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케어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 원인, 해결책 및 예방을 위한 완벽 가이드

겨드랑이의 어두운 착색과 반복적인 가려움은 많은 이들이 겪는 흔한 피부 고민 중 하나입니다. 1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미용적 불편함을 넘어, 때로는 특정 피부 질환이나 전신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1 따라서 겨드랑이 피부 문제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관리 및 치료법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1 본 글에서는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올바른 자가 관리법, 피부과 전문의를 통한 전문적인 치료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예방 전략에 이르기까지 KRHOW.COM 편집팀이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피부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2

핵심 요약

  •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은 마찰, 자극적인 제품 사용, 잘못된 제모 습관 등 외부 요인, 호르몬 변화, 특정 질환(예: 흑색극세포증, 접촉 피부염,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1 3 4
  • 염증 반응은 착색과 가려움이 함께 나타나는 주요 연결고리이며, 긁는 행위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6
  •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문진, 시진, 필요시 추가 검사)이 필수적입니다. 7
  • 치료는 원인에 따라 생활 습관 개선, 국소 도포제(미백, 항염, 항진균/항생제), 경구약, 레이저 치료, 화학 박피 등을 포함하며, 기저 질환 관리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8 9
  • 청결 유지, 자극 최소화, 올바른 제모, 충분한 보습, 건강한 생활 습관은 겨드랑이 피부 문제 예방 및 장기적 관리에 핵심적입니다. 10

1. 우리 몸의 숨겨진 곳, 겨드랑이 피부의 특징과 기능

겨드랑이 피부는 다른 신체 부위와 구별되는 독특한 해부학적 및 생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특정 피부 문제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4 겨드랑이는 피부가 얇고 민감하며, 지속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마찰이 일어나는 간찰 부위(intertriginous area)입니다. 4 11 이곳에는 모낭과 함께 아포크린샘(apocrine sweat gland)과 에크린샘(eccrine sweat gland)이라는 두 종류의 땀샘이 밀집되어 분포합니다. 11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겨드랑이는 생리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합니다. 11 땀 분비가 많고 통풍이 잘 되지 않아 피부가 눅눅해지기 쉬우며, 이는 세균이나 진균(곰팡이)이 증식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12 또한, 팔의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하여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게 됩니다. 13 이처럼 겨드랑이 피부의 독특한 미세환경(microenvironment)은 여러 피부 문제의 근원이 될 수 있습니다. 4 높은 온도, 습도, 마찰, 그리고 화학적 자극 물질(예: 데오도란트 성분)의 빈번한 노출은 피부의 정상적인 pH 균형을 깨뜨리고, 피부 장벽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4 피부 장벽이 손상되면 외부 유해 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염증 반응이 쉽게 유발되어 착색, 가려움, 발진 등 다양한 피부 증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실제로 많은 겨드랑이 피부 문제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과 피부 자체의 민감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납니다.

2. 어두워진 겨드랑이, 왜 그런 걸까요? 착색의 다양한 원인들

겨드랑이 피부가 어둡게 변하는 착색 현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이러한 원인들은 크게 외부 자극과 생활 습관, 신체 내부의 변화, 그리고 특정 질환의 발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2.1. 외부 자극과 생활 습관: 우리가 매일 반복하는 행동 속 원인

일상생활에서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특정 제품 사용이 겨드랑이 착색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 데오도란트 및 화장품 사용: 일부 데오도란트나 화장품에 포함된 특정 성분(예: 향료, 알코올, 알루미늄염, 파라벤, 트리클로산 등)은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14 이러한 자극성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 발생하면, 염증 반응 후 피부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염증 후 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9 특히 피부가 접히는 부위인 겨드랑이는 이러한 자극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착색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1
  • 잘못된 제모 습관: 면도, 왁싱, 족집게를 이용한 털 제거 등은 겨드랑이 피부에 미세한 손상이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3 면도날에 의한 상처, 털을 뽑을 때의 물리적 자극, 또는 제모 후 발생하는 모낭염 등은 모두 염증을 동반하며, 결과적으로 PIH를 초래하여 피부를 어둡게 만들 수 있습니다. 3 4
  • 마찰: 꽉 끼는 옷을 착용하거나 팔의 움직임으로 인해 겨드랑이 피부가 지속해서 쓸리는 경우, 만성적인 물리적 자극이 가해집니다. 3 4 이러한 반복적인 마찰은 피부 염증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PIH로 이어져 착색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5
  • 각질 축적: 피부는 일정한 주기로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고 죽은 세포를 탈락시키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1 그러나 겨드랑이와 같이 관리가 소홀하기 쉬운 부위에서는 죽은 피부 세포(각질)가 제대로 탈락하지 않고 쌓일 수 있습니다. 1 이렇게 축적된 각질은 피부 표면을 거칠게 만들고 피부톤을 어둡게 보이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1

2.2. 몸의 변화와 내부 요인: 호르몬, 약물, 그리고 질병의 신호

신체 내부의 변화나 특정 약물 복용 또한 겨드랑이 착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 호르몬 변화: 임신, 사춘기, 또는 경구 피임약 복용과 같은 상황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에 변화가 생깁니다. 1 이러한 호르몬 불균형은 피부의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겨드랑이를 포함한 특정 부위에 기미(melasma)와 유사한 양상의 색소침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16
  • 약물 부작용: 일부 약물은 부작용으로 피부색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 예를 들어,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니코틴산, 인슐린 주사, 전신 스테로이드제, 특정 항생제 등은 겨드랑이 피부를 어둡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약물로 인한 색소침착은 대부분 심각한 건강 문제를 동반하지는 않지만, 정확한 원인 감별을 위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1
  • 유전적 요인: 개인의 타고난 피부색이나 유전적 소인도 겨드랑이 착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6 일반적으로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들은 멜라닌 세포의 활성도가 높아 외부 자극이나 염증에 대해 색소침착이 더 쉽게, 그리고 더 짙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6 이러한 유전적 배경은 겨드랑이 착색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6

2.3. 특정 피부 질환 및 전신 질환의 증상

겨드랑이 착색은 때때로 특정 피부 질환이나 전신 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1

  • 흑색극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이 질환은 피부가 두꺼워지고 거칠어지며, 표면이 벨벳처럼 부드러우면서 검거나 갈색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17 주로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 등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대칭적으로 발생합니다. 17 흑색극세포증은 비만, 인슐린 저항성(제2형 당뇨병의 전조 또는 당뇨병 상태), 대사 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7 18 인슐린 수치가 높아지면 피부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이러한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7 매우 드물지만, 흑색극세포증은 위암과 같은 내부 장기의 악성 종양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특히 비만하지 않은 성인에서 갑자기 발생하거나 빠르게 진행될 경우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8 19
  • 염증 후 색소침착 (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 아토피 피부염, 습진, 모낭염, 건선 등 다양한 염증성 피부 질환이 겨드랑이에 발생한 후, 염증이 가라앉고 피부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멜라닌 색소가 과도하게 침착되어 발생합니다. 6 20 이는 피부 손상이나 염증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특히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1
  • 기타 피부 감염: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와 같은 특정 진균 감염은 피부에 다양한 색상의 반점을 남길 수 있으며, 감염 후 색소 변화가 겨드랑이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2

겨드랑이 착색의 원인이 이처럼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특히, 염증은 다양한 외부 자극과 내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 염증이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PIH로 이어지는 공통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따라서 겨드랑이 착색 관리에서 항염증 전략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1 또한, 흑색극세포증과 같이 특정 전신 질환의 피부 발현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갑작스럽거나 특징적인 피부 변화에 대해서는 단순한 미용 문제로 치부하지 않고 의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17 한국인의 경우, 식습관 변화와 비만 유병률 증가 추세는 흑색극세포증 발생 위험 증가와 연관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18

다음은 겨드랑이 착색의 주요 원인과 기전을 요약한 표입니다.

표 3.1: 겨드랑이 착색의 주요 원인 및 기전 요약
원인 분류 세부 원인 주요 기전 관련 자료 예시
외부 자극/생활 습관 데오도란트/화장품 자극 접촉 피부염 후 염증 후 색소침착 (PIH) 1
외부 자극/생활 습관 잘못된 제모 (면도, 왁싱 등) 피부 자극, 미세 손상, 모낭염 후 PIH 1
외부 자극/생활 습관 마찰 (꽉 끼는 옷 등) 만성적 자극으로 인한 PIH 3
외부 자극/생활 습관 각질 축적 죽은 피부 세포 축적으로 인한 피부톤 어두워짐 1
내부 요인 호르몬 변화 (임신, 피임약 등) 멜라닌 세포 자극 (멜라즈마 유사) 1
내부 요인 약물 부작용 (니코틴산, 인슐린 등) 약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변화 1
내부 요인 유전적 요인 멜라닌 세포 활성도 및 반응성 차이 6
특정 질환 흑색극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인슐린 저항성, 비만, 드물게 악성 종양 관련 피부 변화 1
특정 질환 염증성 피부 질환 (아토피, 습진 등) 후유증 염증 후 색소침착 (PIH) 6
특정 질환 피부 감염 (어루러기 등) 후유증 감염 후 색소 변화 22

3. 참을 수 없는 겨드랑이 가려움, 원인은 무엇일까요?

겨드랑이 부위의 가려움(소양증, Pruritus)은 매우 흔한 증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때로는 단순한 자극 반응일 수도 있지만, 특정 피부 질환이나 감염, 드물게는 전신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어 주의 깊은 관찰과 정확한 원인 파악이 필요합니다. 5

3.1. 피부 자극과 환경적 요인

일상적인 환경 요인이나 특정 물질과의 접촉이 가려움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 접촉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겨드랑이 가려움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특정 물질에 대한 자극 반응(자극성 접촉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 반응(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으로 발생합니다. 5 23 데오도란트, 향수, 바디워시,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특정 의류 소재(예: 합성 섬유)에 포함된 화학 성분, 향료, 보존제 등이 원인 물질이 될 수 있습니다. 9 14 특히 데오도란트의 경우, 알루미늄염, 프로필렌 글리콜, 특정 에센셜 오일, 파라벤 등이 알레르기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4 24
  • 마찰 및 땀 (간찰진, Intertrigo): 겨드랑이와 같이 피부가 지속적으로 접히고 마찰되는 부위는 땀과 습기가 차기 쉽습니다. 11 이러한 환경은 피부를 무르게 하고 자극하여 염증성 발진인 간찰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심한 가려움을 동반합니다. 11 특히 여름철이나 운동 후 땀을 많이 흘릴 때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1
  • 땀띠 (Miliaria):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땀관의 입구가 막혀 땀이 피부 표면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될 때 발생합니다. 13 땀띠는 주로 붉거나 투명한 작은 좁쌀 모양의 발진으로 나타나며, 특히 붉은 땀띠(적색 한진)의 경우 심한 가려움이나 따가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1 13
  • 제모로 인한 자극: 면도, 왁싱, 제모 크림 사용 등은 겨드랑이 피부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11 면도날에 의한 미세 상처, 털이 뽑힐 때의 자극, 제모 크림 성분에 대한 민감 반응 등은 가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1 또한, 제모 후 새로 자라나는 털(인그로운 헤어)이나 모낭염도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3

3.2. 감염성 질환

겨드랑이의 따뜻하고 습한 환경은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여 다양한 감염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진균(곰팡이) 감염:
    • 칸디다증 (Candidiasis): 칸디다(Candida)라는 효모균은 정상적으로 피부에 존재하지만, 습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과도하게 증식하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12 겨드랑이 칸디다증은 붉은 발진, 가장자리의 작은 농포, 심한 가려움, 때로는 진물이나 인설(각질)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12 당뇨병 환자, 비만인 사람,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사람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25
    • 어루러기 (Tinea Versicolor 또는 Pityriasis Versicolor): 말라세지아(Malassezia)라는 효모균에 의해 발생하는 표재성 진균 감염으로, 주로 가슴, 등, 목, 겨드랑이 등 피지선이 발달하고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발생합니다. 22 다양한 크기와 색상(연한 갈색, 분홍색, 흰색 등)의 얼룩덜룩한 반점으로 나타나며, 경미한 가려움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22
  • 세균 감염: 피부 장벽이 손상되거나 위생 관리가 미흡할 경우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3 대표적으로 모낭염(folliculitis)은 모낭에 세균(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감염되어 염증과 고름을 동반한 붉은 발진과 가려움을 유발합니다. 23 심한 경우 연조직염(cellulitis)으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23 간찰진이나 습진 등 기존 피부 문제에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11

3.3. 염증성 피부 질환

만성적인 염증성 피부 질환도 겨드랑이 가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및 습진 (Eczema):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 23 겨드랑이와 같이 피부가 접히는 부위는 아토피 피부염이 잘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이며, 심한 가려움과 함께 피부 건조, 붉은 발진, 진물, 피부 두꺼워짐(태선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3 일반적인 습진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겨드랑이에 발생하여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5
  • 건선 (Psoriasis): 건선은 피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하여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주로 두피, 팔꿈치, 무릎 등에 발생하지만 드물게 겨드랑이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역행성 건선, Inverse Psoriasis). 23 이 경우 특징적인 은백색 인설보다는 경계가 명확한 붉은 발진 형태로 나타나며 가려움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23

3.4. 전신 질환의 신호

드물지만, 겨드랑이 가려움이 특정 전신 질환의 피부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26 이러한 경우 가려움은 겨드랑이뿐만 아니라 전신적으로 나타나거나 다른 전신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6

  • 내분비 질환: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저하증 등은 피부 건조나 신경계 변화를 통해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8
  • 신장 질환: 만성 신부전 환자는 요독 물질 축적으로 인해 심한 전신 소양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10
  • 간 질환: 담즙 정체성 간 질환은 혈중 담즙산 농도 증가로 인해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8
  • 혈액 질환: 드물게 림프종(특히 호지킨 림프종)이나 진성적혈구증가증과 같은 혈액 질환이 가려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7
  • 기타: 철 결핍성 빈혈, 특정 신경학적 질환,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등)도 가려움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습니다. 10

겨드랑이 가려움은 이처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5 예를 들어, 땀과 마찰로 인해 간찰진이 발생하고, 여기에 칸디다균이나 세균이 이차적으로 감염되어 가려움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11 12 또한, 가려움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긁게 되면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염증이 악화되고, 이는 다시 가려움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1 이러한 가려움은 수면 장애, 집중력 저하 등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 진단 없이 임의로 연고를 사용하거나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10 특히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진균제의 오남용은 부작용이나 내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다음은 겨드랑이 가려움의 주요 원인, 특징적 증상 및 의심 상황을 요약한 표입니다.

표 4.1: 겨드랑이 가려움의 주요 원인, 특징적 증상 및 의심 상황
원인 질환/요인 주요 증상 (발진 양상, 가려움 정도, 동반 증상 등) 특히 의심해 볼 상황 (예: 특정 제품 사용 후, 계절적 악화 등) 관련 자료 예시
접촉 피부염 붉은 발진, 부기, 때로는 물집, 심한 가려움 특정 데오도란트, 화장품, 세제, 의류 사용 후 발생 23
간찰진 피부가 접히는 부위의 붉은 발진, 축축함, 쓰라림, 가려움 덥고 습한 환경, 비만,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운동 후 11
땀띠 작고 붉거나 투명한 좁쌀 모양의 발진, 따끔거리거나 가려움 고온다습한 여름철, 열이 많은 아기나 어린이 13
칸디다증 (진균) 붉은 발진, 가장자리에 작은 농포, 심한 가려움, 희끄무레한 막, 진물, 인설 습한 환경, 당뇨병, 면역 저하, 항생제 사용 중/후 12
어루러기 (진균) 다양한 색(연갈색, 분홍색, 흰색)의 얼룩덜룩한 반점, 경미한 가려움, 미세한 인설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는 젊은 성인 22
세균 감염 (모낭염 등) 모낭 주변의 붉은 발진, 고름, 가려움 또는 통증 제모 후, 위생 불량, 피부 마찰 23
아토피 피부염/습진 건조하고 붉은 발진, 심한 가려움, 진물, 피부 두꺼워짐(만성 시) 개인 또는 가족력, 특정 알레르겐 노출, 스트레스 23
건선 (역행성) 피부 접히는 부위의 경계가 명확한 붉은 발진 (인설은 적거나 없음), 가려움 건선 병력, 특정 유발 요인 (감염, 약물, 스트레스 등) 23
전신 질환 관련 전신적인 가려움 또는 특정 부위(겨드랑이 포함) 가려움, 기타 전신 증상 동반 가능 기존 전신 질환(당뇨, 신장/간/갑상선 질환 등) 보유, 원인 불명의 지속적인 가려움 8

4. 어둡고 가렵고… 착색과 가려움은 왜 같이 나타날까요?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은 각각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두 증상이 함께 나타나거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악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1 이 두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핵심적인 연결고리는 바로 ‘염증 반응’입니다. 1 가려움을 유발하는 대부분의 겨드랑이 피부 문제, 예를 들어 접촉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간찰진, 칸디다증이나 세균 감염 등은 본질적으로 피부에 염증을 동반합니다. 1 5 이러한 염증은 피부를 붉게 만들고, 붓게 하며, 가려움이라는 불쾌한 감각을 유발합니다. 1 문제는 이 염증이 가라앉고 피부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또는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멜라닌 세포가 자극받아 색소를 과도하게 생성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3 6 이렇게 생성된 색소는 피부에 침착되어 결국 어두운 착색, 즉 염증 후 색소침착(PIH)을 남기게 됩니다. 6 또한, 가려움 자체도 착색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1 가려움을 참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긁거나 문지르는 행위는 피부에 물리적인 손상을 가하고, 이는 피부 장벽을 더욱 약화시킵니다. 21 손상된 피부 장벽은 외부 자극에 더 취약해지고 염증 반응을 심화시키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수록 멜라닌 세포는 더욱 자극받아 색소 침착이 심해지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21 흑색극세포증의 경우에도 피부가 두꺼워지고 착색되는 과정에서 염증이 동반되거나, 피부 마찰이 심해지면 가려움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17 결국, ‘염증 발생 → 가려움 유발 → 긁는 행위 → 피부 장벽 손상 및 염증 심화 → 멜라닌 세포 자극 → 색소 침착 발생 및 악화’라는 일련의 과정이 겨드랑이에서 착색과 가려움이 함께 나타나고 지속되는 주된 기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색소를 옅게 하거나 가려움을 억제하는 대증적인 치료를 넘어, 근본적인 염증을 제어하고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1 또한, 가려움-긁음의 악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 긁는 행위를 의식적으로 중단하려는 노력과 함께, 가려움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치료법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5. 내 겨드랑이, 정확한 진단이 첫걸음! (진단 방법)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의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위해서는 피부과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7 자가 진단이나 부정확한 정보에 의존한 자가 치료는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기저 질환의 발견을 늦출 수 있습니다. 7 피부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 문진 (Medical History Taking): 의사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증상 시작 시기, 기간, 심한 정도, 변화 양상, 악화/완화 요인, 사용 중인 제품, 제모 방법, 과거 피부 질환력, 전신 질환 및 복용 약물, 가족력 등을 질문합니다. 7 28 환자가 제공하는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접촉 피부염이나 약물 부작용과 같이 특정 유발 요인이 있는 경우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9
  • 시진 (Visual Examination): 의사는 겨드랑이 피부 병변의 색깔(착색의 색조), 형태 및 분포(모양, 크기, 경계, 대칭성, 확산 정도), 피부 두께 및 질감(태선화, 벨벳 느낌, 거칠거나 인설 유무), 염증 징후(홍반, 부기, 열감, 진물), 2차 감염 징후(농포, 가피, 긁은 상처 등)를 면밀히 관찰합니다. 7
  • 필요시 추가 검사 (Additional Tests): 문진과 시진만으로 진단이 명확하지 않거나, 특정 질환이 의심될 경우 다음과 같은 추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우드등 검사 (Wood’s Lamp Examination):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피부에 비추어 어루러기와 같은 일부 진균 감염이나 특정 세균 감염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7
    • 진균 검사 (KOH Smear Test, Fungal Culture): 곰팡이 감염(예: 칸디다증, 피부사상균증)이 의심될 때 병변 부위의 인설이나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배양하여 원인균을 동정합니다. 11
    • 피부 조직 검사 (Skin Biopsy): 흑색극세포증과 악성 종양의 감별이 필요하거나, 진단이 매우 불확실하거나, 표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고려됩니다. 19 국소 마취 후 작은 피부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합니다. 19
    • 첩포 검사 (Patch Test):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 강력히 의심될 때 원인 알레르겐을 찾기 위해 시행합니다. 28 의심되는 알레르겐을 패치에 묻혀 등에 붙인 후 피부 반응을 관찰합니다. 28
    • 혈액 검사 (Blood Tests): 흑색극세포증이 의심될 경우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혈중 인슐린 수치 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9 원인 불명의 만성적인 전신 소양증이 동반될 경우 간 기능, 신장 기능, 갑상선 기능, 일반 혈액 검사 등을 통해 기저 전신 질환을 감별합니다. 19

많은 겨드랑이 피부 문제는 특징적인 병변과 병력 청취를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비정형적이거나 여러 문제가 복합된 경우, 또는 심각한 기저 질환이 의심될 때는 추가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7 이는 오진을 방지하고 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7 한국은 피부과 전문의에 대한 접근성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자가 진단에 의존하기보다는 조기에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6. 이제는 해결할 시간!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 치료 및 관리법 총정리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의 원인이 다양하듯, 그 치료 및 관리법 또한 원인과 증상의 심각도, 개인의 피부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8 생활 습관 개선과 같은 기본적인 자가 관리부터 피부과 전문의의 처방에 따른 약물 치료, 그리고 다양한 시술적 치료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8

6.1. 모든 관리의 기초: 생활 습관 개선과 올바른 자가 관리

대부분의 겨드랑이 피부 문제 해결과 예방의 첫걸음은 올바른 생활 습관을 확립하고 자극 요인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1

  • 청결 유지 및 건조: 겨드랑이를 매일 순한, 저자극성 세정제로 부드럽게 씻고, 샤워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말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29 특히 땀을 많이 흘린 후에는 바로 씻어주는 것이 좋으며, 피부를 문지르기보다는 가볍게 두드려 건조시키는 것이 자극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9
  • 자극 최소화:
    • 데오도란트 신중 선택: 향료, 알코올, 특정 금속염(알루미늄 등)이 적거나 없는 저자극성, 무향 제품을 선택하고, 사용 전 소량 테스트를 통해 피부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4 30 천연 성분 제품이라도 개인에 따라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0 만약 특정 제품 사용 후 가려움이나 발진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24
    • 올바른 제모: 면도 시에는 반드시 쉐이빙 크림이나 젤을 충분히 사용하고, 날카롭고 깨끗한 면도기를 사용하며, 털이 난 방향으로 부드럽게 면도합니다. 1 잦은 면도나 왁싱은 피하고, 제모 후에는 진정 및 보습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1 자극이 반복된다면 레이저 제모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1
    • 헐렁한 옷 착용: 통기성이 좋은 면이나 천연 소재의 옷을 착용하고, 몸에 꽉 끼거나 겨드랑이를 압박하는 옷은 피하여 마찰과 습기 축적을 줄입니다. 11
  • 보습: 겨드랑이 피부도 건조해질 수 있으며, 건조함은 가려움과 피부 장벽 약화의 원인이 됩니다. 15 샤워 후나 제모 후에는 겨드랑이에도 순한 보습제를 발라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건조로 인한 자극을 예방합니다. 15
  • 각질 관리: 축적된 각질은 피부를 어둡게 보이게 할 수 있으므로, 주 1~2회 부드러운 각질 제거제를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9 단, 피부에 염증이나 상처가 있거나 민감한 경우에는 각질 제거를 피해야 하며, 과도한 스크럽은 오히려 피부를 자극하여 색소침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9
  • 긁지 않기: 가려움이 심하더라도 긁거나 문지르는 행위는 피부 손상을 유발하고 염증과 색소침착을 악화시키므로 최대한 자제해야 합니다. 8 가려울 때는 냉찜질을 하거나, 보습제를 바르거나, 의사의 처방에 따른 가려움 완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1
  • 체중 관리: 비만과 관련된 흑색극세포증의 경우, 체중 감량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17 31 체중을 줄이면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면서 피부 병변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 31
  • 자외선 차단: 겨드랑이가 햇볕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옷을 입을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여 색소침착이 더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1

6.2. 착색 개선을 위한 국소 도포제 (미백 연고/크림)

겨드랑이 착색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성분의 국소 도포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9 이러한 제품들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이미 생성된 색소의 배출을 돕거나, 피부 세포의 턴오버를 촉진하는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9 대부분 꾸준히 수개월 이상 사용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 전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 또는 약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피부 상태와 착색 원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표 7.1: 겨드랑이 착색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주요 국소 도포제 성분 비교
성분명 주요 작용 기전 주요 효과 예상 효과 발현 시기 구분 주요 주의사항/부작용 관련 자료 예시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티로시나제 억제 (멜라닌 생성 억제) 강력한 미백 효과 수개월 전문의약품 피부 자극, 발적, 접촉 피부염, 장기 사용 시 갈색 변색(ochronosis), 주변 피부 저색소증. 의사 감독 하에 사용. 9 32
레티노이드 (Retinoids) (예: 트레티노인) 세포 턴오버 촉진, 멜라닌 색소 배출,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결 개선, 미백, 주름 개선 수개월 전문/일반의약품 초기 자극 (발적, 각질, 건조, 작열감), 광과민성 (밤 사용 권장, 자외선 차단 필수), 임산부 사용 금기. 소량부터 시작. 9
나이아신아마이드 (Niacinamide) 멜라노솜 이동 억제, 항염 효과 미백, 피부 장벽 강화, 항염 수주~수개월 화장품/의약외품 비교적 자극 적으나 고농도에서 일부 자극 가능. 6
아젤라산 (Azelaic Acid) 티로시나제 억제, 항염, 항균 효과 미백, 여드름 개선, 항염 수개월 전문/일반의약품 초기 경미한 자극 (가려움, 작열감) 가능. 32
알파-하이드록시산 (AHA) (예: 글리콜산) 각질 제거, 세포 턴오버 촉진 피부톤 개선, 각질 제거 수주~수개월 화장품/시술용 자극, 광과민성. 농도에 따라 자극도 다름. 3
코직산 (Kojic Acid) 티로시나제 억제 미백 효과 수개월 화장품 피부 자극, 접촉 피부염 가능성. 3
비타민 C 유도체 항산화, 멜라닌 생성 억제 미백, 항산화 수개월 화장품 제형에 따라 안정성 및 자극도 다름. 3

미백 제품 사용 시에는 반드시 제품 설명서를 꼼꼼히 읽고 사용법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자외선 차단에 신경 써야 합니다. 33 새로운 제품 사용 전에는 귀 뒤나 팔 안쪽 등에 소량 테스트하여 알레르기 반응이나 심한 자극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5 만약 사용 중 발적,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15

6.3. 가려움 완화를 위한 국소 도포제 및 경구약

겨드랑이 가려움은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8

  • 국소 스테로이드제: 염증을 억제하여 가려움과 발진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킵니다. 8 강도와 제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8 약한 강도의 스테로이드제는 단기간 사용 시 비교적 안전하지만, 장기간 또는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피부 위축, 모세혈관 확장,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감염 악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1 겨드랑이와 같이 피부가 얇고 접히는 부위는 약물 흡수율이 높아 부작용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11
  • 국소 칼시뉴린 억제제 (예: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아토피 피부염이나 특정 습진 치료에 사용됩니다. 23 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이 우려될 때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전문의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23
  • 항히스타민제 (경구):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으로 인한 가려움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8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진정(졸음) 효과가 있어 밤 시간 가려움으로 인한 수면 장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낮 활동 시에는 졸음이 적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선호됩니다. 8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제품도 있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처방받는 것이 좋습니다. 8
  • 국소 항진균제/항생제: 칸디다증이나 어루러기와 같은 진균 감염, 또는 모낭염과 같은 세균 감염이 가려움의 원인일 경우, 각각에 맞는 항진균제 또는 항생제 연고나 크림을 사용합니다. 23 정확한 진단 없이 임의로 사용하면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3
  • 보습제 및 진정 로션: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에는 보습제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10 칼라민 로션이나 멘톨 성분이 함유된 로션은 일시적으로 피부를 시원하게 하여 가려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8

6.4. 피부과 전문의와 함께하는 시술적 치료

생활 습관 개선이나 약물 치료만으로 효과가 부족하거나 보다 적극적인 개선을 원할 경우, 피부과에서 다양한 시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5

  • 레이저 치료 (Laser Therapy):
    • 색소침착 개선: 큐스위치 엔디야그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토닝, 피코(Pico) 레이저 등은 피부 속 멜라닌 색소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피부톤을 개선하고 착색을 옅게 만드는 데 효과적입니다. 34 보통 1~2주 간격으로 수회 이상의 반복적인 시술이 필요하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레이저의 종류나 조사 강도, 시술 횟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5
    • 제모 레이저: 겨드랑이 털을 영구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반복적인 제모로 인한 피부 자극과 모낭염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털로 인해 겨드랑이가 어두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1 36
    • 흑색극세포증 치료: 일부 연구에서는 프락셔널 CO2 레이저, 1550-nm 어븀 섬유 레이저 등이 흑색극세포증 병변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19 37

    주의사항: 레이저 시술 후에는 일시적으로 피부가 붉어지거나 부을 수 있으며, 드물게 물집, 화상, 시술 후 색소침착(과다 또는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6 38 따라서 시술 경험이 풍부한 피부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고 안전하게 시술받는 것이 중요하며, 시술 후에는 자외선 차단과 보습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39

  • 화학 박피 (Chemical Peels): 글리콜산(AHA), 살리실산(BHA), TCA(삼염화아세트산) 등의 화학 약물을 이용하여 피부 표피층의 일부를 벗겨내어 죽은 각질 세포와 함께 침착된 색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합니다. 9 착색의 깊이나 피부 타입에 따라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와 농도가 달라지며, 시술 후에는 피부가 일시적으로 붉어지거나 각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9 부적절한 시술은 피부 자극이나 화상, 색소침착 악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5
  • 약물 치료 병행 (ACT 약물 등): 일부 피부과에서는 레이저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파괴된 색소의 배출을 돕기 위해 특정 약물(예: ACT 약물)을 도포하거나 침투시키는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15
표 7.2: 겨드랑이 피부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피부과 시술 비교
시술 종류 주요 대상 시술 원리 평균 시술 횟수/간격 장점 단점/주요 부작용 시술 후 관리 관련 자료 예시
레이저 토닝 (예: Q-switched Nd:YAG) 표피 및 진피 색소침착, PIH 낮은 에너지로 멜라닌 색소 선택적 파괴, 콜라겐 재생 유도 5~10회 이상, 1~2주 간격 일상생활 지장 적음, 점진적 개선 반복 시술 필요, 드물게 색소 변화 (과다/저하), 건조함, 일시적 홍반 보습, 자외선 차단, 자극 피하기 34
피코 레이저 (Pico Laser) 다양한 색소침착, 문신 제거 매우 짧은 조사 시간(피코초)으로 색소 입자를 더 잘게 부숨, 주변 조직 손상 최소화 3~5회 이상, 2~4주 간격 기존 레이저보다 적은 횟수로 효과 기대, 다양한 색소 치료 가능 비용 상대적 높음, 일시적 홍반, 부기, 딱지 (병변에 따라) 보습, 자외선 차단, 재생 크림 사용 35
제모 레이저 겨드랑이 털, 털로 인한 착색 오인, 모낭염 예방 모낭의 멜라닌 색소에 레이저 에너지 흡수시켜 모낭 파괴 5~10회 이상, 4~6주 간격 영구적인 제모 효과, 피부결 개선 시술 시 통증, 일시적 홍반, 모낭염, 드물게 화상, 색소 변화 냉찜질, 보습, 자외선 차단, 시술 기간 중 털 뽑기 금지 1
화학 박피 (Chemical Peel) 표피성 색소침착, 각질 과다, 칙칙한 피부톤 화학 약물로 피부 표피층을 조절된 깊이로 벗겨내어 세포 재생 촉진 3~5회 이상, 2~4주 간격 피부톤 및 피부결 개선, 시술 시간 짧음 시술 후 붉음증, 각질, 건조, 따가움, 농도/깊이 조절 실패 시 화상, 색소침착 악화 보습, 자외선 차단 철저, 자극적인 화장품 사용 금지, 각질 강제 제거 금지 9
프락셔널 레이저 (Fractional Laser) 흑색극세포증 (일부 연구), 흉터, 피부결 개선 피부에 미세한 열 손상 기둥을 만들어 콜라겐 재생 및 피부 재구성을 유도 3~5회 이상, 4주 간격 깊은 병변 치료 가능, 피부 재생 효과 시술 후 붉음증, 부기, 통증, 딱지, 색소침착 위험 (특히 어두운 피부) 냉찜질, 보습, 자외선 차단, 재생 관리 19

6.5. 근본 원인 해결: 기저 질환 치료

겨드랑이 착색이나 가려움이 특정 기저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면, 해당 질환을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17

  • 흑색극세포증: 비만이 원인인 경우 체중 감량이 가장 중요합니다. 17 31 당뇨병이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다면 혈당 조절을 위한 식이요법, 운동,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17 만약 특정 약물 복용이 원인이라면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조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드물게 악성 종양과 관련된 경우 해당 종양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18
  • 호르몬 불균형: 임신이나 경구 피임약 사용 등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가 원인이라면, 출산 후 또는 약물 사용 중단 후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하다면 산부인과 또는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조절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1
  • 기타 전신 질환에 의한 가려움: 당뇨병, 신장 질환, 간 질환, 갑상선 질환 등 기저 질환이 가려움의 원인이라면, 해당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려움 완화에 필수적입니다. 8

결론적으로,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 치료는 단일 접근법보다는 원인과 상태에 따른 맞춤형 복합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8 생활 습관 개선은 모든 치료의 기본이며,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꾸준한 관리가 치료 효과를 높이고 재발을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1 모든 치료법에는 잠재적인 부작용이 따를 수 있으므로, 시술이나 약물 사용 전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여 이점과 위험을 정확히 인지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

7. 건강한 겨드랑이를 위한 예방 수칙 및 장기적 관리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 문제를 해결한 후에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예방 노력이 중요합니다. 10 예방은 일회성 조치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꾸준한 관심과 실천이 필요한 지속적인 과정입니다. 10 핵심적인 예방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극 최소화:
    • 순한 제품 사용: 데오도란트, 바디워시, 로션 등은 향료나 자극적인 화학 성분이 적은 저자극성 제품을 선택합니다. 14 새로운 제품 사용 전에는 반드시 소량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4
    • 올바른 제모 습관 유지: 면도 시에는 쉐이빙 폼이나 젤을 사용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면도합니다. 1 제모 후에는 반드시 진정 및 보습 관리를 합니다. 1 잦은 제모는 피하고, 필요하다면 레이저 제모와 같이 장기적으로 자극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합니다. 1
    • 편안한 의류 착용: 통기성이 좋은 천연 소재(면 등)의 헐렁한 옷을 착용하여 마찰과 습기 축적을 줄입니다. 23
  • 청결 및 건조 유지:
    • 매일 샤워하여 겨드랑이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샤워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말립니다. 11 특히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빨리 씻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11
    • 땀이 많은 경우, 땀 흡수 패드를 사용하거나 땀 억제 효과가 있는 저자극 데오도란트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29
  • 적절한 보습: 겨드랑이 피부도 건조해지지 않도록 샤워 후 순한 보습제를 꾸준히 발라 피부 장벽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10 건강한 피부 장벽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염증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10
  • 피부 변화에 대한 자가 관찰: 정기적으로 겨드랑이 피부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여 새로운 착색, 가려움, 발진, 멍울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1 이상이 발견되면 자가 진단하거나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1
  •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 균형 잡힌 식단과 적정 체중 유지: 특히 흑색극세포증과 같이 비만이나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피부 문제 예방에 중요합니다. 17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피부 면역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가려움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10
    • 기저 질환 관리: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해당 질환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관련 피부 문제 예방에 중요합니다. 8

개인의 피부 타입, 생활 환경, 기존 질환 유무 등에 따라 필요한 예방 전략은 다를 수 있습니다. 1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보습과 저자극 제품 선택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땀 관리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23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예방 수칙을 파악하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건강하고 깨끗한 겨드랑이 피부를 장기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1

건강 관련 주의사항

  • 겨드랑이 피부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자가 진단이나 임의적인 치료를 피하고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 의사의 처방 없이 스테로이드 연고, 항진균제, 미백 크림 등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9
  • 새로운 화장품, 데오도란트, 제모 제품 등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팔 안쪽 등 민감하지 않은 부위에 소량 테스트하여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14 15
  • 갑작스러운 겨드랑이 착색, 심한 가려움, 피부 두꺼워짐, 또는 다른 전신 증상(체중 변화, 피로감 등)이 동반될 경우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1 26

8.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어두운 겨드랑이는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나요?

A: 네, 그럴 수 있습니다. 1 특히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벨벳처럼 어둡게 변하는 흑색극세포증(Acanthosis Nigricans)의 경우, 비만,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의 신호일 수 있으며, 매우 드물게는 내부 장기의 악성 종양과 관련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17 18 갑자기 겨드랑이 피부색이 어두워지거나 두꺼워지는 등 변화가 생기거나, 체중 증가, 심한 피로감 등 다른 전신 증상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1

Q2: 천연 성분 데오도란트가 화학 성분 데오도란트보다 무조건 더 안전한가요?

A: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9 ‘천연 성분’이라는 용어가 모든 사람에게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9 일부 천연 에센셜 오일이나 베이킹 소다 같은 성분도 특정 개인에게는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것은 제품의 전체 성분을 확인하고, 자신의 피부 타입에 맞으며 자극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14 새로운 제품 사용 전에는 항상 피부의 작은 부위에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4

Q3: 겨드랑이 미백 크림, 얼마나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나요?

A: 미백 크림의 효과는 제품에 함유된 유효 성분의 종류와 농도, 개인의 피부 상태, 착색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9 일반적으로 눈에 띄는 효과를 보기까지는 최소 수 주에서 수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합니다. 20 만약 장기간 사용해도 효과가 없거나, 사용 중 피부 자극(붉어짐, 가려움, 따가움 등)이 나타난다면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9

Q4: 겨드랑이 털을 밀면 착색이 더 심해지나요?

A: 털을 미는 행위 자체가 직접적으로 착색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면도할 경우 피부에 자극이나 미세한 상처를 입혀 염증 후 색소침착(PIH)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예를 들어, 무딘 면도날 사용, 쉐이빙 크림 없이 건식 면도, 과도한 압력 등은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됩니다. 1 반대로, 어두운 색의 털 자체가 겨드랑이를 어둡게 보이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올바른 방법으로 제모하거나 레이저 제모를 통해 털을 제거하면 오히려 겨드랑이가 밝아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11

Q5: 겨드랑이 림프 마사지가 착색 개선에 도움이 되나요?

A: 겨드랑이 부위의 림프 순환을 촉진하는 마사지는 노폐물 배출이나 부기 완화에 일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15 그러나 림프 마사지가 직접적으로 멜라닌 색소를 줄여 겨드랑이 착색을 개선한다는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부족합니다. 20 겨드랑이 착색은 멜라닌 색소의 과다 생성 및 침착이 주된 원인이므로, 착색 개선을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억제, 색소 배출 촉진, 염증 관리 등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이 더 중요합니다. 9

Q6: 임신 중 겨드랑이가 어두워졌는데, 출산 후 원래대로 돌아오나요?

A: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멜라닌 세포가 자극되어 겨드랑이, 유륜, 복부 중앙선(임신선) 등에 색소침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성 기미 또는 멜라즈마). 1 40 이러한 색소침착은 대부분 출산 후 수개월에서 1년 이내에 호르몬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자연스럽게 옅어지거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1 하지만 개인차가 있어 일부 지속될 수도 있으며, 만약 출산 후에도 착색이 계속 신경 쓰인다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안전한 미백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Q7: 겨드랑이가 가려울 때 집에 있는 아무 연고나 발라도 되나요?

A: 아니요, 절대로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7 겨드랑이 가려움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원인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연고의 종류가 다릅니다. 7 예를 들어, 진균(곰팡이)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진균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만약 이때 습진으로 오인하여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다가 오히려 감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12 반대로, 단순 자극성 피부염에 항진균제를 바르면 효과가 없습니다. 23 정확한 진단 없이 임의로 연고를 사용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제를 처방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7

9. 결론

본 글을 통해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이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과 그 기전, 정확한 진단 방법의 중요성, 그리고 생활 습관 개선부터 전문적인 피부과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인 해결책과 예방 관리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1 겨드랑이 피부 문제는 단순히 미용적인 고민을 넘어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때로는 신체 내부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어두워진 피부톤이나 참기 힘든 가려움은 데오도란트 사용, 제모 습관, 의복 마찰과 같은 외부적 요인부터 호르몬 변화, 약물 부작용, 그리고 흑색극세포증, 접촉 피부염, 감염성 질환과 같은 특정 질환에 이르기까지 그 원인이 매우 광범위합니다. 1 4 특히, 착색과 가려움이 동반되는 경우, 그 기저에는 ‘염증’이라는 공통된 연결고리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가려움-긁음-염증 심화-색소침착 악화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따라서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정확한 원인 파악입니다. 7 자가 진단에 의존하기보다는 피부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7 치료는 근본 원인 해결을 목표로 하며, 생활 습관 교정, 적절한 국소 도포제 사용, 필요시 레이저 치료나 화학 박피 등의 전문 시술, 그리고 기저 질환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8 9 일상생활에서는 청결과 건조 유지, 충분한 보습, 자극을 최소화하는 제품 선택과 올바른 제모 방법 실천 등 기본적인 자가 관리가 예방과 재발 방지의 핵심입니다. 10 작은 생활 습관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건강하고 깨끗한 겨드랑이 피부를 유지하는 데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10 또한, 자신의 피부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조기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1 겨드랑이 착색과 가려움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충분히 개선되고 건강한 상태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1 본 글이 제공하는 정보가 독자 여러분의 건강하고 자신감 있는 생활에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2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Vinmec International Hospital. Darkened, itchy underarms: Causes and remedies.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vinmec.com/eng/article/dark-itchy-armpits-causes-and-treatment-en (접속 2025년 5월 8일).
  2. 대한피부과학회. 피부 문제에 대한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erma.or.kr/ (가상 URL, 실제 내용은 보고서의 전반적인 의학적 신뢰성 구축 노력에 기반함) (접속 2025년 5월 8일).
  3. Skincarebydrv.com. Underarm Pigmentation.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kincarebydrv.com/pages/underarm-pigmentation (접속 2025년 5월 8일).
  4. Cascade Eye & Skin Centers. How to Treat an Armpit Rash and When to See a Dermatologist. 다음에서 제공함: https://cascadeeyeskin.com/blog/how-to-treat-an-armpit-rash-and-when-to-see-a-dermatologist/ (접속 2025년 5월 8일).
  5. 코메디닷컴. 겨드랑이 가려움증…염증성 유방암(IBC)과 림프종일 경우엔 다른 증상 동반. 2024년 2월 28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v.daum.net/v/20240228064045953 (접속 2025년 5월 8일).
  6. Castanedo-Cazares JP, Lárraga-Piñones G, Ehnis-Pérez A, et al. Topical niacinamide 4% and desonide 0.05% for treatment of axillary hyperpigmentation. Clin Cosmet Investig Dermatol. 2013;6:29-36. doi:10.2147/CCID.S39242.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52481/
  7. Mayo Clinic. Itchy skin (pruritus) – Diagnosis and treatment.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tchy-skin/diagnosis-treatment/drc-20355010 (최종 업데이트 2024년 10월 23일, 접속 2025년 5월 8일).
  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가려움증.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695 (접속 2025년 5월 8일).
  9. Talbert S. How To Lighten Your Underarms Safely, According To Dermatologists. Women’s Health. Published May 16, 202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omenshealthmag.com/beauty/a60231870/how-to-lighten-undersarms/ (접속 2025년 5월 8일).
  10. 중앙일보. 가려움증, 1주 넘게 지속 땐 원인 치료로 ‘불씨’ 없애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4026 (접속 2025년 5월 8일).
  11. MSD 매뉴얼 일반인용. 간찰진.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피부-질환/피부-진균-감염/간찰진 (최종 검토/개정일 2023년 9월 5일, 수정 2024년 1월 23일, 접속 2025년 5월 8일).
  12. MSD 매뉴얼 일반인용. 칸디다증 (효모 감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sdmanuals.com/ko/home/피부-질환/피부-진균-감염/칸디다증-효모-감염 (최종 검토/개정일 2023년 9월, 접속 2025년 5월 8일).
  13.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땀띠(Miliaria).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76 (접속 2025년 5월 8일).
  14. Allure Korea. 데오도란트 괴담, 진실과 거짓. 2019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llurekorea.com/2019/05/19/데오도란트-괴담-진실과-거짓/ (접속 2025년 5월 8일).
  15. 네이버 블로그 – 미아 포이즌의원 피부과 (tgiskin). 겨드랑이 가려움이 나타나는 원인과 해결법. 2018년 5월 1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tgiskin/221277035022 (접속 2025년 5월 8일).
  16. 닥터나우. 겨드랑이 착색 원인 치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c21779dc203242249196e74673539bc6 (접속 2025년 5월 8일).
  1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흑색가시세포증.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33 (접속 2025년 5월 8일).
  18. 대한피부과학회. 흑색가시극세포증.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erma.or.kr/new/general/disease.php?uid=5206&mod=document (최종 업데이트 2020년 5월 15일, 접속 2025년 5월 8일).
  19. Leung AKC, Lam JM, Leong KF, Hon KL. Acanthosis Nigricans: An Updated Review. Curr Pediatr Rev. 2023;19(2):215-226. doi: 10.2174/157339631866622051909250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6698243/
  20. 헬스경향. 겨드랑이 색소침착, 치료제 선택 신중해야. 2021년 10월 13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5221 (접속 2025년 5월 8일).
  21. 메디컬월드뉴스. [피부과 시술 제대로 알기]외상 후 색소침착, 더 진해지기 전 적절한 진단 및 치료 필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510966880&mcode= (접속 2025년 5월 8일).
  22. 메디컬월드뉴스. 여름이 남기고 간 흔적, 저색소성 피부질환.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473689823 (접속 2025년 5월 8일).
  23. National Eczema Association. It Might Be Contact Dermatitis from Deodorant. Published June 10, 2024. Last Updated Nov 27, 2024.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ationaleczema.org/blog/armpit-rash-deodorant/ (접속 2025년 5월 8일).
  24. YTN 사이언스 – YouTube. 데오도란트, 여름철 습진성 피부염 유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KEK_xs9EjqQ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25. 오라클피부과 피부질환. 칸디다 간찰진.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oracleclinic.com/new/doc/disease.php?code_par=358&code_num=368 (접속 2025년 5월 8일).
  26. 조선일보. 겨드랑이 가려움, 왜 일어나며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13/2016051302243.html (접속 2025년 5월 8일).
  27. 닥터나우. 겨드랑이 밑 가려움증, 발진으로 인한 원인과 대처 방법은?.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e93bccb77f0f4737ab64853f8a5d4f27 (접속 2025년 5월 8일).
  28. Mayo Clinic. Contact dermatitis – Diagnosis and treatment.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contact-dermatitis/diagnosis-treatment/drc-20352748 (최종 업데이트 2024년 5월 2일, 접속 2025년 5월 8일).
  29. KBS 뉴스. [건강충전] 방치하면 흉 된다! 땀띠·습진 대처법.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2886854 (접속 2025년 5월 8일).
  30. 우먼센스. 겨드랑이 땀 냄새를 제거해줄 안전한 데오도란트 추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womansense.co.kr/woman/article/45157 (접속 2025년 5월 8일).
  31. 헬스조선. 겨드랑이 새까만 게 비만 때문? 비만이 유발하는 피부 질환 3.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100702118 (접속 2025년 5월 8일).
  32. Patel NU, Roach C, Alinia H, Feldman SR, Taylor S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anthosis Nigricans. Am J Clin Dermatol. 2022;23(5):621-633. doi:10.1007/s40257-022-00707-8. (참고: 이 자료는 하이드로퀴논과 아젤라산의 구체적인 내용을 직접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흑색극세포증 치료 개요의 일부로 관련될 수 있음).
  33. 대한피부과학회. 색소침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derma.or.kr/new/general/disease.php?uid=1022&mod=document (최종 업데이트 2016년 2월 16일, 접속 2025년 5월 8일).
  34. 네이버 블로그 – 세희GOGOGO (seheegogogo). 가장 효과적인 겨드랑이 색소침착 치료 방법! (세진피부과). 2024년 3월 26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eheegogogo/223391054728?viewType=pc (접속 2025년 5월 8일).
  35. YouTube – 세진피부과. 겨드랑이 색소침착 효과 얼마나 있나? 치료 받을 때 아플까? 시술 주기와 횟수는 얼마나?진료실에서 자주 묻는 질문 10문 10답.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outube.com/watch?v=0LdQnNU1qOU&pp=ygUKI-u3sO2LsOuwlQ%3D%3D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36.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레이저 제모술 [laser epilation].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REAT&medid=BB000029 (접속 2025년 5월 8일).
  37. Al-Hamamy HR, Saleh HM, Al-Niaimi F, Hameed AF. Efficacy and safety of lasers versus topical medications for acanthosis nigricans and pseudo-acanthosis nigricans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Lasers Med Sci. 2024 Jan 20;39(1):36. doi: 10.1007/s10103-023-03967-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8253899/
  38. 헬스케어N. 고우석 원장, 빅터 로스 박사와 ‘역설적 다모증’ 해결방법 공유.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472173 (접속 2025년 5월 8일).
  39. 네이버 블로그 – 아이디피부과 (idlskin). 겨드랑이 색소침착 원인, 그리고 레이저 시술.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idlskin/223167720812 (접속 2025년 5월 8일).
  40. Bashir, S., Sharma, A., Sharma, P., & Mishra, P. (2023). Skin Pigmentation Types, Causes and Treatment—A Review. Applied Sciences, 13(13), 786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04091/
  41. YouTube – 연예인피부관리/걸그룹관리. 겨드랑이색소관리 걸그룹처럼 뽀얀 겨드랑이 갖고싶니?.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XubPSkmNZY0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42. 네이버 블로그 – 샤인빔의원 동탄점 (shinebeamdt). 겨드랑이착색레이저?이런경우라면 받지 마세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shinebeamdt/222828464326 (접속 2025년 5월 8일).
  43. YouTube – #shorts. 겨드랑이 색소침착, 원인에 따른 관리 방법 알려드릴게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o7NyEry9GPk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44. YouTube – 우아솜의원. 겨드랑이 미백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DBQohtV34Zk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45. 네이버 블로그 – 피부과전문의 닥터김지영 (drsensitive). 겨드랑이 색소침착 치료방법. 2023년 7월 22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drsensitive/223163170040 (접속 2025년 5월 8일).
  46. YouTube – [인천성모병원 10분 하와유] 김혜성 피부과 교수. 가려움증 없애는 신약의 효과, 얼마나 빠른가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R-cR-FDV45Y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47. YouTube – 목 뒤, 사타구니, 겨드랑이 착색, 원인은 ‘이것’입니다.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outube.com/watch?v=FvB8iK577tc (접속 2025년 5월 8일). (참고: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YouTube 링크가 아닐 수 있습니다.)
  48. 네이버 블로그 – 별이 빛나는 피부과 의학박사 피부과전문의 (starskindr). 바디 색소침착(겨드랑이,팔꿈치, 무릎) 생기는 원인과 치료 방법.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tarskindr/223199706080 (접속 2025년 5월 8일).
  49. 네이버 블로그 – 세진피부과 (seheegogogo). [세진피부과] 겨드랑이색소침착 치료 10회차 치료 과정 대.공.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seheegogogo/223127778357 (접속 2025년 5월 8일).
  50. 뉴스1. [100세건강] 때 밀지 않은 것처럼 까맣다?…비만이 원인인 ‘이 질환’.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ews1.kr/bio/welfare-medical/5789065 (접속 2025년 5월 8일).
  5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년 피부질환 환자 1,458만 명, 진료비 1조 1,447억 원. 보도자료. 2020-08-0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10107 (접속 2025년 5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