올 (Dry Alcohols / 저급 알코올 / Low Molecular Weight Alcohols): 일반적으로 탄소 수가 적은(예: C2​∼C3​) 알코올을 지칭하며,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고 휘발성이 매우 높아 피부에 바르면 빠르게 증발하면서 시원한 청량감이나 때로는 건조함을 유발합니다7. 대표적인 예로는 에탄올(Ethanol), 변성알코올(Alcohol Denat.),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등이 있습니다1. 이들은 주로 용매, 수렴제, 소독제, 사용감 개선제 등으로 사용됩니다. ‘알코올’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흔히 연상하는 소독약 냄새나 건조한 느낌은 바로 이 드라이 알코올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7.

지방 알코올 (Fatty Alcohols / 고급 알코올 / High Molecular Weight Alcohols): 탄소 사슬이 긴(일반적으로 탄소 12개 이상) 알코올을 말하며, 상온에서 주로 백색의 왁스 같은 고체나 점도 있는 액체 형태로 존재합니다1. 드라이 알코올과 달리 비휘발성이며, 피부에 유연 효과(emollient)와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특징입니다. 주요 예로는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등이 있습니다2. 이들은 주로 유화제, 점증제, 유연제, 안정제 등으로 사용되어 제품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많은 지방 알코올은 코코넛 오일이나 팜유와 같은 천연 식물성 원료에서 유래하거나 합성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천연 유래 가능성은 ‘자연주의’ 화장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원료의 출처보다는 최종 분자의 화학적 구조와 기능입니다.

2. 드라이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 비교 개요

두 알코올 유형의 근본적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화장품 성분을 올바르게 판단하는 첫걸음입니다. 다음 표는 드라이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여 보여줍니다1.

표 1: 드라이 알코올 vs. 지방 알코올 비교
특징 드라이 알코올 (저급 알코올) 지방 알코올 (고급 알코올)
화학적 성질 짧은 탄소 사슬, 높은 휘발성, 상온에서 액체 긴 탄소 사슬 (일반적으로 C12​ 이상), 낮은 휘발성 (비휘발성), 상온에서 왁스상 고체 또는 점성 액체
주요 INCI 예시 Alcohol, Ethanol, Alcohol Denat., SD Alcohol, Isopropyl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Ce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Myristyl Alcohol, Lauryl Alcohol
화장품에서의 주요 기능 용매, 수렴제, 소독/항균, 사용감 개선(청량감, 빠른 건조), 성분 침투 촉진 유연제(피부 연화), 보습제, 유화제, 유화 안정제, 점증제, 불투명화제, 거품 촉진/안정제
피부에 느껴지는 감촉 시원함, 가벼움, 때로는 건조함, 따가움 부드러움, 매끄러움, 촉촉함, 때로는 약간의 유분감
피부 장벽에 대한 일반적 영향 다량 사용 시 피부 지질 제거, 장벽 손상 가능성 피부 지질 보호, 수분 증발 억제, 장벽 강화에 도움
피부/제형 주요 이점 가벼운 사용감, 빠른 흡수, 항균 효과, 특정 성분 용해 피부 보습 및 유연화, 제형 안정성 향상, 부드러운 발림성 제공
피부 주요 단점 피부 건조 유발, 자극 가능성, 장벽 약화, 장기 사용 시 유분 과다 유발 가능성 일부 피부 타입에서 모공 막힘(코메도제닉) 가능성 (특히 특정 성분 조합이나 고농도 사용 시)

이처럼 탄소 사슬의 길이라는 화학적 구조의 차이가 알코올의 물리적 성질과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근본적으로 다르게 만듭니다. 소비자들이 ‘알코올’이라는 단어만 보고 모든 알코올을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과학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으며, 이러한 오해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7.

3. 드라이 알코올 심층 분석: 소위 “나쁜” 알코올인가?

드라이 알코올은 화장품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제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피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성분이기도 합니다3. 이들의 기능과 장단점을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3.1. 에탄올 (Ethanol, Alcohol, Ethyl Alcohol)

에탄올은 화장품 성분 목록에서 ‘알코올(Alcohol)’ 또는 ‘에탄올(Ethanol)’로 표기되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드라이 알코올 중 하나입니다.

주요 기능:

  • 용매 (Solvent):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켜 제형 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8.
  • 성분 침투 촉진제 (Penetration Enhancer): 피부 각질층의 구조를 일시적으로 변화시켜 다른 유효 성분들의 피부 흡수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 수렴제 (Astringent): 피부에 일시적인 긴장감을 부여하고 모공을 수축시키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9.
  • 보존제 (Preservative): 일정 농도 이상(일반적으로 15~20% 이상)에서는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제품의 보존력을 높입니다8.
  • 사용감 개선 (Quick-Drying/Light Feel): 빠르게 증발하여 끈적임 없이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합니다8.
  • 세정 및 항균 (Cleansing/Antimicrobial): 피부 표면의 유분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8.

이점 (제형 및 단기적 피부 효과): 가벼운 질감, 상쾌한 사용감, 효과적인 용매로서의 기능, 그리고 항균 특성은 특히 지성 피부용 제품이나 토너, 애프터셰이브 제품 등에서 선호되는 이유입니다8.

단점 (피부 건강 측면):

  • 피부 건조 및 탈수: 에탄올은 피부 표면의 천연 보습 인자(NMF)와 지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경피수분손실(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7.
  • 피부 장벽 손상: 반복적인 노출은 피부의 보호 장벽 기능을 약화시켜 외부 자극에 더 민감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3.
  • 자극 및 염증: 특히 민감하거나 건조한 피부, 또는 손상된 피부에는 발적,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7.
  • 장기 사용 시 유분 과다 유발 가능성: 피부의 유분을 과도하게 제거하면, 피부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오히려 더 많은 피지를 분비하는 ‘리바운드 효과’를 일으킬 수 있어 지성 피부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9. 이는 지성 피부를 가진 소비자들이 에탄올 함유 제품의 즉각적인 산뜻함에 끌리지만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자유 라디칼 손상: 일부 연구에서는 에탄올이 피부에서 자유 라디칼 생성을 촉진하여 장기적으로 피부 노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4.

농도의 중요성: 에탄올의 피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농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예를 들어, 5% 미만의 낮은 농도로 사용될 경우 주로 보존제나 용매로서 기능하며 빠르게 증발하여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수 있습니다8. 그러나 성분 목록 앞부분에 기재되어 높은 농도로 함유된 경우, 특히 민감성이나 건성 피부에는 자극 및 건조 유발 가능성이 커집니다8. 제형 전체의 맥락도 중요하여, 보습제나 유연제가 함께 충분히 배합된 경우 에탄올의 건조함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도 있습니다8.

피부 장벽 및 타 성분 흡수와의 상호작용: 에탄올의 성분 침투 촉진 효과는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유익한 성분의 흡수를 도울 수 있지만, 동시에 잠재적인 자극 성분이나 유해 성분의 침투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피부 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3.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에 따르면 특정 크림 제형에 함유된 에탄올이 건강한 피부에서는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를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10. 이는 에탄올이 피부 표면에 얇은 건조층을 형성하여 일종의 “밀봉” 효과(“Pudding skin”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일 수 있으며, 손상된 피부에서는 이러한 침투 감소 효과가 미미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10. 이는 에탄올의 침투 촉진제로서의 역할이 제형과 피부 상태에 따라 복잡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발견입니다.

3.2. 변성 알코올 (Alcohol Denat., SD Alcohol)

변성 알코올은 에탄올에 소량의 변성제(denaturant)를 첨가하여 음용할 수 없도록 만든 것으로, 주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경제적인 이유로 널리 사용됩니다11.

주요 기능 및 피부 효과: 에탄올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용매, 수렴제, 항균, 사용감 개선 등)12, 피부에 미치는 영향 또한 에탄올과 유사하게 건조, 자극, 장벽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변성제에 대한 우려: 변성제 자체는 매우 소량 사용되지만, 일부 변성제(예: 메탄올, 특정 프탈레이트류 등)는 자체적인 독성 프로필을 가질 수 있습니다8. 그러나 화장품 성분 검토위원회(CIR)는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성제(예: t-부틸알코올, 다이에틸프탈레이트 등)는 사용 농도에서 안전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13. 변성알코올의 일차적인 사용 이유는 제조사의 비용 절감이며,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에탄올과 대동소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3.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Isopropanol)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강력한 용매이자 소독제로 알려져 있으며, 화장품에서는 주로 용매, 소포제(거품 감소), 점도 감소제 등으로 사용됩니다14.

이점: 강력한 살균 소독 효과와 빠른 증발 속도가 특징입니다15.

심각한 단점:

  • 피부에 매우 건조하고 자극적이며, 많은 경우 에탄올보다 더 강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4.
  • 피부 장벽에 상당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15.
  • 다량 흡입하거나 손상된 피부를 통해 다량 흡수될 경우 전신 독성 가능성이 에탄올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15.

규제 및 사용 현황: 미국 FDA는 식품 첨가물 및 일반의약품(OTC) 소독제로 허용하고 있으며, CIR도 화장품 사용에 안전하다고 평가했으나 장시간 노출 시 상당한 독성 가능성을 경고합니다15. 자극성 때문에 현재는 얼굴에 바르는 화장품, 특히 민감성 피부용 제품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손 소독제나 국소용 스팟 트리트먼트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15.

3.4. 드라이 알코올 영향에 대한 “진실”

결론적으로, 에탄올, 변성알코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과 같은 드라이 알코올은 특정 제형에서 유용한 기능을 하지만, 피부 건조, 자극, 장벽 손상 등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이점은 종종 제품의 사용감(예: 가벼운 질감, 빠른 흡수)이나 제형 안정성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장기적인 피부 건강에는 해로울 수 있습니다. 특히 고농도로 사용되거나, 민감성/건성 피부에 사용되거나, 자주 사용될 경우 그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알코올이 성분 목록 상위에 위치한 제품은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4. 지방 알코올 집중 탐구: 피부에 “좋은” 알코올

드라이 알코올과는 대조적으로, 지방 알코올은 긴 탄소 사슬 구조로 인해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피부에 유익한 성분으로 간주됩니다7. 이들은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수분을 공급하며,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과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다재다능한 역할을 합니다.

4.1. 세틸 알코올 (Cetyl Alcohol, Hexadecan-1-ol, C16)

유래: 주로 야자유(팜유), 코코넛 오일 등에서 발견되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환원시켜 얻거나 합성하여 제조됩니다1.

형태: 상온에서 백색의 왁스 같은 분말 또는 플레이크 형태입니다16.

기능: 유연제(피부 건조 방지, 진정), 불투명화제, 유화제(오일과 물의 분리 방지), 점증제, 거품 촉진 및 안정제 역할을 합니다5.

피부 이점: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하며, 제품의 질감과 발림성을 개선합니다2.

안전성: 일반적으로 안전한 성분으로 간주되며, FDA와 CIR에서도 화장품 및 식품 관련 용도로 안전성을 인정받았습니다2. 일부 보고에서 경미한 피부/눈 자극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했으나16, 대체로 자극이 적고 코메도 유발성도 낮은 편입니다17.

4.2. 스테아릴 알코올 (Stearyl Alcohol, Octadecan-1-ol, C18)

유래: 코코넛, 팜유 등 천연 지방 및 오일에서 유래합니다1.

형태: 백색의 왁스상 고체입니다18.

기능: 강력한 유연제(세틸 알코올보다 보습 효과 우수, 수분 증발 억제), 점증제, 유화제, 유화 안정제, 거품 촉진제, 불투명화제, 피부 컨디셔닝제 역할을 합니다1.

피부 이점: 강력한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제품 질감을 향상시킵니다1.

안전성: 안전한 성분으로 평가받습니다 (EWG 그린 등급, CIR 안전성 확인)2.

4.3. 세테아릴 알코올 (Cetearyl Alcohol, Cetyl Stearyl Alcohol)

정의: 세틸 알코올과 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입니다1.

유래: 코코넛 오일, 팜유 등 식물성 원료에서 유래하거나 합성하여 얻습니다2.

형태: 백색의 왁스상 고체입니다5.

기능: 유화제(오일과 액체의 분리 방지), 유연제(피부 연화, 수분 가둠), 점증제(크림을 부드럽게, 로션을 되직하게 만듦), 거품 안정제, 불투명화제 역할을 합니다7.

피부 이점: 건조한 피부를 보습하고 진정시키며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고, 피부결과 제품 발림성을 개선합니다1.

안전성: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독성이 낮은 성분으로 간주됩니다 (FDA, CIR, EWG 1등급)2. 대부분의 피부에 자극이 없으나, 매우 민감한 피부의 경우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FDA는 ‘알코올 프리’ 제품에도 세테아릴 알코올 함유를 허용합니다5.

4.4. 베헤닐 알코올 (Behenyl Alcohol, 1-Docosanol, C22)

유래: 합성 또는 옥수수와 같은 식물성 원료에서 유래합니다19.

형태: 백색의 왁스상 고체입니다18.

기능: 점증제, 유연제, 유화제, 불투명화제, 안정제 역할을 합니다18.

피부 이점: 보습을 제공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진정시키며,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유분감 없이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제품 질감을 개선합니다2.

안전성: 안전한 성분으로 간주됩니다 (CIR, EWG 1등급). 자극이나 민감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9. 도코사놀(Docosanol)이라는 이름으로 FDA 승인 구순포진 치료제 성분이기도 합니다20.

4.5. 미리스틸 알코올 (Myristyl Alcohol, 1-Tetradecanol, C14)

유래: 팜핵유, 코코넛 오일 등 천연 원료에서 유래합니다2.

형태: 백색의 왁스상 고체, 플레이크 또는 분말 형태입니다18.

기능: 유연제(보습, 진정, 연화), 유화 안정제, 점증제/점도 조절제, 피부 컨디셔닝제, 거품 촉진제, 때로는 계면활성제 역할도 합니다2.

피부 이점: 피부와 모발을 부드럽게 하고 매끄럽게 하며, 제품 질감을 개선하고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합니다2.

안전성: 일반적으로 피부와 모발에 유익하며 부작용이 적은 편이나, 민감성 피부는 패치 테스트가 권장됩니다. 대체로 코메도 유발성이 낮습니다21.

4.6. 라우릴 알코올 (Lauryl Alcohol, 1-Dodecanol, C12)

유래: 주로 코코넛 오일이나 팜핵유에서 유래합니다22.

기능: 유연제, 유화제, 점증제, 거품 촉진제(라우릴 글루코사이드와 같은 형태로 사용 시) 역할을 합니다2.

피부 이점: 보습 및 피부 연화 효과를 제공합니다2.

안전성: 일반적인 화장품 배합 농도에서 안전하고 자극이 적은 것으로 간주됩니다17. CIR은 라우릴 글루코사이드와 같은 알킬 글루코사이드류가 자극적이지 않게 배합될 경우 안전하다고 평가했습니다23.

4.7. 기타 관련 지방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Oleyl Alcohol, 불포화 C18): 액체 상태이며 유연제, 유화제, 점도 조절제, 불투명화제로 사용됩니다5. 한 자료에서는 잠재적 내분비 교란 물질로 언급되어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24. 이는 모든 지방 알코올이 모든 안전성 측면에서 동일한 프로필을 공유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아이소스테아릴 알코올 (Isostearyl Alcohol, 분지형 C18): 맑은 액체 상태이며 유연제, 유화 안정제로 사용됩니다2.

4.8. 지방 알코올의 이점에 대한 “진실”

지방 알코올은 화장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기능성 성분입니다. 훌륭한 보습제, 유연제로서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하며, 제품의 제형을 안정화시키고 사용감을 향상시킵니다5. 대부분의 경우 피부 자극이 적고 피부 장벽 기능을 지원하는 “착한 알코올”로 평가받습니다2.

4.9. 잠재적 우려 사항: 코메도제닉(모공 막힘) 가능성

지방 알코올은 전반적으로 유익하지만, 일부 지방 알코올 또는 특정 조합이 지성 피부나 여드름성 피부를 가진 일부 개인에게 모공을 막아 여드름(코메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할 미묘한 부분입니다4. 예를 들어, 세테아릴 알코올 자체의 코메도 등급은 2점(0-5점 척도)이지만, 에톡실화된 유화제인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코메도 등급 2점)과 함께 사용될 경우 그 조합은 4점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25. 이는 단일 성분의 특성뿐만 아니라 제형 전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코메도 등급은 종종 과거의 토끼 귀 실험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인간 피부나 완제품에 직접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농도와 전체 포뮬러가 큰 영향을 미칩니다25. CIR 안전성 검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알코올들이 자극이나 민감성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평가하며, 코메도제닉 자체를 주요 안전성 평가 항목으로 다루지는 않습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지 분비가 많은 피부 타입은 지방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리치한 제형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26. 이는 “모든 지방 알코올은 항상 모든 피부에 완벽하다”는 단순한 인식에 대한 중요한 예외 사항입니다.

5. 기타 알코올: 벤질 알코올에 대한 참고

화장품 성분 목록에는 드라이 알코올이나 지방 알코올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알코올이 존재합니다. 그중 자주 등장하며 소비자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성분으로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이 있습니다. 이는 방향족 알코올(Aromatic Alcohol)로 분류되며, 앞서 다룬 두 유형과는 다른 특성과 고려 사항을 가집니다1.

주요 기능:

  • 보존제 (Preservative): 제품 내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14.
  • 용매 (Solvent):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데 사용됩니다27.
  • 향료 성분 및 용제 (Fragrance Component/Ingredient): 자체적으로 은은하고 달콤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에센셜 오일의 천연 구성 성분이기도 합니다. 또한 다른 향료 화합물을 용해하는 용제로도 사용됩니다1.
  • 점도 감소제 (Viscosity-decreasing agent): 제품의 점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피부 영향: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벤질 알코올은 잠재적인 피부 민감화 물질(sensitizer)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민감한 개인에게 반복적인 노출이나 높은 농도에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4. 이러한 이유로 유럽 연합(EU)과 대한민국에서는 특정 농도 이상 함유 시 반드시 성분 목록에 그 명칭을 표기해야 하는 25가지(또는 26가지) 알레르기 유발 향료 성분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28. 벤질 알코올을 언급하는 이유는, 이 성분이 드라이 알코올의 건조함이나 지방 알코올의 유연 효과와는 다른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벤질 알코올의 주된 우려 사항은 피부 건조보다는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입니다. 이는 “주의해야 할 알코올”이 반드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종류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며, 소비자들이 알코올 성분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6. 제품 라벨 읽기: “알코올 프리”와 INCI 명칭의 이해

화장품 라벨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현명한 제품 선택의 핵심입니다. 특히 ‘알코올 프리’라는 문구나 성분 목록(전성분표)에 기재된 다양한 알코올 명칭은 소비자들에게 많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6.1. “알코올 프리(Alcohol-Free)”의 진정한 의미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따르면, 화장품 라벨에 “알코올 프리”라고 표시된 것은 일반적으로 해당 제품에 에틸 알코올(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합니다5. 이는 매우 중요한 구분점으로, “알코올 프리”가 모든 종류의 알코올이 전혀 없다는 뜻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알코올 프리” 제품에도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유익한 지방 알코올이나, 벤질 알코올과 같은 다른 유형의 알코올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FDA의 정의는 소비자들이 “알코올 프리”라는 문구만 보고 해당 제품이 모든 종류의 알코올로부터 자유롭다고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에서는 이 점이 모호하게 전달되어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키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합니다4.

6.2. 성분 목록(INCI)에서 알코올 식별하기

화장품 전성분표에서 다양한 알코올 성분을 식별하는 것은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위한 필수 능력입니다. 국제 화장품 원료 명명법(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에 따른 주요 알코올의 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드라이 알코올:

  • 에탄올 (Ethanol): 주로 “Alcohol” 또는 “Ethanol”로 표기됩니다29.
  • 변성 알코올 (Denatured Alcohol): “Alcohol Denat.” 또는 “SD Alcohol” 뒤에 숫자나 문자 조합이 붙는 형태(예: “SD Alcohol 40-B”)로 표기됩니다11.
  •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로 표기됩니다14.

지방 알코올: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Ce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Myristyl Alcohol”, “Lauryl Alcohol”, “Oleyl Alcohol”, “Isostearyl Alcohol” 등으로 표기됩니다5.

방향족 알코올: 벤질 알코올 (Benzyl Alcohol): “Benzyl Alcohol”로 표기됩니다27.

소비자가 이러한 INCI 명칭을 숙지하고 있다면, 마케팅 문구에 현혹되지 않고 제품의 실제 알코올 구성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6.3. 성분 순서와 농도 추정

화장품 전성분은 함량이 높은 순서대로 기재되는 것이 원칙입니다30. 따라서 특정 알코올 성분이 목록의 앞부분에 위치할수록 그 농도가 높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에탄올이나 변성알코올과 같은 드라이 알코올이 성분 목록의 상위(예: 처음 몇 개 이내)에 있다면, 해당 제품은 높은 농도의 드라이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피부 건조나 자극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30. 일반적으로 1% 미만으로 함유된 성분들은 1% 이상 함유된 성분들 뒤에 순서에 관계없이 나열될 수 있습니다31. 벤질 알코올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 향료 성분은 특정 농도(예: 국내 및 EU 기준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 0.001%,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 0.01%)를 초과하여 함유된 경우 반드시 그 명칭을 표기해야 합니다28. 이처럼 성분 목록의 순서와 특정 성분의 표기 규정을 이해하는 것은 제품에 함유된 알코올의 잠재적 영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7. 알코올과 피부 타입: 현명한 선택을 위한 가이드

모든 피부는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특정 성분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패치 테스트를 통해 피부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민감성 피부의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피부 타입별 알코올 성분 선택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7.1. 건성 피부

선호 성분: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과 같은 지방 알코올이 풍부하게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은 피부에 유연 효과와 보습을 제공하여 건조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2.

주의 성분: 에탄올, 변성알코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과 같은 드라이 알코올이 고농도로 함유된 제품, 특히 토너나 미스트, 세럼과 같이 피부에 오래 남는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성분은 건조함을 더욱 악화시키고 피부 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32.

팁: “알코올 프리(에탄올 무첨가)” 토너를 선택하거나, 드라이 알코올이 성분 목록의 아주 뒷부분에 위치하며 글리세린, 히알루론산과 같은 보습 성분과 함께 배합된 제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33.

7.2. 지성/여드름성 피부

드라이 알코올: 일시적으로 유분을 제거하고 청량감을 줄 수 있어 지성 피부에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17.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피부를 과도하게 건조시켜 오히려 피지 분비를 촉진하고(리바운드 효과), 피부 장벽을 약화시켜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9. 일부 피부과 의사는 지성 피부에 5% 이상 알코올 함유 제품을 권하기도 하지만34, 이는 자극 가능성과 함께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국소적인 스팟 트리트먼트에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고려될 수 있으나, 얼굴 전체에 고농도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지방 알코올: 일반적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면서도 과도한 유분감을 유발하지 않아 지성 피부에도 유익할 수 있습니다32. 그러나 일부 개인, 특히 여드름성 피부의 경우 특정 지방 알코올이나 이를 함유한 리치한 제형의 크림이 모공을 막아 코메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4. 우려된다면 젤 타입이나 가벼운 로션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팁: 유분 조절과 여드름 관리를 위해서는 드라이 알코올에 의존하기보다 살리실산(BHA)과 같이 검증된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35.

7.3. 민감성 피부

드라이 알코올 (에탄올, 변성알코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매우 높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들은 흔한 피부 자극원이므로, 이러한 성분이 없거나 성분 목록의 아주 뒷부분에 소량만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7.

지방 알코올: 일반적으로 피부 진정 효과가 있고 잘 받아들여지는 편입니다5.

벤질 알코올: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14.

팁: 향료는 일부 알코올과 함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흔한 원인이므로, 무향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36. 많은 민감성 피부용 제품 라인은 자극적인 알코올과 향료를 배제하여 제조됩니다35.

7.4. 주요 알코올 성분 요약: 기능, 장단점, 피부 타입별 적합성

다음 표는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주요 알코올 성분들의 핵심 정보와 피부 타입별 고려 사항을 요약한 것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 빠르고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표 2: 주요 화장품 알코올 성분 요약
알코올 종류 INCI 명칭(들) 유형 주요 기능 주요 이점 (피부/제형) 잠재적 단점/부작용 (피부) 건성 피부 적합성/주의사항 지성/여드름성 피부 적합성/주의사항 민감성 피부 적합성/주의사항
에탄올 Alcohol, Ethanol 드라이 용매, 침투촉진, 수렴, 보존, 사용감개선 가벼운 사용감, 빠른 흡수, 항균 건조, 자극, 장벽손상, 장기사용시 유분과다, 자유라디칼 손상 가능성 고농도 주의, 건조 악화 가능 단기적 유분제거, 장기적으론 유분과다/자극 가능. 고농도 주의 매우 주의, 자극 가능성 높음
변성 알코올 Alcohol Denat., SD Alcohol 드라이 에탄올과 유사 에탄올과 유사 에탄올과 유사, 변성제 종류에 따른 추가 고려사항 미미 고농도 주의, 건조 악화 가능 단기적 유분제거, 장기적으론 유분과다/자극 가능. 고농도 주의 매우 주의, 자극 가능성 높음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드라이 강력 용매, 소독, 소포제 강력한 소독, 빠른 증발 매우 건조, 심한 자극, 장벽손상, 흡입/피부흡수 독성 가능성 사용 피하는 것이 좋음 매우 제한적 사용(스팟), 전반적 사용 피하는 것이 좋음 사용 피하는 것이 좋음, 자극 매우 강함
세틸 알코올 Cetyl Alcohol 지방 유연제, 불투명화제, 유화제, 점증제 피부 보습/유연, 제형 안정, 부드러운 발림성 드물게 민감 반응, 코메도 유발 가능성 낮음 매우 좋음 좋음, 코메도 우려 시 가벼운 제형 선택 좋음
스테아릴 알코올 Stearyl Alcohol 지방 유연제, 점증제, 유화제, 유화안정제 강력한 보습, 피부 유연, 제형 안정 드물게 민감 반응, 코메도 유발 가능성 낮음 매우 좋음 좋음, 코메도 우려 시 가벼운 제형 선택 좋음
세테아릴 알코올 Cetearyl Alcohol 지방 유화제, 유연제, 점증제, 거품안정제 보습, 피부 진정/치유, 제형 개선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 일부에서 코메도 유발 가능성(특히 특정 조합 시)4 매우 좋음 좋음, 코메도 우려 시 주의 또는 가벼운 제형 선택26 좋음, 드물게 민감 반응 주의
베헤닐 알코올 Behenyl Alcohol 지방 점증제, 유연제, 유화제, 불투명화제 보습, 피부 보호막 형성, 부드러운 사용감 자극/민감성 매우 낮음, 코메도 유발 가능성 낮음 매우 좋음 좋음 매우 좋음
미리스틸 알코올 Myristyl Alcohol 지방 유연제, 유화안정제, 점증제, 피부컨디셔닝 피부/모발 컨디셔닝, 보습, 제형 개선 드물게 알레르기/자극, 코메도 유발 가능성 낮음 매우 좋음 좋음, 코메도 우려 시 가벼운 제형 선택 좋음
라우릴 알코올 Lauryl Alcohol 지방 유연제, 유화제, 점증제 보습, 피부 연화 자극/민감성 낮음, 코메도 유발 가능성 낮음 좋음 좋음 좋음
벤질 알코올 Benzyl Alcohol 방향족 보존제, 용매, 향료 성분 제품 보존, 향 부여/용해 민감화 가능성,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유발 가능성 일반적으로 문제 없음, 민감 시 주의 일반적으로 문제 없음, 민감 시 주의 주의,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피부 타입별 가이드라인은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며,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개인의 피부 상태와 특정 제품의 전체적인 배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규제 관점 및 안전성 평가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코올 성분들은 전 세계적으로 각국의 규제 기관 및 독립적인 안전성 평가 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와 평가는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1. 주요 국가 및 기관의 화장품 알코올 규제 현황

미국 (FDA – 식품의약국): 미국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FD&C Act)에 따라 화장품을 규제합니다. FDA는 화장품 라벨에 ‘알코올’이라고 단독으로 표기된 경우 에틸 알코올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11. ‘알코올 프리’ 표시는 에틸 알코올이 함유되지 않았음을 의미하지만,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지방 알코올은 함유될 수 있습니다5. 변성 알코올(SD Alcohol)은 특정 변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사용이 허용됩니다11.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은 특정 용도(예: 식품 첨가물, 일반의약품 소독제)로 승인되어 있습니다15. 주류 라벨링은 주로 주류·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TTB)의 소관이지만, FDA는 성분에 대해 협의합니다37.

유럽 연합 (EC – 유럽 집행위원회, SCCS – 소비자 안전 과학위원회): EU 화장품 규정 (EC) No 1223/2009에 따라 화장품을 관리합니다. ‘Alcohol Denat.’는 변성 알코올을 지칭하는 국제적으로 조화된 용어입니다11. 최근 에탄올이 CMR(발암성, 돌연변이 유발성, 생식 독성) 물질, 특히 생식 독성 카테고리 2로 재분류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화장품에서의 사용 금지 또는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SCCS가 특정 화장품 용도에 대해 안전하다고 판단할 경우 예외(derogation)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38. SCCS는 아직 이 재분류안에 대한 공식 의견을 발표하지 않았으나, 피부를 통한 낮은 흡수율 등을 고려할 때 국소 적용에 대한 안전 마진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38. 또한, 벤질 알코올을 포함한 특정 알레르기 유발 향료 성분은 일정 농도 이상 함유 시 라벨에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합니다28.

대한민국 (MFDS –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법에 따라 화장품 원료 기준, 라벨링 등을 규제합니다. 전성분표에 ‘알코올’로 표기된 경우 일반적으로 에탄올을 의미하며29, 변성알코올에 사용되는 메탄올은 특정 조건 하에 5%로 제한되는 등39 원료별 기준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EU와 유사하게 벤질 알코올을 포함한 알레르기 유발 향료 성분의 의무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28. 식약처는 소비자 정보 제공 웹사이트를 운영하며40, 페녹시에탄올 1% 등 보존제와 같은 특정 성분에 대한 사용 한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31. 또한, 2025년 3월 26일부로 시행된 식약처 고시 제2025-17호는 화장품 원료의 사용금지 해제 및 사용기준 설정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원료 평가 및 승인 절차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41.

8.2. CIR (Cosmetic Ingredient Review) 전문가 패널의 주요 안전성 평가 결과

CIR은 미국의 화장품 산업계가 지원하는 독립적인 과학 전문가 패널로,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보고서를 발간합니다.

에탄올/변성 알코올: 화장품에 사용되는 농도에서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피부를 통한 에탄올의 전신 노출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며, 안전성은 주로 사용된 변성제의 안전성에 기반합니다. t-부틸알코올, 다이에틸프탈레이트, 메틸알코올, 살리실산 등 대부분의 일반적인 변성제는 낮은 농도에서 안전하거나 조건부 안전으로 평가되었습니다13. 다만, 데나토늄벤조에이트와 같은 일부 변성제에 대해서는 독성 자료 불충분 및 흡입 시 천식 악화 가능성 등의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습니다42.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화장품 사용에 안전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 CIR 시험에서 강력한 피부 자극제나 민감화 물질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눈에는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피부를 통해 흡수될 수 있지만, 장기간 또는 과도한 노출이 아닌 이상 심각한 전신 독성을 유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43.

지방 알코올 (세틸, 스테아릴, 세테아릴, 베헤닐, 미리스틸 알코올 등): 화장품에 사용되는 농도에서 일관되게 안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많은 시험에서 피부 자극이나 민감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지방산 및 지방산염에 대한 CIR 보고서 역시 관련된 긴 사슬 화합물의 안전성을 지지하며, 자극 및 민감성을 유발하지 않도록 배합되어야 함을 언급합니다44.

알킬 글루코사이드 (예: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자극을 유발하지 않도록 배합될 경우 화장품 사용에 안전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23.

CIR 보고서는 종종 해당 성분들이 N-나이트로소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제품에는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의사항을 포함하는데, 이는 주로 에탄올아민류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화장품 화학의 일반적인 안전 원칙을 반영합니다45. 이러한 규제 및 안전성 평가는 지방 알코올의 경우 압도적인 과학적 합의를 통해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안도감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드라이 알코올의 안전성은 농도, 제형, 사용된 변성제의 종류 등 보다 미묘하고 상황 의존적인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며, EU의 에탄올 재분류 가능성은 지속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국제적으로 INCI 명칭 통일과 같은 조화 노력이 있지만11, 특정 규제(예: 변성제 목록, 알레르겐 표시 기준28)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글로벌 제품 개발에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모든 화장품은 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품 사용 전에는 반드시 소량을 팔 안쪽이나 귀 뒤쪽에 발라 패치 테스트를 진행하여 알레르기 또는 자극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32.
  • 에탄올, 변성알코올 등 드라이 알코올이 고농도로 함유된 제품은 특히 건성 또는 민감성 피부에 건조함이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732.
  • 지방 알코올은 대부분 피부에 유익하지만, 일부 지성 또는 여드름성 피부 타입의 경우 특정 지방 알코올 또는 이를 함유한 리치한 제형이 모공을 막아 코메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4.
  • 화장품 사용 중 붉어짐, 가려움, 따가움 등의 이상 반응이 나타날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Q1: 화장품에 함유된 모든 알코올은 피부에 해로운가요?

A: 아닙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크게 ‘드라이 알코올’과 ‘지방 알코올’로 나뉩니다. 드라이 알코올(예: 에탄올, 변성알코올)은 빠르게 증발하면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거나 자극을 줄 수 있지만7, 지방 알코올(예: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은 피부에 보습과 유연 효과를 주어 오히려 피부에 유익합니다2. 따라서 ‘알코올’이라는 단어만 보고 무조건 피하기보다는 어떤 종류의 알코올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알코올 프리(Alcohol-Free)’라고 표시된 제품에는 알코올이 전혀 없나요?

A: ‘알코올 프리’ 표시는 일반적으로 에틸 알코올(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합니다5. 하지만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과 같은 지방 알코올이나 벤질 알코올 등 다른 유형의 알코올은 포함될 수 있습니다5. 따라서 ‘알코올 프리’ 제품이라도 전성분표를 확인하여 어떤 종류의 알코올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Q3: 드라이 알코올은 화장품에서 어떤 기능을 하며, 어떤 피부 타입이 사용 시 주의해야 하나요?

A: 드라이 알코올(에탄올, 변성알코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은 화장품에서 용매, 수렴제, 사용감 개선제(청량감 부여, 빠른 건조), 보존제, 항균제 등의 역할을 합니다89. 하지만 피부의 수분과 지질을 제거하여 건조하게 만들고 피부 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37. 특히 건성 피부, 민감성 피부, 또는 피부 장벽이 약해진 경우에는 드라이 알코올 함량이 높은 제품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32.

Q4: 지방 알코올은 피부에 어떤 좋은 점이 있나요? 민감성 피부도 사용해도 되나요?

A: 지방 알코올(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등)은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 증발을 막고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만드는 유연제 및 보습제 역할을 합니다12. 또한, 화장품 제형을 안정화시키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는 데 기여합니다. 대부분의 지방 알코올은 피부 자극이 적어 민감성 피부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5. 다만, 매우 드물게 특정 지방 알코올에 민감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품은 패치 테스트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벤질 알코올은 드라이 알코올이나 지방 알코올과 어떻게 다른가요?

A: 벤질 알코올은 방향족 알코올로 분류되며, 드라이 알코올이나 지방 알코올과는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주로 화장품에서 보존제, 용매, 향료 성분으로 사용됩니다114. 벤질 알코올의 주된 피부 관련 우려 사항은 피부 건조보다는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입니다.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민감한 개인에게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어 EU나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농도 이상 함유 시 성분명 표기가 의무화된 향료 알레르기 유발 물질 중 하나입니다1428.

9. 결론: 화장품 속 알코올, 균형 잡힌 진실을 찾아서

화장품 성분으로서 ‘알코올’은 단일한 실체가 아닌,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화학적 특성과 피부 영향을 지닌 화합물들의 집합체입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알코올’이라는 이름표 뒤에는 피부에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종류의 성분들이 존재합니다. 가장 핵심적인 구분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자극을 줄 수 있는 휘발성의 ‘드라이 알코올(단순 알코올)’과, 피부에 보습과 유연 효과를 제공하며 제형 안정화에 기여하는 비휘발성의 ‘지방 알코올’ 사이에 있습니다7. 드라이 알코올은 주로 용매, 사용감 개선, 항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특히 고농도이거나 민감한 피부에 사용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지방 알코올은 피부 장벽을 지지하고 촉촉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어 대부분의 피부 타입에 유익하게 작용합니다2. 따라서 화장품 속 알코올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이나 오해(“공포 마케팅”46)에 기반한 맹목적인 회피보다는,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보에 입각한 선택이 중요합니다3. 일부 드라이 알코올이 특정 피부 타입이나 과도한 사용 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이들 역시 화장품 제형에서 합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8. 알코올의 영향은 성분의 종류뿐만 아니라 농도, 전체적인 제품 배합, 그리고 개인의 피부 상태 등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달라지므로, ‘진실’은 단순하지 않고 다면적입니다.

소비자들을 위한 최종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성분표(INCI 목록) 꼼꼼히 읽기: 다양한 알코올의 INCI 명칭을 숙지하고, 특히 드라이 알코올(Alcohol, Ethanol, Alcohol Denat., Isopropyl Alcohol 등)이 성분 목록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즉, 농도가 높은지 낮은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 “알코올 프리”의 의미 정확히 이해하기: 이 표시는 일반적으로 에탄올 무첨가를 의미하며, 유익한 지방 알코올(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등)은 함유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5.
  • 자신의 피부 타입 고려하기:
    • 건성/민감성 피부: 지방 알코올이 풍부한 제품을 선호하고, 드라이 알코올 함량이 높은 제품은 신중히 선택하거나 피합니다.
    • 지성/여드름성 피부: 드라이 알코올의 단기적인 유분 제거 효과에 의존하기보다는 장기적인 피부 건강을 고려하고, 지방 알코올의 경우에도 개인에 따라 코메도 유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가벼운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로운 제품은 패치 테스트하기: 특히 민감성 피부라면 사용 전 소량을 피부의 작은 부위에 발라 반응을 확인합니다.
  • “천연” 또는 “유기농” 표시가 드라이 알코올 무첨가를 의미하지 않음: 에탄올은 천연 발효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전문가와 상담하기: 지속적인 피부 문제가 있거나 성분에 대한 개인적인 조언이 필요하다면 피부과 의사나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스킨케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의사들은 자극적인 성분 회피를 강조하거나 특정 치료법을 우선시하는 등 다양한 견해를 가질 수 있으며47, 화장품 화학자들은 잘 배합된 제품에 포함된 다양한 알코올의 안전성과 이점을 강조하기도 합니다26.

궁극적으로, 화장품 속 알코올에 대한 이해는 소비자 스스로가 자신의 피부를 위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과정입니다. 본 보고서가 그 여정에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네이버 블로그. 알코올⁻프리 화장품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467369&memberNo=38766620.
  2. 네이버 블로그. [화장품 성분]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차이점과 효능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gr0325/222700474324?viewType=pc.
  3. 폴라초이스. 화장품 속 알코올(Alcohol) 성분, 나쁜 걸까 좋은 걸까? | 뷰티 어드바이스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aulaschoice.co.kr/expert-advice/beauty-advice-048.html.
  4. 데일리팝. [성분 연구소] 낯선 화장품 성분, 이건 뭐지? ‘세테아릴알코올’ [인터넷]. 2020년 7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45056.
  5. Healthline. Cetearyl Alcohol: What It Is & How It’s Used in Your Beauty Product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cetearyl-alcohol.
  6. 고양시민신문. 무조건 없애라? 화장품 속 알코올의 진실 – 의학정보 > 강좌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gysarang.com/Module/News/Lecture.asp?MODE=V&SRNO=6752.
  7. 아로마티카. 에탄올과 알코올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romatica.co.kr/article/faq/3/71527/.
  8. Ecco Verde. Alcohol In Cosmetic Products: Harmful or Vital?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cco-verde.com/info/beauty-blog/alcohol-in-cosmetic-products-harmful-or-beneficial.
  9. 네이버 포스트. [화장품 성분 이야기] 알코올 성분을 피해야 할 3가지 이유 [인터넷]. 2017년 4월 12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759988&memberNo=25926747.
  10. Pabst R, Sterry W, Wokalek H. Influence of Ethanol as a Preservative in Topical Formulation on the Dermal Penetration Efficacy of Active Compounds in Healthy and Barrier-Disrupted Ski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24;38(5):978-985. doi:10.1111/jdv.20162.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PMID: 40006563.
  1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lcohol Free” [인터넷]. 2022년 8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da.gov/cosmetics/cosmetics-labeling-claims/alcohol-free.
  12. Paula’s Choice. Alcohol in Skin Care: The Fact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aulaschoice.com/expert-advice/skincare-advice/ingredient-spotlight/alcohol-in-skin-care-the-facts.html.
  13. Nikolić V, Stanković M, Cakić M, Stanojević L, Cvetković D, Mladenović-Ranisavljević I, et al. Final report of the safety assessment of Alcohol Denat., including SD Alcohol 3-A, SD Alcohol 30, SD Alcohol 39, SD Alcohol 39-B, SD Alcohol 39-C, SD Alcohol 40, SD Alcohol 40-B, and SD Alcohol 40-C, and the denaturants, quassin, Brucine Sulfate. Int J Toxicol. 2008;27 Suppl 1:1-43.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98521857_Final_report_of_the_safety_assessment_of_Alcohol_Denat_including_SD_Alcohol_3-A_SD_Alcohol_30_SD_Alcohol_39_SD_Alcohol_39-B_SD_Alcohol_39-C_SD_Alcohol_40_SD_Alcohol_40-B_and_SD_Alcohol_40-C_and_the_de.
  14. 네이버 블로그. [화장품성분노트] 화장품 속 알코올 성분에 관하여 알아보자 (알코올 …) [인터넷]. 2015년 10월 8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adongeee/220502325036?viewType=pc.
  15. 네이버 블로그. 화장품 성분 아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구명칭 이소프로필알코올) 알아보기 [인터넷]. 2020년 6월 30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herbsecret/222019520570?viewType=pc.
  16.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Summary for CID 2682, Cetyl Alcohol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Cetyl-Alcohol.
  17. 네이버 블로그. 알코올 피부 건조? 알코올 화장품 역할, 알코올 부작용 [인터넷]. 2020년 1월 2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m.blog.naver.com/plastikos7750/221757460611.
  18.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 세테아릴알코올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cia.or.kr/pedia/search/search_01_view.php?no=37.
  19. 폴라초이스. 성분사전: 베헤닐알코올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aulaschoice.co.kr/ingredients/ingredient-behenyl-alcohol.html.
  20. Ataman Kimya. BEHENYL ALCOHOL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tamanchemicals.com/behenyl-alcohol_u24622/.
  21. SpecialChem. Myristyl Alcohol (Emollient): Cosmetic Ingredient INCI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smetics.specialchem.com/inci-ingredients/myristyl-alcohol.
  22.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배포용) [인터넷]. 2020년 10월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cia.or.kr/inc/down.php?dir=BOARD&file_name=202010_160376588311916_1.pdf&rename=3.+%ED%99%94%EC%9E%A5%ED%92%88+%EC%A0%9C%EC%A1%B0+%EB%B0%8F+%ED%92%88%EC%A7%88%EA%B4%80%EB%A6%AC_%EB%B0%B0%ED%8F%AC%EC%9A%A9.pdf.
  23. Cosmetics Info. Lauryl Glucoside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smeticsinfo.org/ingredient/lauryl-glucoside/.
  24.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Summary for CID 5284499, Oleyl Alcohol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Oleyl-Alcohol.
  25. INCIDecoder. On Comedogenic and Irritancy Ratings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incidecoder.com/comedogenic-rating.
  26. Romanowski P. Debunking Skincare Myths: An Interview With Cosmetic Chemist, Perry Romanowski [인터넷]. SkinandTonics; 2014년 3월 5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kinandtonics.com/debunking-skin-care-myths-interview-cosmetic-chemist-perry-romanowski/.
  27. 니베아. 성분 용어집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ivea.co.kr/about-us/sustainability/ingredients-glossary.
  28. CNC News. ’20년 1월 1일부터 착향제 25종 알레르기 성분 표기 [인터넷]. 2019년 12월 12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5082.
  29. Cosmetic Ingredients (블로그). 변성 알코올, 알코올, 에탄올 올바른 전성분 표시는? [인터넷]. 2012년 10월 15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osmeticingredients.tistory.com/entry/%EB%B3%80%EC%84%B1-%EC%95%8C%EC%BD%94%EC%98%AC-%EC%97%90%ED%83%84%EC%98%AC.
  30. 네이버 블로그. 화장품 성분표 보는 법 part1 : 성분표의 구조 [인터넷]. 2015년 1월 8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ongic/220234543808?viewType=pc.
  31.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원료란? [인터넷]. 2020년 10월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cia.or.kr/inc/down.php?dir=BOARD&file_name=202010_160376500492377_3.pdf&rename=3.+%ED%99%94%EC%9E%A5%ED%92%88+%EC%A0%9C%EC%A1%B0+%EB%B0%8F+%ED%92%88%EC%A7%88%EA%B4%80%EB%A6%AC_%EB%B0%B0%ED%8F%AC%EC%9A%A9.pdf.
  32. Zicail. 피부 관리에 사용되는 지방 알코올: 이점과 오해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zicail.com/ko/%ED%94%BC%EB%B6%80-%EA%B4%80%EB%A6%AC%EC%97%90-%EC%82%AC%EC%9A%A9%EB%90%98%EB%8A%94-%EC%A7%80%EB%B0%A9-%EC%95%8C%EC%BD%94%EC%98%AC/.
  33. 네이버 블로그. 지성피부에 알코올 함유 화장품이 좋을 수 있는 이유 [인터넷]. 2020년 11월 16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cgr0325/222147095724?viewType=pc.
  34. 피알남 김홍석. 2편]피부과 의사 파우치에 알코올 상시구비? (심지어 알코올이 최애템 ) [인터넷]. YouTube; 2020년 8월 20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outube.com/watch?v=BmeifLW-OWo&t=342s (참고: 제공된 링크는 실제 영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본 출처 확인이 필요합니다.)
  35. 네이버 블로그. 민감성피부 스킨케어 루틴 및 주의성분,좋은성분,제품추천 [인터넷]. 2024년 4월 28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ujinkongjoo/223801092080.
  36. 닥터디퍼런트. 닥터스칼럼: 민감성 피부와 화장품 [인터넷]. 2018년 1월 29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drdifferent.com/article/%EB%8B%A5%ED%84%B0%EC%8A%A4%EC%B9%BC%EB%9F%BC/8/2208/.
  37.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Distilled Spirits [인터넷]. 2023년 7월 11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da.gov/about-fda/domestic-mous/distilled-spirits.
  38. Essentica. Potential Ban on Ethanol in Cosmetic Products in the EU …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essentica.eu/news/about-the-industry/potential-ban-on-ethanol-in-cosmetic-products-in-the-eu-regulatory-context-and-positions.
  39. CosNet Korea. 제1장 화장품원료 관련규정 [인터넷]. 2012년 8월 23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osnet.co.kr/upload/bbs/1345647163.pdf.
  40. 식품안전나라. 식품안전나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oodsafetykorea.go.kr/.
  41. Freyr.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ce for Lifting Prohibition and Establishing Use Standards for Cosmetic Ingredients in South Korea [인터넷]. 2025년 3월 26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reyrsolutions.com/cosmetics-industry-news/ministry-of-food-and-drug-safety-notice-for-lifting-prohibition-and-establishing-use-standards-for-cosmetic-ingredients-in-south-korea.
  42. Cosmetic Ingredient Review. Final report of the safety assessment of Alcohol Denat., including SD Alcohol 3-A, SD Alcohol 30, SD Alcohol 39, SD Alcohol 39-B, SD Alcohol 39-C, SD Alcohol 40, SD Alcohol 40-B, and SD Alcohol 40-C, and the denaturants, quassin, Brucine Sulfate. Int J Toxicol. 2008;27 Suppl 1:1-43. (참고: 본 보고서는 source 41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을 수 있습니다.)
  43. Kampf G, Kramer A. Alcohols for Skin Antisepsis at Clinically Relevant Skin Sites. Clin Microbiol Rev. 2004 Oct;17(4):863-93. doi: 10.1128/CMR.17.4.863-893.2004.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772323/.
  44. Cosmetic Ingredient Review. Safety Assessment of Fatty Acids & Fatty Acid Salts as Used in Cosmetics [인터넷]. 2019년 4월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ir-safety.org/sites/default/files/facids042019finalrep.pdf.
  45. Cosmetic Ingredient Review. On the Safety Assessment of Ethanolamine and Ethanolamine Salts as Used in Cosmetics [인터넷]. 2012년 3월 27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cir-safety.org/sites/default/files/MEA032012FAR.pdf.
  46. 나무위키. 공포 마케팅 (r980 판)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mu.wiki/w/%EA%B3%B5%ED%8F%AC%20%EB%A7%88%EC%BC%80%ED%8C%85?rev=980.
  47. 의사들의수다. 피부과 원장이 화장품 딱 ‘3가지’만 사용하는 진짜 이유 | 의사들의 수다 EP. 18 [인터넷]. YouTube; 2023년 5월 25일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wU0qoRj3i0o (참고: 제공된 링크는 실제 영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본 출처 확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