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의 설렘과 기대감 속에서 나타나는 작은 신체 변화 하나하나는 큰 걱정과 불안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특히 자궁 외 임신은 모든 예비 엄마가 그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할 중대한 의학적 상태입니다. 많은 분들이 ‘나는 위험 요인이 없으니 괜찮을 거야’라고 생각하지만, 바로 그 안심이 가장 위험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단순한 정보의 나열을 넘어, 불확실성의 안개 속에서 길을 잃은 듯한 당신에게 신뢰할 수 있는 등대가 되어줄 것입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최신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궁 외 임신의 미묘한 경고 신호를 구별하는 방법,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과정, 그리고 건강한 미래를 되찾기 위한 희망의 여정까지,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함께 짚어 나갈 것입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자궁 외 임신은 알려진 위험 요인이 없는 여성에게도 절반가량 발생할 수 있는 보편적인 위험입니다. 절대 스스로를 ‘안전지대’에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 됩니다.6
- 임신 초기, 특히 비정상적인 질 출혈과 동반되는 복통은 즉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경고 신호입니다.1
- 조기 진단과 시기적절한 치료는 생명과 미래의 임신 가능성을 지키는 가장 결정적인 열쇠입니다.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절대 지체해서는 안 됩니다.
- 자궁 외 임신을 겪었더라도 대부분의 여성은 이후 건강한 자궁 내 임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8
1. 자궁 외 임신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자궁 외 임신(Ectopic Pregnancy)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상적인 임신 과정을 알아야 합니다. 정상 임신에서는 난소에서 배란된 난자가 나팔관(난관)에서 정자와 만나 수정된 후, 자궁 내막으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착상하고 성장합니다.24 하지만 자궁 외 임신은 이 수정란이 자궁이 아닌 다른 곳, 즉 비정상적인 위치에 착상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에 따르면,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산과 질환입니다.1
1.1. 가장 흔한 유형: 난관 임신 (나팔관 임신)
서울아산병원 의료 정보에 따르면 자궁 외 임신의 약 90% 이상이 나팔관에서 발생하며, 이를 ‘난관 임신’이라고 부릅니다.23 나팔관은 아기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과 신축성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나팔관이 팽창하다가 결국 파열될 수 있으며, 이는 복강 내 대량 출혈을 유발하여 산모의 생명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0
1.2. 드물지만 위험한 다른 유형들
난관 외에도 수정란은 매우 드물게 자궁경부, 난소, 복강, 또는 이전 제왕절개 수술 흉터 부위에 착상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ACOG)의 지침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들은 발생 빈도는 낮지만, 진단이 더 까다롭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6 영국 왕립 산부인과 학회(RCOG) 또한 이러한 비정상적 위치의 임신은 출혈 위험이 매우 크다고 경고합니다.18
2. “나와는 상관없는 일?” – 가장 위험한 오해 바로잡기
많은 여성이 이전에 골반염을 앓았거나 특정 수술 이력이 있는 경우에만 자궁 외 임신을 걱정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오해입니다. 이 섹션의 목표는 독자 여러분의 마음속에 있을지 모를 안일한 생각을 완전히 깨뜨리는 것입니다.
2.1. 충격적인 진실: 50%는 알려진 위험 요인이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실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ACOG)의 공식 프랙티스 불레틴(Practice Bulletin)에 따르면, 자궁 외 임신으로 진단된 여성의 약 50%는 알려진 위험 요인이 전혀 없었습니다.6 이 통계는 매우 중요한 점을 시사합니다. 자궁 외 임신은 특정 ‘고위험군’에게만 일어나는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가임기의 모든 여성에게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편적인 위험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는 괜찮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은 절대 금물입니다.8
2.2. 그럼에도 알아야 할 주요 위험 요인들
물론 특정 조건들이 자궁 외 임신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을 아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것이 ‘해당 사항 없는 이들은 안전하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마요 클리닉(Mayo Clinic)과 StatPearls의 최신 연구 자료에 따르면 주요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2520
- 과거 자궁 외 임신 경험: 이전에 자궁 외 임신을 겪은 경우, 재발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 나팔관, 골반, 복부 수술 이력: 나팔관 주변의 유착이나 흉터는 수정란의 정상적인 이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골반염증성질환(PID): 클라미디아나 임질과 같은 성병 감염으로 인한 골반염은 나팔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체외수정(IVF) 등 보조생식술: 임신을 돕는 특정 시술들이 위험도를 약간 높일 수 있습니다.
- 자궁 내 장치(IUD) 사용 중 임신: IUD는 피임 효과가 매우 높지만, 만약 실패하여 임신이 될 경우 자궁 외 임신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흡연: 흡연은 나팔관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생명을 구하는 신호: 언제 의심하고, 언제 응급실로 가야 할까?
이 부분이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하고 실용적인 정보입니다. 자궁 외 임신의 ‘적’은 모호한 초기 증상으로 인한 ‘지체’입니다. 다음의 명확한 행동 지침을 숙지하여 당신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십시오.
3.1. 놓치기 쉬운 초기 경고 신호 (의사에게 전화해야 할 때)
자궁 외 임신의 초기 증상은 정상적인 임신 초기 증상이나 유산의 징후와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과 서울대학교병원(SNUH)은 다음 증상들의 ‘조합’에 주목할 것을 강조합니다.13 이 중 하나라도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연락하여 상담해야 합니다.
- 경미한 복통 또는 골반통: 아랫배 한쪽이 콕콕 쑤시거나 묵직하게 아픈 느낌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비정상적인 질 출혈: 생리보다 양이 적고 색이 진한 갈색이거나 분홍빛을 띠는 소량의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착상혈’과 구별이 어렵습니다.
- 허리 통증: 평소와 다른 허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복통과 질 출혈은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신호입니다. 괜찮을 것이라고 스스로 판단하기보다는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 것이 모든 위험을 배제하는 가장 안전한 길입니다.”
– 박교훈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15
3.2.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신호 (즉시 119에 전화하거나 응급실로 가야 할 때)
아래 증상들은 나팔관 파열로 인한 복강 내 출혈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매우 위험한 신호입니다. 지체 없이 즉시 119에 연락하거나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이는 생명을 구하기 위한 골든타임과 직결됩니다.218
- 갑작스럽고 극심한 복통 또는 골반통: 칼로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이 갑자기 발생합니다.
- 어깨 끝 통증: 복강 내에 고인 혈액이 횡격막 신경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어깨 자체의 문제가 아닌데도 어깨 끝 부분이 아프게 느껴집니다.
- 심한 어지럼증, 현기증 또는 실신: 대량 출혈로 인한 저혈압 쇼크의 징후입니다.
- 창백한 피부와 식은땀: 쇼크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위험 신호입니다.
신호 유형 | 주요 증상 | 필요한 조치 |
---|---|---|
초기 경고 신호 | 경미한 편측성 복통, 소량의 비정상적 질 출혈, 허리 통증 | 즉시 병원에 전화하여 상담 및 진료 예약 |
응급 신호 (파열 의심) | 극심하고 갑작스러운 복통, 어깨 통증, 심한 어지럼증/실신, 창백한 피부 | 지체 없이 119 호출 또는 응급실 방문 |
4. 정확한 진단: 병원에서는 어떤 검사를 하나요?
병원에 도착하면, 의사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절차를 시작합니다. 이는 미지의 상황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을 덜어주고, 가장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필수적입니다.
4.1. 혈액 검사 (hCG 수치 추적)
혈액 검사는 임신 호르몬인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ACOG 지침에 따르면, 단 한 번의 hCG 수치만으로는 확진할 수 없습니다.6 정상적인 자궁 내 임신에서는 hCG 수치가 약 48시간마다 두 배 가까이 빠르게 증가하지만, 자궁 외 임신에서는 이 수치가 더디게 오르거나 정체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의사는 며칠 간격으로 여러 번의 혈액 검사를 통해 hCG 수치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자궁 외 임신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습니다.3
4.2. 질식 초음파 검사
질식 초음파는 자궁 외 임신 진단의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의사는 자궁 내에 아기집(임신낭)이 정상적으로 위치해 있는지 직접 확인합니다.6 혈중 hCG 수치가 특정 수준(보통 1,500-2,000 mIU/mL) 이상으로 충분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초음파 상에서 자궁 내에 아기집이 보이지 않는다면, 자궁 외 임신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때로는 초음파를 통해 나팔관이나 다른 위치에서 비정상적인 임신 조직을 직접 발견하기도 합니다.
5. 치료 방법: 당신의 건강을 위한 최선의 선택
자궁 외 임신 진단은 충격적이고 슬픈 경험이지만, 현대 의학은 산모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미래의 임신 가능성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치료법은 진단 시기, 증상의 심각성, hCG 수치, 그리고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됩니다.
5.1. 약물 치료: 메토트렉세이트 (MTX)
나팔관이 파열되지 않았고, 태아의 심장 박동이 관찰되지 않으며, hCG 수치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비교적 초기에 발견된 경우, 메토트렉세이트(MTX)라는 약물을 이용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MTX는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이 경우, 임신 조직)의 성장을 멈추게 하는 주사제입니다.114 치료 후에는 hCG 수치가 완전히 0으로 떨어질 때까지 수 주에 걸쳐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경과를 추적 관찰해야 합니다. ACOG는 이 방법이 수술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수술적 치료 선택지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6
5.2. 수술적 치료: 복강경 수술
증상이 심하거나, 나팔관 파열이 의심되거나, 약물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수술은 복강경을 통해 최소 침습적으로 이루어집니다.3 복부에 작은 절개창을 몇 개 내고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진행하므로 회복이 빠릅니다. ACOG 지침에 따르면 수술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6
- 난관 절개술(Salpingostomy): 나팔관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나팔관을 작게 절개하여 임신 조직만 제거하고 다시 봉합합니다. 향후 임신 기능을 보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난관 절제술(Salpingectomy): 나팔관의 손상이 심하거나 출혈이 통제되지 않을 경우, 해당 나팔관 전체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반대쪽 나팔관이 건강하다면 여전히 자연 임신이 가능합니다.
구분 | 약물 치료 (메토트렉세이트) | 수술적 치료 (복강경) |
---|---|---|
적용 대상 | 초기 진단, 나팔관 미파열, hCG 수치 낮음, 안정적인 상태 | 진행된 경우, 나팔관 파열 의심, hCG 수치 높음, 불안정한 상태 |
장점 | 수술과 마취를 피함, 나팔관 보존 | 즉각적이고 확실한 치료, 출혈 제어에 효과적 |
단점 | 치료 실패 가능성, 수 주간의 추적 관찰 필요, 부작용 가능성 | 수술 및 마취 위험, 나팔관 손상 또는 제거 가능성 |
회복 기간 | 치료 기간은 길 수 있으나 신체적 회복은 빠름 | 입원 및 수술 후 회복 기간 필요 |
6. 치료 그 이후: 몸과 마음의 회복, 그리고 희망
자궁 외 임신의 치료는 단순히 의학적 절차가 끝나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몸의 회복과 함께 보이지 않는 마음의 상처를 돌보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다시 키워나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 여정에서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6.1. 가장 많이 묻는 질문: “다시 임신할 수 있을까요?”
이것은 자궁 외 임신을 겪은 모든 여성이 가장 간절하게 묻는 질문일 것입니다. 마요 클리닉 헬스 시스템(Mayo Clinic Health System)에 따르면, 대답은 매우 희망적입니다: 대부분의 여성은 이후에 건강한 자궁 내 임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8 특히 한쪽 나팔관을 절제했더라도 반대쪽 나팔관이 건강하다면 여전히 자연 임신이 가능합니다. 다만, 자궁 외 임신 재발 위험이 약 10% 정도로 일반인보다 높기 때문에, 다음 임신 시에는 반드시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여 임신이 정상적으로 자궁 내에 착상했는지 조기에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9
6.2. 몸의 회복: 현대 의학과 한방의 지혜를 통합하는 법
몸의 회복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산부인과 의사의 지침을 충실히 따르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한국 문화권에서는 많은 분들이 심신 회복을 돕기 위해 한의학적 도움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이는 현대 의학적 치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기를 보완하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자궁 외 임신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어혈(瘀血, 정체된 혈액)’을 풀어주고, 약해진 ‘자궁 기능(子宮機能)’을 강화하여 다음 임신을 위한 최적의 신체 환경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12 이러한 보완적 접근을 고려할 때는 반드시 담당 산부인과 의사와 충분히 상의해야 합니다.
6.3. 마음의 회복: 슬픔을 인정하고 도움 요청하기
자궁 외 임신은 아기를 잃는 ‘상실’입니다. 슬픔, 분노, 죄책감, 불안감 등 복잡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이러한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스스로에게 슬퍼할 시간을 충분히 허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8 배우자, 가족, 가까운 친구와 감정을 솔직하게 나누는 것이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정신건강 전문가나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 마음의 상처를 전문적으로 치유하는 과정 또한 매우 중요하며, 이는 결코 나약함의 표현이 아닙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자궁 외 임신도 임신 테스트기에 두 줄로 나오나요?
A. 네, 그렇습니다. 자궁 외 임신도 임신 호르몬(hCG)을 생성하기 때문에 소변 임신 테스트기에서 양성 반응(두 줄)이 나옵니다. 테스트기 결과만으로는 정상 임신과 자궁 외 임신을 절대 구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임신 확인 후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초음파로 아기집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Q. 자궁 외 임신이 제 잘못 때문에 생긴 건가요?
A.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자궁 외 임신은 당신이 무언가를 잘못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나팔관의 이전 손상이나 기능적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학적 상태일 뿐입니다.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전혀 없으며, 스스로를 비난해서는 안 됩니다.
Q. 치료 후 언제부터 다음 임신을 시도할 수 있나요?
A. 이는 치료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메토트렉세이트(MTX)로 치료받은 경우, 약물이 체내에서 완전히 배출되고 엽산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 보통 3개월 정도의 피임 기간을 권장합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 신체적 회복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3번의 정상적인 생리 주기를 거친 후에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가장 정확한 시기는 당신의 회복 과정을 가장 잘 아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8
결론: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자궁 외 임신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힘들고 외로운 여정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통해 우리는 가장 위험한 적이 ‘나는 괜찮을 거야’라는 막연한 주관적 안심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모호한 초기 증상 뒤에 숨어있는 생명을 구하는 신호들을 구별하는 지혜와, 현대 의학이 제공하는 효과적인 치료법, 그리고 회복을 향한 희망의 길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 지식을 당신을 보호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로 삼으십시오. 당신의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에도 귀를 기울이고, 주저 없이 전문가와 소통하며, 당신의 건강과 미래를 위한 가장 현명한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기억하십시오,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참고 문헌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자궁외 임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2727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자궁 외 임신(Ectopic pregnanc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46
-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자궁 외 임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medid=AA000285
- 쉬즈한의원 자궁클리닉. 자궁외임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shes.com/bbs/board.php?bo_table=mobile&wr_id=17&page=7
- 닥터나우. “자궁외임신 증상일까요?” 자궁외임신 초기 증상, 원인, 치료법까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doctornow.co.kr/content/magazine/969ffe83d4324fb89327715076eab2fc
-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Practice Bulletin No. 193: Tubal Ectopic Pregnancy. Obstet Gynecol. 2018;131(3):e91-e103. PDF from: https://www.fertilehealthexpert.com/wp-content/uploads/2021/11/Ectopic-Pregnancy-ACOG.pdf
- 서울아산병원. 알기쉬운의학용어. 자궁외임신(extrauterine gesta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3233
- Mayo Clinic Health System. Ectopic pregnancy: Signs, treatment and future fertilit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clinichealthsystem.org/hometown-health/speaking-of-health/ectopic-pregnancy-signs-treatment-and-future-fertility
- NHS. Ectopic pregnanc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hs.uk/conditions/ectopic-pregnancy/
- Horne AW, Sauvaget J, Balasubramaniam S, et al. Overview of ectopic pregnancy diagnosis, management, and innovation. PMC. 2023;10(4):e000473.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071153/
- Wikipedia. Ectopic pregnanc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Ectopic_pregnancy
- 쉬즈한의원 자궁클리닉. 자궁외임신으로 자궁 기능이 저하된 상태라면 한방치료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wshes.com/bbs/board.php?bo_table=mobile&wr_id=17&page=7
- YouTube. 자궁외임신 원인과 위험성, 치료하면 끝날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r3X2Wm8n0jQ
-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AAFP).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2014;90(1):34-40.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14/0701/p34.html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의료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bh.org/medical/drMedicalTeam.do?DP_TP=O&DP_CD=OG
- 서울대학교병원. 이승미 교수 블로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blog/01269/philosophy.do
- ACOG Practice Bulletin No. 193: Tubal Ectopic Pregnancy. PubMed. 2018. PMID: 29470343. https://pubmed.ncbi.nlm.nih.gov/29470343/
-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 Gynaecologists (RCOG). Green-top Guideline No. 21: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2016. https://www.rcog.org.uk/guidance/browse-all-guidance/green-top-guidelines/diagnosis-and-management-of-ectopic-pregnancy-green-top-guideline-no-21/
- 상락수 차가버섯. 암종별정보_자궁외임신.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haga.or.kr/m/page.html?id=53
- Crochet JR, Bastian LA, Chireau MV. Ectopic Pregnancy.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5 Ja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9860/
- 의사신문. 국내 ‘자궁외 임신 발생률’ 1000명당 17.3명꼴. 2018.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645
- 유앤그린 여성한의원. 자궁외 임신이 이후 임신 결과에 끼치는 영향.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you-green.com/%EB%82%98%EB%88%94%ED%8F%AC%EC%8A%A4%ED%8A%B8/%EC%9E%90%EA%B6%81%EC%99%B8-%EC%9E%84%EC%8B%A0%EC%9D%B4-%EC%9D%B4%ED%9B%84-%EC%9E%84%EC%8B%A0-%EA%B2%B0%EA%B3%BC%EC%97%90-%EB%81%BC%EC%B9%98%EB%8A%94-%EC%98%81%ED%96%A5-%EB%8C%80%EC%A0%84%EC%9C%A0/
- 서울아산병원. 알기쉬운의학용어. 자궁외임신(extrauterine gestation).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3233
- Mayo Clinic. Ectopic pregnancy.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ectopic-pregnancy/symptoms-causes/syc-20372088 (Note: URL in prompt was for KUH, using the direct Mayo Clinic URL for accuracy).
- Mayo Clinic. Ectopic pregnancy – Symptoms & cause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ectopic-pregnancy/symptoms-causes/syc-20372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