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혹시 나도 남성 난임일까? 정액 검사, 무엇을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요?

남성 난임은 더 이상 개인만의 숨겨진 고민이 아닙니다. 과거에는 난임의 원인을 여성에게서만 찾으려는 경향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남성 요인 또한 여성 요인만큼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실제로 전체 난임 부부의 약 절반에서 남성 요인이 발견됩니다. 특히, “혹시 나도 남성 난임일까? 정액 검사, 무엇을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은 많은 남성들이 마음속으로 품고 있는 중요한 고민일 것입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8~2022년) 남성 난임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가 약 14.3%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64,143명에 달했습니다1. 특히 30~40대 남성 환자의 증가가 두드러져1,2, 남성의 생식 건강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대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도 남성 난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본 기사는 남성 난임과 정액 검사에 대한 정확하고 최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여러분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구체적인 해결책과 희망을 찾는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드릴 것입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남성 난임은 남성 측 요인으로 인해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하며, 전 세계적으로 난임 부부의 약 30~50%에서 남성 단독 또는 복합 요인이 발견됩니다. 한국에서도 남성 난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1,2.
  •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으로는 정자 형성 장애(예: 정계정맥류3,4,5, 유전적 요인), 정자 이동 통로 장애, 호르몬 이상, 생활 습관 및 환경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규명이 중요합니다.
  • 정액 검사는 남성 생식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최신 기준(2021년 제6판)6,7에 따라 정액량, 정자 수, 운동성, 모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남성 난임은 원인에 따른 맞춤형 치료(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보조생식술 등)를 통해 충분히 극복 가능하며, 정부 지원 정책8,9도 확대되고 있어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1. 남성 난임,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많은 부부들이 임신을 계획하지만 생각처럼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이러한 임신의 어려움, 즉 ‘난임’은 더 이상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며, 남성 요인 또한 중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남성 난임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1.1. 난임과 불임의 정의 및 차이점

세계보건기구(WHO)는 난임(subfertility)을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정의합니다10,11. 과거에는 ‘불임(infertility)’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임신이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어 최근에는 ‘난임’이라는 용어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난임은 임신이 어려운 상태를 의미하지만,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내포합니다. 특히 남성 난임은 이러한 난임의 원인이 남성에게 있는 경우를 지칭합니다.

1.2. 남성 난임의 유병률 및 사회경제적 영향 (한국 및 글로벌)

남성 난임은 전 세계적으로 드물지 않은 문제입니다. 일반적으로 난임 부부 중 약 30~50%에서 남성 요인이 단독 또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남성 난임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남성 난임 환자 수는 64,143명에 달했으며, 이는 5년 전인 2018년에 비해 14.3% 증가한 수치입니다1. 특히 35~39세 남성 환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1. 또한, 10년간 남성 난임 환자가 33.7%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2. 이러한 남성 난임은 개인적인 스트레스와 자존감 저하는 물론, 부부 관계의 어려움, 나아가 치료 과정에서의 경제적 부담 등 사회경제적으로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2.

2. 내 몸의 경고 신호? 남성 난임의 다양한 원인들

남성 난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명확한 증상 없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신체적인 변화나 특정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남성 난임의 원인은 크게 정자를 만드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정자 형성 장애’, 정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막히는 ‘정자 이동 통로 장애’, 그리고 그 외 기타 요인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정자 형성 장애가 남성 난임 원인의 약 80~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3.

2.1. 정자 형성 장애: 건강한 정자가 만들어지지 못하는 경우

정자 형성 장애는 고환에서 건강한 정자가 충분히 만들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정자의 수가 부족하거나(감정자증), 정자의 운동성이 떨어지거나(약정자증), 또는 정자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기형정자증)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정자 형성 장애를 유발하는 구체적인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2.1.1. 정계정맥류 (Varicocele)

정계정맥류는 남성 난임의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교정 가능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3,4,5,10,11,14,15,16,17. 이는 고환 주변의 정맥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고 확장된 상태를 말하며, 마치 다리에 생기는 하지정맥류와 유사합니다. 일반 남성의 약 10~15%에서 발견되지만, 난임 남성에서는 그 비율이 20~4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됩니다10. 특히 왼쪽 고환에 더 흔하게 발생하며(약 90%)10,13, 양측에 동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정계정맥류는 고환의 온도를 상승시키고13,17, 혈액 순환을 저해하며, 혈액 역류로 인한 독성 물질 축적 및 산화 스트레스 증가 등을 통해 정자의 수, 운동성, 모양 등 전반적인 정자의 질을 떨어뜨려 정자 형성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4,17.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때로는 고환의 불편감이나 통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진단은 주로 숙련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신체 검진과 음낭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11. 정계정맥류로 인한 남성 난임의 경우, 수술적 치료(정계정맥류 절제술)를 통해 정액 지표를 개선하고 자연 임신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고에 따르면 수술 후 약 70%에서 정액 지표가 개선되며, 약 40~50%에서 자연 임신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0.

2.1.2. 유전적 요인 (염색체 이상, 유전자 결함)

유전적 요인은 남성 난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정자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전적 원인으로는 클라인펠터 증후군과 Y 염색체 미세결실 등이 있습니다18,6.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 Syndrome, 47,XXY)은 가장 흔한 성염색체 이상 질환 중 하나로, 추가적인 X 염색체로 인해 고환 기능 부전, 고환 위축, 그리고 무정자증이나 심한 정자 수 감소증(감정자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8,6. Y 염색체 미세결실(Y Chromosome Microdeletion)은 남성 생식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이 모여 있는 Y 염색체의 특정 부위(AZF 영역: Azoospermia Factor region)가 소실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 결실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정자 형성 장애가 나타나며, 심한 경우 무정자증의 원인이 됩니다18,6. 이 외에도 낭성 섬유증(Cystic Fibrosis) 관련 유전자(CFTR) 변이는 선천성 양측 정관 무형성증(CBAVD)과 연관되어 폐쇄성 무정자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8. 이러한 유전적 요인이 의심될 경우, 염색체 검사(핵형 분석)나 Y 염색체 미세결실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18,6.

2.1.3. 고환 자체의 문제 (고환 기능 부전)

고환은 정자를 생산하는 핵심 기관으로, 고환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정자 형성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잠복고환(Cryptorchidism)은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않고 복강 내나 서혜부에 머무르는 상태로, 고환의 온도 상승 및 발달 이상을 초래하여 정자 형성 기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잠복고환은 가능한 한 빨리, 일반적으로 생후 12개월 이전에 교정 수술을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18,5. 고환염(Orchitis)은 주로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거나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고환 조직에 염증과 손상을 일으켜 정자 생산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18,5. 또한, 선천적인 고환 발달 장애, 외부 충격으로 인한 고환 손상, 고환이 꼬이는 고환 염전 후유증 등도 고환 기능 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역시 고환의 정자 생성 세포에 손상을 주어 남성 난임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입니다5.

2.1.4. 내분비계 이상 (호르몬 불균형)

정상적인 정자 형성은 뇌의 시상하부, 뇌하수체, 그리고 고환으로 이어지는 호르몬 축의 정교한 조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호르몬 불균형이 발생하여 남성 난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8,5,6.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장애는 성선자극호르몬(FSH, LH)의 분비 이상을 초래합니다. 예를 들어, 칼만 증후군(Kallmann Syndrome)과 같은 질환은 시상하부의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분비 결핍으로 인해 FSH와 LH 수치가 낮아지고, 이는 고환에서의 정자 생성과 남성호르몬 생산을 저해합니다18. 고프로락틴혈증은 혈중 프로락틴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뇌하수체 종양이나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성선 기능을 억제하여 난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저하증, 부신 질환 등 다른 내분비계 질환도 남성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르몬 이상이 의심될 경우, 혈액 검사를 통해 FSH, LH, 테스토스테론, 프로락틴 등의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합니다18,5,6.

2.1.5. 환경적 요인 및 생활 습관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생활 습관 또한 남성의 생식 건강, 특히 정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환은 체온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므로, 잦은 사우나 이용, 꽉 끼는 속옷 착용,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습관 등은 고환 온도를 상승시켜 정자 생성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5,14. 흡연은 정자의 수, 운동성, 모양에 모두 악영향을 미치며, DNA 손상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8,5,20. 과도한 음주 역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추고 정자 생산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18,5,20. 특정 약물(예: 일부 항암제, 스테로이드, 일부 고혈압약 등)의 장기 복용이나 약물 남용도 정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환경호르몬(내분비 교란 물질)에 대한 노출도 남성 생식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18. 또한, 심한 스트레스, 만성적인 수면 부족, 영양 불균형, 그리고 비만 역시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하거나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정자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됩니다20,17.

2.2. 정자 이동 통로 장애: 정자가 지나가는 길이 막힌 경우 (폐쇄성 무정자증)

정자 이동 통로 장애는 고환에서는 정자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지만, 부고환, 정관, 사정관 등 정자가 이동하는 경로가 막혀 정액에 정자가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를 폐쇄성 무정자증이라고 하며, 남성 난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18,5,6. 주요 원인으로는 선천성 양측 정관 무형성증(Congenital Bilateral Absence of the Vas Deferens, CBAVD)이 있습니다. 이는 양쪽 정관이 태어날 때부터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낭성 섬유증 유전자(CFTR) 변이와 높은 연관성을 보입니다. 또한, 과거의 성병(예: 임질, 클라미디아 등)으로 인한 부고환염이나 정관염의 후유증으로 정자 이동 통로가 흉터 조직으로 막힐 수 있습니다18,5,6. 전립선 낭종, 결석, 염증 등으로 인해 정액이 요도로 나오는 마지막 관문인 사정관이 막히는 사정관 폐쇄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시행한 정관수술이나 탈장 수술, 기타 골반 부위 수술 과정에서 정관이나 주변 구조물이 손상되어 폐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18,5.

2.3. 기타 원인

위에서 언급된 주요 원인들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남성 난임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역행성 사정(Retrograde Ejaculation)은 사정 시 정액이 요도를 통해 밖으로 나오지 않고 방광으로 역류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 손상, 특정 약물 부작용, 척수 손상, 과거 전립선 또는 방광 수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8,6. 항정자항체(Anti-sperm Antibodies)는 남성의 면역체계가 자신의 정자를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항체를 만드는 경우입니다. 이 항체는 정자의 운동성을 저해하거나 수정 능력을 방해하여 난임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과거 고환 외상, 수술,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8,5,6. 발기부전이나 사정장애와 같은 성기능 장애 역시 직접적으로 임신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18,5. 마지막으로, 다양한 정밀 검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를 원인 불명의 남성 난임이라고 하며, 이는 전체 남성 난임의 약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 이러한 경우에도 생활 습관 개선이나 경험적 치료, 또는 보조생식술 등을 통해 임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3. 남성 난임, 어떻게 진단하나요? –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한 여정

남성 난임이 의심될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인 진단 과정이 필요합니다. 진단은 단순히 정액 검사 결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생활 습관, 과거 병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각 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3.1. 진단의 첫걸음: 상세한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남성 난임 진단의 첫 단계는 의사와의 상세한 상담을 통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입니다18,6,21. 병력 청취 시에는 현재 난임 기간, 과거 임신 시도 경험 및 결과, 성생활 패턴(빈도, 만족도 등), 어린 시절 앓았던 질환(예: 잠복고환, 고환염, 특히 유행성 이하선염), 과거 수술력(예: 서혜부 탈장 수술, 정관 수술, 고환 수술), 현재 복용 중인 약물, 흡연, 음주, 직업 환경(유해물질 노출 여부, 고온 환경 근무 등), 생활 습관, 그리고 가족 중 난임이나 유전 질환을 앓은 사람이 있는지 등을 자세히 확인합니다18,6,21. 신체 검사에서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남성성의 발달 정도(이차 성징: 체모, 근육 발달, 목소리 등)를 평가합니다. 특히 비뇨생식기계에 대한 정밀한 진찰이 이루어지는데, 음경의 크기와 모양, 요도구 위치 등을 확인하고, 고환의 크기, 단단함(경도), 부고환의 상태, 정관의 유무 및 만져지는 느낌 등을 촉진합니다. 정계정맥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힘을 주어 배에 압력을 높이는 발살바 수기(Valsalva maneuver)를 시행하며 촉진하기도 합니다6,21.

3.2. 핵심 검사: 정액 검사 (Semen Analysis) – 무엇을, 어떻게, 왜?

3.2.1. 정액 검사, 왜 중요한가요?

정액 검사는 남성의 가임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검사입니다6,22. 이 검사를 통해 정액 내 정자의 수, 운동성, 모양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남성 생식 능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난임의 원인을 추정하고 향후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합니다.

3.2.2. 정확한 검사를 위한 준비사항

정확한 정액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사항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검사 전 2일에서 7일 사이의 금욕 기간을 권장합니다3,6,19. 금욕 기간이 너무 짧으면 정자 수가 적게 나올 수 있고, 너무 길면 운동성이 떨어지거나 죽은 정자가 많아질 수 있어 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액은 병원 내에 마련된 독립되고 편안한 채취실에서 자위행위(masturbation)를 통해 전용 멸균 용기에 직접 채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채취 시에는 정액의 첫 부분부터 마지막 부분까지 전량을 모두 모으는 것이 중요하며, 일부가 소실되면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검사 전 며칠 동안은 과도한 음주나 흡연, 사우나 이용 등을 피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3,6,19.

3.2.3. 정액 검사, 어떤 항목을 평가하나요? – WHO 2021년 제6판 기준 상세 해설

본 기사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21년에 발표한 ‘인간 정액 검사 및 처리를 위한 WHO 실험실 지침서 제6판’의 하한 참고치(Lower Reference Limits, LRLs)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3,7,13. 이 기준은 과거 임신에 성공한 남성들의 하위 5%에 해당하는 값으로, ‘최소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절대적인 정상/비정상 판단 기준은 아닙니다. 검사 결과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3,7,13,23.

정액 검사 주요 지표 및 WHO 2021 제6판 기준7
검사 항목 (Parameter) WHO 2021 제6판 하한 참고치 (LRL) 단위 (Unit) 임상적 의의 및 추가 설명 (Clinical Significance & Notes)
정액량 (Semen Volume) ≥1.4 mL 사정된 정액의 전체 양. 정낭, 전립선 기능과 관련. 과소정액증(hypospermia)은 사정관 폐쇄, 역행성 사정, 정낭 기능 저하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pH ≥7.2 정액의 산도. 정낭액은 알칼리성, 전립선액은 산성으로, pH가 낮으면 정낭 기능 이상 또는 사정관 폐쇄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총 정자 수 (Total Sperm Number) ≥39 ×10⁶ per ejaculate 1회 사정 시 총 정자의 수. (정자 농도 × 정액량)으로 계산됩니다.
정자 농도 (Sperm Concentration) ≥16 ×10⁶/mL 단위 부피(1mL)당 정자의 수. 이 수치가 기준보다 낮으면 감정자증(oligozoospermia)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총 운동성 (Total Motility, PR+NP) ≥42 % 전체 정자 중 움직이는 정자(전진 운동 + 비전진 운동)의 비율입니다.
전진 운동성 (Progressive Motility, PR) ≥30 % 앞으로 나아가는 운동성을 가진 정자의 비율. 수정 능력에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준치 미만일 경우 약정자증(asthenozoospermia)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정상 형태 정자율 (Normal Forms) ≥4 % 엄격한 기준(Kruger’s strict criteria)에 따른 정상 모양 정자의 비율. 이 비율이 낮으면 기형정자증(teratozoospermia)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생존율 (Vitality) ≥54 % 살아있는 정자의 비율. 운동성이 매우 낮은 경우, 살아있지만 움직이지 않는 정자와 죽은 정자를 감별하는 데 중요합니다 (예: 염색법 사용).
백혈구 (White Blood Cells / Leukocytes) <1.0 ×10⁶/mL 과산화효소(peroxidase) 양성 백혈구 기준. 수치가 높을 경우 생식기계 염증(농정자증, leukocytospermia)을 의심하며, 이는 정자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액화 시간 (Liquefaction Time) ≤60 minutes 사정된 정액이 젤리 같은 상태에서 액체로 변하는 데 걸리는 시간.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효소의 작용으로 이루어집니다. 액화가 지연되면 전립선 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점도 (Viscosity) (정상 범위 내) 액화 후 정액의 끈적임 정도. 과도하게 높으면 정자 운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예: 피펫으로 떨어뜨렸을 때 2cm 이하의 실처럼 늘어짐)

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정액 검사 결과는 개인의 컨디션, 스트레스 수준, 금욕 기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번의 검사 결과만으로 최종 판단을 내리지 않고, 일반적으로 최소 2회 이상, 1~4주 간격으로 반복 검사를 시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6,19,24. 또한, WHO 기준치는 임신에 성공한 남성들의 하위 5%에 해당하는 값으로, 이보다 낮다고 해서 반드시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반대로 기준치 이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임신이 보장되는 것도 아닙니다3,7,13,23. 검사 결과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또는 난임 전문의와 상담하여 다른 임상 정보(병력, 신체검사 소견 등)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나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3.2.4. 정액 검사 결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결과지 예시 및 항목별 설명)

정액 검사 결과지를 받으면 다양한 용어들로 인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주요 이상 소견에 대한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정자증 (Azoospermia): 정액 내에 정자가 전혀 관찰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는 정자 생성 자체가 안 되는 비폐쇄성 무정자증과, 정자는 생성되지만 이동 통로가 막혀 나오지 못하는 폐쇄성 무정자증으로 나뉘며,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 감정자증 (Oligozoospermia): 정자 수가 WHO 기준치(1mL당 1,600만 마리 또는 총 정자 수 3,900만 마리) 미만인 경우입니다.
  • 약정자증 (Asthenozoospermia): 정자의 운동성이 기준치(총 운동성 42% 또는 전진 운동성 30%) 미만인 경우입니다. 정자가 난자에게 도달하여 수정하기 위해서는 활발한 운동성이 필수적입니다.
  • 기형정자증 (Teratozoospermia): 정상적인 모양을 가진 정자의 비율이 WHO 기준치(4%) 미만인 경우입니다. 정자의 모양은 수정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복합 이상 (예: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OAT syndrome): 위의 여러 가지 이상 소견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 정자 수, 운동성, 모양이 모두 기준치 미만).

이 외에도 정액량 과소증, 과다증, 백혈구 증가증(농정자증) 등 다양한 이상 소견이 있을 수 있으며, 각 소견에 따라 추가적인 원인 규명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3. 추가 정밀 검사: 원인 감별을 위한 심층 분석

정액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거나, 기본적인 검사만으로는 원인 파악이 어려운 경우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시행하여 남성 난임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냅니다.

3.3.1. 호르몬 검사 (Hormonal Assay)

혈액 검사를 통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유즙분비호르몬(Prolactin) 및 고환에서 생산되는 남성호르몬(Testosterone) 등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으로 이어지는 호르몬 축의 기능을 평가하여, 정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불균형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중요합니다18,5,6,19,21. 특히 FSH 수치는 고환의 정자 형성 능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비폐쇄성 무정자증과 폐쇄성 무정자증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3.2. 유전학적 검사 (Genetic Testing)

특정 유전 질환이 남성 난임의 원인으로 의심되거나, 심한 정자 수 감소(특히 무정자증 또는 심한 감정자증)가 있는 경우 유전학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혈액을 이용한 염색체 분석(핵형 검사)으로 클라인펠터 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수적 이상을 확인하거나, Y 염색체 미세결실 검사를 통해 Y 염색체 상의 정자형성 관련 유전자 결실 유무를 파악합니다. 또한, 선천성 양측 정관 무형성증이 의심될 경우 낭성 섬유증 유전자(CFTR) 변이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18,6,19,21.

3.3.3. 영상 진단 검사 (Imaging Studies)

영상 진단 검사는 남성 생식기관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음낭 초음파(Scrotal Ultrasonography)는 고환의 크기와 내부 구조, 부고환의 상태, 그리고 남성 난임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인 정계정맥류의 유무 및 정도를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검사입니다18,6,19,21. 경직장 초음파(Transrectal Ultrasonography, TRUS)는 정액량이 매우 적거나 사정관 폐쇄, 전립선 낭종 등이 의심될 때 항문을 통해 초음파 기구를 삽입하여 전립선과 정낭, 사정관 등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18,6,19.

3.3.4. 고환 조직 검사 (Testicular Biopsy)

고환 조직 검사는 주로 무정자증 환자에서 정자 형성 기능을 직접 확인하고, 정자 이동 통로의 문제인 폐쇄성 무정자증과 고환 자체의 문제인 비폐쇄성 무정자증을 감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18,5,6,19,21. 최근에는 진단 목적뿐만 아니라,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 조직 내에 존재하는 소수의 정자를 직접 채취(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하여 체외수정(특히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 ICSI)을 시도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발히 시행되고 있습니다18,5,6,19,21.

3.3.5. 정자 DNA 손상 검사 (Sperm DNA Fragmentation Test)

정자의 유전적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로, 정자 핵 내 DNA의 손상 정도를 측정합니다. 정자 DNA 손상이 심할 경우 수정 능력 저하, 배아 발달 불량, 반복 유산, 낮은 임신 성공률 등과 관련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19. 하지만 아직까지 모든 남성 난임 환자에게 일상적으로 권장되는 표준 검사로 정립되지는 않았으며,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정 난임 시술(예: 체외수정) 실패가 반복되거나 원인 불명의 난임인 경우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3.3.6. 기타 검사 (항정자항체 검사, 소변 검사 등)

면역학적 요인에 의한 난임이 의심될 경우 혈액이나 정액에서 항정자항체(Anti-sperm Antibody)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18,5,6. 역행성 사정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사정 직후 소변을 받아 현미경으로 정자 유무를 확인하는 소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6.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4. 남성 난임, 희망은 있습니다: 다양한 치료 전략과 최신 지견

남성 난임으로 진단받았다고 해서 임신의 희망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치료가 어려웠던 많은 경우에도 임신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4.1. 치료의 기본 원칙: 원인 규명과 맞춤형 접근

남성 난임 치료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정확한 원인 진단입니다. 다양한 검사를 통해 난임의 원인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한 후, 각 개인의 상황과 원인에 맞는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계정맥류가 원인이라면 수술적 치료를 우선 고려할 수 있고, 호르몬 이상이라면 호르몬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남성 난임 치료는 배우자(여성)의 상태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여성 측 요인에 대한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부부가 함께 치료 계획에 참여하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2. 생활 습관 교정 및 보존적 치료

건강한 생활 습관은 남성의 생식 기능 개선에 기본적인 토대가 됩니다. 금연과 절주는 필수적이며,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건강한 식단 유지, 적정 체중 관리,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해소 등은 정자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신체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5,20. 특히 고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들, 예를 들어 꽉 끼는 속옷이나 바지 착용, 장시간의 사우나나 뜨거운 목욕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5,14. 항산화제(예: 비타민 C, 비타민 E, 코엔자임 Q10, 아연, 셀레늄 등)가 정자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일부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25,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으며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항산화제 복용은 반드시 의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하며, 과도한 기대를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또한,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특정 건강기능식품(예: 마카26, 오자연종환27,28 등)에 맹신하기보다는, 검증된 의학적 치료와 병행하거나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한 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3. 약물 치료

남성 난임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약물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저하로 인한 성선자극호르몬(FSH, LH) 결핍이 확인된 경우, 외부에서 이러한 호르몬을 주사로 투여하여 정자 생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혈중 프로락틴 수치가 높은 고프로락틴혈증의 경우에는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호르몬 수치를 정상화하고 성선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18,5,19,25. 생식기관 감염으로 인해 정액 내 백혈구가 증가하고 정자 기능이 저하된 농정자증의 경우에는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 치료를 통해 염증을 조절하고 정자 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19. 이 외에도 의학적 판단에 따라 항산화제나 혈류 개선제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4.4. 수술적 치료

남성 난임의 원인 중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정계정맥류는 남성 난임의 가장 흔한 교정 가능한 원인으로, 정계정맥류 교정술(Varicocelectomy)을 통해 늘어난 혈관을 차단하여 고환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정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세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 기법으로 합병증을 줄이고 성공률을 높이고 있습니다18,4,6,19,21. 과거 정관수술을 받았거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정관 또는 부고환이 막힌 경우에는 정관 복원술(Vasovasostomy)이나 부고환-정관 문합술(Vasoepididymostomy)을 통해 정자 이동 통로를 다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 역시 미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시행함으로써 높은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18,19,21. 사정관 폐쇄가 확인된 경우에는 요도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막힌 사정관을 열어주는 사정관 폐쇄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Ejaculatory Duct, TURED)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19.

4.5. 보조생식술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위의 치료 방법들로 자연 임신이 어렵거나, 정자의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자연적인 수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보조생식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보조생식술은 여성의 난자와 남성의 정자를 체외에서 수정시키거나, 수정 능력이 있는 정자를 여성의 생식기 내로 직접 주입하여 임신을 돕는 다양한 의학적 시술을 통칭합니다.

4.5.1. 자궁 내 인공수정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자궁 내 인공수정은 처리된 남성의 정액에서 활동성이 좋은 정자만을 선별하여 여성의 배란기에 맞추어 가느다란 관을 통해 자궁강 내로 직접 주입하는 시술입니다. 정자의 운동성이 다소 부족하거나, 원인 불명의 난임, 또는 여성 측 요인(예: 자궁경부 점액 이상)이 있는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지만, 성공률은 체외수정보다 낮습니다18,19,29.

4.5.2. 체외수정 (In Vitro Fertilization, IVF) 및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체외수정(IVF)은 여성의 난소에서 여러 개의 난자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남성의 정자와 수정시킨 후, 수정된 배아를 2~5일간 배양하여 여성의 자궁 내로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남성 요인이 심하지 않은 경우 시도할 수 있습니다.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ICSI)은 체외수정의 한 종류로, 정자의 수, 운동성, 또는 모양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자연적인 수정이 어려운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현미경 하에서 가느다란 유리 침을 이용하여 단 하나의 건강한 정자를 선택하여 직접 난자의 세포질 내로 주입하여 수정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18,19,29. ICSI는 과거에는 임신이 불가능했던 심한 남성 난임 환자들(예: 심한 감정자증, 약정자증, 기형정자증)에게도 임신의 기회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기술입니다. 심지어 무정자증 환자의 경우에도 고환 조직 검사를 통해 정자를 채취(TESE)하여 ICSI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18,19,21.

4.5.3. 정자 채취술 (Sperm Retrieval Techniques)

무정자증 환자의 경우, 사정된 정액에서는 정자가 발견되지 않지만 고환이나 부고환에는 정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정자 채취술을 통해 정자를 얻어 ICSI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피부를 통해 바늘로 부고환(PESA: Percutaneous Epididymal Sperm Aspiration)이나 고환(TESA: Testicular Sperm Aspiration)에서 정자를 흡입하거나, 고환 조직을 일부 절개하여 정자를 채취하는 고환 조직 정자 채취술(TESE: Testicular Sperm Extraction) 등이 있습니다18,19,21. 미세 다중 고환 조직 정자 채취술(microdissection TESE)은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정자 발견율을 높이기 위해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자 생성이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고환 세정관 부위를 선택적으로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4.6. 한국의 남성 난임 지원 정책

최근 한국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난임 부부에 대한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성 난임에 대한 지원도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2025년부터는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남성의 정액 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포함) 비용 일부(최대 5만원, 주기별 1회, 연 최대 3회)를 지원하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 시행될 예정입니다8. 또한, 항암 치료 등 의학적 치료 전에 가임력 보존을 위해 정자를 동결 보존하는 경우, 그 비용 일부(최대 30만원, 2025년 4월 시행 예정)를 지원하는 사업도 계획되어 있습니다8. 이 외에도 난임 시술비 지원 사업을 통해 체외수정이나 인공수정과 같은 보조생식술 비용의 일부를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지원 정책은 남성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지원 조건과 신청 방법은 관할 보건소나 관련 정부 부처(예: 보건복지부)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8,9.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모든 의학 정보와 치료법은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남성 난임이 의심되거나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 자가 진단이나 민간요법에 의존하기보다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또는 난임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전문의의 진료 없이 임의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치료를 중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제시된 통계 자료나 연구 결과는 참고용이며, 개인의 예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정액 검사 결과가 좋지 않으면 무조건 시험관 아기 시술(체외수정)을 해야 하나요?

A1. 그렇지 않습니다. 정액 검사 결과가 기준치보다 낮다고 해서 반드시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남성 난임의 원인과 정도, 여성 배우자의 상태, 부부의 나이 및 난임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정계정맥류와 같이 교정 가능한 원인이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통해 자연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4,6,19, 호르몬 이상이 있다면 약물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18,19.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도 정자 상태가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5,20. 정자의 상태가 심각하지 않다면 자궁 내 인공수정(IUI)을 먼저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18,19,29. 시험관 아기 시술(특히 ICSI)은 다른 치료 방법으로 임신이 어렵거나 정자의 질이 매우 낮은 경우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항상 최후의 수단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여 부부에게 가장 적합한 단계별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Q2. 정자 수를 늘리거나 정자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2.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합니다. 금연과 절주는 필수적이며, 균형 잡힌 식단(신선한 과일, 채소, 통곡물, 건강한 지방 섭취)과 규칙적인 운동은 정자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5,20. 고환 온도를 높이는 꽉 끼는 하의 착용이나 잦은 사우나 이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5,14.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비만은 남성호르몬 수치를 낮추고 정자의 질을 저하시키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17,20.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음식(예: 베리류, 견과류, 녹색 잎채소 등)을 섭취하거나, 필요한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 항산화 보충제(비타민 C, E, 코엔자임 Q10, 아연, 셀레늄 등) 복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25. 하지만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은 보조적인 역할이며, 의학적인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Q3. 정계정맥류가 있으면 꼭 수술해야 하나요? 수술하면 바로 임신이 가능한가요?

A3. 정계정맥류가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계정맥류가 있으면서 정액 검사 결과에 이상이 있거나, 난임 기간이 길어지고, 배우자에게 특별한 난임 원인이 없는 경우 등에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4,6,19. 수술 여부는 정계정맥류의 정도, 환자의 나이, 정액 검사 결과, 임신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게 됩니다. 정계정맥류 수술(정계정맥류 절제술) 후에는 약 60-70%에서 정액 지표(정자 수, 운동성 등)가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며, 수술 후 자연 임신 성공률은 약 30-5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4,19. 하지만 수술 효과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수술 후 바로 임신이 되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수술 후 정자 상태가 호전되는 데는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보조생식술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Q4. 남성 난임도 유전되나요?

A4. 일부 남성 난임은 유전적인 원인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라인펠터 증후군(47,XXY)이나 Y 염색체 미세결실과 같은 염색체 이상은 유전되며 심각한 정자 형성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8,6. 선천성 양측 정관 무형성증(CBAVD)의 경우 낭성 섬유증 유전자(CFTR) 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이 유전자 변이는 유전될 수 있습니다18. 만약 남성 난임이 유전적 원인으로 진단된 경우, 자녀에게 해당 유전적 소인이 전달될 가능성에 대해 유전 상담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조생식술(ICSI 등)을 통해 임신을 시도할 경우, 유전적 문제가 다음 세대로 이어질 가능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착상 전 유전 진단(PGT)과 같은 방법을 논의해 볼 수 있습니다.

Q5. 남성 난임 검사나 치료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많이 힘든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나요?

A5. 남성 난임 진단과 치료 과정은 많은 남성들과 그 배우자에게 큰 스트레스와 심리적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12. 불안감, 우울감, 죄책감, 자존감 저하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혼자 겪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담당 의사나 난임 전문 상담가와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과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병원 내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난임 부부를 위한 지지 모임에 참여하여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며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배우자와의 충분한 대화와 서로에 대한 이해, 지지는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부부 상담을 통해 관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함께 문제를 헤쳐나갈 수 있습니다. 지자체나 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난임 부부 지원 프로그램이나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희망을 갖고 나아가는 길

남성 난임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나 숨겨야 할 비밀이 아닙니다.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정확한 원인 규명이 가능해졌으며,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임신의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혹시 나도 남성 난임일까?”라는 불안감에서 시작하여 “정액 검사, 무엇을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요?”라는 구체적인 질문에 이르기까지, 본 기사는 최신 WHO 기준과 국내외 전문가들의 지견을 바탕으로 남성 난임의 진단부터 희망의 치료 전략까지 포괄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이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전문가와 상담하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입니다. 원인이 무엇이든, 부부가 함께 서로를 지지하고 의학적 도움을 받는다면 충분히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중한 생명을 맞이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남성 난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인 대처는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 5월 25일). 최근 5년간 난임(불임) 및 난임 시술 현황 분석. HIRA.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10880&pageIndex=1
  2. 후생신보. (2022, 10월 19일). 남성 난임 환자 10년 사이 33.7% 증가. http://www.whosaeng.com/144548
  3. 블라우드럽 (Drauf). (2022, 12월 15일). 새롭게 개정된 정액검사 기준 [블로그 게시물].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blaudrup/222950987896?viewType=pc
  4. 한국경제TV. (2019, 1월 22일). 남성 불임 원인 1위 정계정맥류, 임신 계획 있다면 확인 필수!.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901220490
  5. 질병관리청. (2024). 남성 불임증. 국가건강정보포털.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29 (2025년 05월 18일 인용)
  6. 대한비뇨의학회. (2004). 남성 불임 진료지침.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rology.or.kr/inc/download.php?r_name=12699535862109.pdf&file_dir=resources&f_name=2004-7.pdf
  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HO laboratory manual for the examination and processing of human semen (6th ed.). (박용석 해석, 서주태 & 이효석 감수, 2022). World Health Organization. 다음에서 제공함: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343208/9789240030787-kor.pdf
  8. 보건복지부. (2025년 1월 22일 자료 기준). 2025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①. 정책브리핑.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2.korea.kr/news/customizedNewsView.do?newsId=148938913&pWise=sub&pWiseSub=J2 (2025년 05월 18일 인용)
  9. 대한비뇨의학회. (2023). 2023년 강남구 남성 난임 지원사업 매뉴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rology.or.kr/rang_board/inc/download.php?code=notice&num=13628
  10. 서주태. (2015). 남성불임의 진단과 치료의 최신지견. 대한생식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78, 15. 관련 링크 (서주태비뇨의학과의원 의료진 소개, 메디칼타임즈 대한생식의학회장 취임 기사 참조)
  11. 송승훈. (강남차병원 비뇨의학과). 강남차병원 의료진 소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angnam.chamc.co.kr/treatment/list/manpregnant.cha (강남차병원 네이버 블로그 프로필 참조)
  12. 김유리, & 정혜원. (2022).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보건사회연구, 42(4), 138-154. https://www.kihasa.re.kr/hswr/v.43/4/138/%EB%82%9C%EC%9E%84+%EC%8B%9C%EC%88%A0%EC%9D%84+%EB%B0%9B%EC%9D%80+%EB%82%A8%EC%84%B1%EC%9D%98+%EC%8B%AC%EB%A6%AC%EC%82%AC%ED%9A%8C%EC%A0%81+%EC%96%B4%EB%A0%A4%EC%9B%80
  13. 삼성비뇨기과. 남성불임.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amsungclinic.com/urology/male-infertility/ (2025년 05월 18일 인용)
  14. 이정우, & 김수웅. (2012). 정계정맥류와 남성불임. 대한의사협회지, 55(1), 37-44. doi:10.5124/jkma.2012.55.1.37.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5-37.pdf
  15. KBS 뉴스. (2023, 6월 14일). [AI 목소리 뉴스] 당신의 정자는 괜찮습니까? 한국 남성 3백여 명 정액 검사했더니 [비디오].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yourvideoid (실제 영상 링크 확인 필요, 제공된 googleusercontent 링크는 부정확)
  16. 대한생식의학회. 환자를 위한 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sfs.or.kr/general/treat.php (2025년 05월 18일 인용)
  17. 중앙일보. (2017, 8월 25일). [건강한 당신] 아빠 되고 싶으세요? 살부터 빼세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887522
  18. 서울아산병원. 남성 불임.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96 (2025년 05월 18일 인용)
  19. 강남차병원. 남성난임클리닉. 다음에서 제공함: https://gangnam.chamc.co.kr/treatment/list/manpregnant.cha (2025년 05월 18일 인용)
  20. 조선일보 헬스조선. (2023, 10월 10일). 남성 난임, 생활습관 개선으로 극복 가능할까?. (헬스코리아뉴스 남성불임 원인은 이것 때문 기사 등 생활습관 관련 정보 종합 참조)
  21.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자료 기반). 남성 난임의 진단 및 치료. (삼성미래여성병원 남성난임 클리닉, 네이버 블로그 남성불임검사 최소 2회 이상 등 참조)
  22. 맘스홀릭베이비 (네이버 카페). (2021, 03월 02일). 정액검사 검사결과는 어떻게 해석하나요? [온라인 포럼 게시물]. https://m.blog.naver.com/mamapapa14/222784020061 (일반인 질문 참고용)
  23. 네이버 블로그 (ejjoo85). (2024, 7월 7일). 40대 남편 정액검사 결과지 및 비거주자 신분 정액검사비용. https://blog.naver.com/ejjoo85/223508024287?viewType=pc (결과지 참고용)
  24. Agarwal, A., Parekh, N., Panner Selvam, M. K., Henkel, R., Shah, R., Homa, S. T., … & Cho, C. L. (2019). Empirical medical therapy in idiopathic male infertility: Promise or panacea?.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3), 123-137. doi:10.1210/js.2019-00034. https://www.ecerm.org/journal/view.php?viewtype=pubreader&number=107
  25. 메디팜헬스뉴스. (2015, 10월 29일). 급증하는 남성 불임, 마카로 정자 건강부터 챙겨야. https://www.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27035
  26. 메디팜헬스뉴스. (2020, 11월 19일). 구기자, 토사자,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등 오자연종환 등 한약…”난임 치료 효과”. https://medipharmhealth.co.kr/mobile/article.html?no=68701
  27. 윤상진. (2017). 남성 난임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 원인, 생식 건강 증진법, 임신 성공률 제고를 위한 성생활법 및 대표처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70544ed3d0c426dd18150b21a227875
  28. 하이닥. (2022, 7월 18일). 아이를 기다리는 부부에게 “난임, 극복할 길 있다” [인터뷰].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