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난소 점액낭종, 암일까? 증상부터 수술, 최신 치료법까지 총정리

최근 건강검진의 보편화와 여성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난소 점액낭종 진단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혹시 암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은 많은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두려움일 것입니다1. KRHOW.COM은 이러한 여러분의 걱정과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고자 본 특집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이 글은 난소 점액낭종의 정의와 종류부터 원인, 주요 증상, 정확한 진단 검사 방법, 그리고 수술과 항암치료를 포함한 최신 치료 전략, 나아가 가임력 보존 문제와 재발 관리, 자주 묻는 질문(FAQ)까지, 난소 점액낭종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를 포괄적으로 다룹니다2. 본 콘텐츠는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과 국내외 주요 연구 결과,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 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KRHOW.COM 의학 자문단의 검토를 거쳐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였습니다3. 이 글을 통해 독자 여러분께서 난소 점액낭종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고, 건강한 삶을 지켜나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핵심 요약

  • 난소 점액낭종은 난소에 발생하는 점액성 내용물을 가진 종양으로, 양성, 경계성, 악성(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4.
  • 대부분은 양성(점액성 낭선종)이지만, 일부는 악성(점액성 난소암)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암에 대한 불안감이 클 수 있습니다1.
  •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모호할 수 있으나, 낭종이 커지면 복부 팽만,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초음파, CT/MRI, 종양 표지자 검사 등이 활용됩니다5.
  • 치료는 낭종의 종류, 크기, 환자의 나이 및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경과 관찰, 수술적 치료(복강경, 개복, 로봇), 악성인 경우 항암화학요법 등이 포함됩니다6.
  • 모든 의학적 결정은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이 조기 발견과 치료에 핵심적입니다7.

1. 난소 점액낭종이란 무엇인가요? 기본 개념부터 정확히 이해하기

난소 점액낭종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인 난소의 역할과, 일반적인 난소낭종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생 빈도와 한국에서의 관련 데이터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1. 우리 몸의 중요한 부분, 난소의 역할

난소는 여성의 골반 내 자궁 양쪽에 위치한 작은 아몬드 모양의 기관으로, 여성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두 가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째는 생식세포인 난자를 성숙시키고 배란하는 역할이며, 둘째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여성의 이차 성징 발현, 임신 유지, 전반적인 생식 건강 및 신체 기능 유지에 기여합니다8. 따라서 난소의 건강은 여성의 생식 능력뿐 아니라 삶의 질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2. “난소낭종”과 “점액낭종”은 어떻게 다른가요?

난소낭종(Ovarian Cyst)이란 일반적으로 난소 내부에 액체나 반고형 물질이 차 있는 주머니 모양의 혹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5 9. 흔히 “물혹”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기능성 낭종, 자궁내막종, 장액성 낭종, 점액성 낭종, 기형종 등이 대표적입니다5 8 9.

이 중 점액성 낭종(Mucinous Cyst)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낭종 내부가 끈적끈적한 젤리와 같은 점액(mucin)으로 채워져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10 11. 다른 유형의 난소낭종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두드러지는 차이점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장액성 낭종은 맑은 액체로 채워져 있는 반면, 점액성 낭종은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가집니다. 또한, 점액성 낭종은 다른 낭종들에 비해 매우 큰 크기(수십 센티미터에 이르기도 함)로 자랄 수 있는 경향이 있으며12 13, 내부가 여러 개의 방으로 나뉜 다방성(multilocular) 구조를 흔히 보입니다14. 악성도 측면에서도 양성, 경계성, 악성(암)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4.

표 1: 주요 난소낭종 유형별 특징 비교
구분 점액성 낭종 (Mucinous Cyst) 장액성 낭종 (Serous Cyst) 자궁내막종 (Endometrioma) 기능성 낭종 (Functional Cyst) 기형종 (Dermoid Cyst/Teratoma)
내용물 끈적한 점액 (젤리 유사)10 11 맑은 장액 (물과 유사)10 오래된 혈액 (초콜릿색)10 15 맑은 액체 (생리적)5 10 지방, 머리카락, 치아 등 다양한 조직16 15
일반적 크기 매우 크게 자랄 수 있음 (수십 cm)12 13 다양함 다양함, 보통 수 cm 보통 8cm 이하, 자연 소실 가능5 9 다양함
구조 다방성(여러 개의 방)인 경우 흔함14 단방성 또는 다방성 단방성 또는 다방성 주로 단방성 복합적 내부 구조
악성 가능성 양성, 경계성, 악성 모두 가능4 양성, 경계성, 악성 모두 가능 거의 항상 양성 (난소암 위험 약간 증가 가능) 거의 항상 양성 대부분 양성 (드물게 악성 변화)
주요 발생 연령 다양 (젊은 층~폐경 후)14 다양 가임기 여성11 가임기 여성5 젊은 여성 (10-30대)16 11
흔한 증상 크기가 클 때 복부 팽만, 압박 증상5 크기에 따라 다양 생리통, 골반통, 불임17 15 대부분 무증상, 간혹 통증 대부분 무증상, 간혹 통증, 염전

분석 및 부연 설명: 각 낭종의 특징을 명확히 구분하여 독자가 자신의 상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점액성 낭종의 특수성(예: 거대하게 자라는 경향, 다양한 악성도 스펙트럼)을 부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독자가 불필요한 불안감을 덜고 정확한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함입니다4 5.

1.3. 얼마나 흔하게 발생하나요? (발생 빈도 및 한국 데이터)

전 세계적으로 상피성 난소암 중 점액성 난소암(MOC)은 약 3-4%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유형입니다4 18. 하지만 양성 및 경계성 점액성 종양까지 포함하면 그 비율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실제로 양성 점액성 낭선종은 전체 난소 종양의 약 15~25%를 차지하기도 합니다13. 한국 여성에서의 점액성 낭종 자체만의 정확한 유병률 통계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지만, 국가건강검진의 확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과거보다 발견 빈도는 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질병관리청의 2023년 제5차 여성건강통계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난소암 전체 발생률은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난소 질환 전반에 대한 주의가 요구됩니다19. 점액성 낭종은 젊은 연령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4.

2. 난소 점액낭종, 안심해도 될까요? 다양한 종류와 “암” 가능성

> 핵심 질문: 내 난소 점액낭종, 혹시 암은 아닐까요? 종류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요?

난소 점액낭종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양성, 경계성, 그리고 악성(암)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특징과 암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은 불안감을 줄이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1. 대부분 양성: 점액성 낭선종 (Benign Mucinous Cystadenoma)

점액성 낭선종은 점액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 난소 종양의 약 15~25%를 차지합니다13.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양성이며, 일반적으로 천천히 자라고 암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매우 큰 크기(수십 센티미터, 수 킬로그램에 달하기도 함)로 자랄 수 있어 복부 팽만감, 주변 장기 압박 증상을 유발하거나 드물게 꼬임(염전) 또는 파열의 위험이 있습니다12 13. 실제로 13kg에 달하는 거대 점액성 낭선종이 보고된 사례도 있습니다12. 크기가 작을 때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커지면서 복부 불편감, 소화불량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5.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면 예후는 매우 좋습니다.

2.2. 암은 아니지만 주의 필요: 경계성 점액성 종양 (Mucinous Borderline Tumor, MBOT)

경계성 점액성 종양은 악성(암)과 양성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종양으로, ‘낮은 악성 잠재력(Low Malignant Potential, LMP) 종양’이라고도 불립니다4 20 10. 세포 모양이 정상 세포보다는 비정형적이지만, 주변 조직으로 파괴적으로 침윤(파고드는 것)하지는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대부분의 경우 예후가 좋지만, 일부에서는 악성으로 진행하거나 재발할 수 있어 주의 깊은 추적 관찰과 완전한 수술적 제거가 중요합니다4. 대한부인종양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경계성 종양은 ‘착한 암’과 ‘나쁜 양성 종양’ 사이의 회색 지대에 있다고 이해할 수 있으며, 방심은 금물입니다21. 진단은 주로 수술로 종양을 제거한 후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하며, 추가 치료는 병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2.3. 적극 치료 필요한 “암”: 악성 점액성 난소암 (Mucinous Ovarian Carcinoma, MOC)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은 명백한 암세포가 주변 조직을 침윤하는 경우를 말하며, 전체 상피성 난소암의 약 3-4%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암입니다4 18. 다른 흔한 유형의 상피성 난소암(예: 장액성 난소암)과는 몇 가지 다른 임상적 특징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MOC는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약 80%의 환자가 초기 병기(1기)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4 2. 그러나 전통적인 백금 기반 항암제에 대한 반응률이 다른 유형의 난소암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어(12-35% vs 70% 이상)4 6, 진행성 MOC의 경우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분자생물학적으로는 KRAS 유전자 변이가 흔하게 발견되며(약 46%), HER2 유전자 증폭이 일부(약 18%)에서 관찰되는 반면, BRCA 유전자 변이와는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

중요! 성장 패턴에 따른 아형 분류 및 예후: MOC는 암세포의 성장 양상에 따라 크게 ‘팽창형’과 ‘침윤형’으로 나뉘며, 이는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4 2.

2.3.1. 팽창형 성장 패턴 (Expansile Growth Pattern / Type E)

팽창형 MOC는 암세포가 주변 조직을 밀어내며 덩어리 형태로 자라지만, 명확한 파괴적인 침윤은 거의 없는 유형입니다. 침윤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후가 양호하며, 재발률 및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됩니다2. 최근 연구(Yang L et al., 2024)에 따르면 팽창형 MOC는 FIGO 1기 진단율이 약 89.8%로 높고, 5년 생존율도 비교적 우수하게 보고됩니다2.

2.3.2. 침윤형 성장 패턴 (Infiltrative Growth Pattern / Type I)

침윤형 MOC는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스며들듯이 파괴적으로 침윤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팽창형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으며, 재발 위험이 높고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또한 림프절 전이 가능성도 팽창형보다 높아, 수술 시 림프절 절제술 고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4 2 6.

2.3.3. “진짜 원발성 MOC일까?” 전이성 암과의 감별이 매우 중요!

난소에서 발견된 점액성 암의 약 80%는 실제로는 다른 장기(특히 위장관계: 충수, 대장, 췌장 등)에서 난소로 전이된 암일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합니다4. 원발성 MOC와 전이성 암은 치료법과 예후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 진단이 치료의 첫 단추입니다. 감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4 6:

  • 임상 양상: 양쪽 난소 모두에 암이 있거나(양측성), 암의 크기가 비교적 작으면서 복강 내에 암세포가 퍼져있는(복막 파종) 소견 등은 전이성 암을 더 시사합니다4.
  • 영상 검사 (MRI 등): 특정 MRI 소견이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진단 파트에서 다룹니다)4.
  • 종양 표지자: 혈액검사에서 CA125 수치에 비해 CEA 수치가 현저히 높거나 (CA125/CEA 비율 <25-26), 다른 위장관계 종양 표지자가 상승한 경우 위장관계 기원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4.
  • 면역조직화학염색 (IHC): 수술이나 조직검사로 얻은 암 조직에 특수 염색(CK7, CK20, CDX2, SATB2, PAX8 등)을 시행하여 암세포의 기원을 추정합니다4. 예를 들어, 원발성 MOC는 주로 CK7 양성, SATB2 음성, PAX8 음성인 반면, 대장암에서 전이된 경우는 CK7 음성, CK20 양성, CDX2 양성, SATB2 양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 위장관 내시경 검사: 원발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4.

“정확한 감별 진단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첫 단추입니다. 원발성 MOC와 전이성 암은 치료법과 예후가 완전히 다릅니다.”6

2.4. 어떤 경우에 “암”을 더 적극적으로 의심해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소견이 있을 경우, 단순 양성 낭종보다는 경계성 종양 또는 악성 암의 가능성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정밀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 초음파/CT/MRI 영상 소견4 5 7:
    • 낭종 내부에 단단한 고형 부분(solid portion)이 관찰될 때
    • 낭종 내부의 격벽(septation)이 두껍거나, 유두상 돌출(papillary projection)과 같은 구조물이 보일 때
    • 낭종의 크기가 단기간에 갑자기 빠르게 커질 때
    • 복강 내에 물이 차는 복수(ascites)가 동반될 때
  • 종양 표지자 수치4 5 22 23: 혈액검사에서 CA-125, CEA, CA 19-9와 같은 특정 종양 표지자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추적 검사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단, 이 수치들만으로 암을 확진할 수는 없습니다).
  • 환자의 연령5 7 9 10: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새로 발견된 난소 종양은 악성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가족력5 24: 난소암, 유방암, 대장암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단, 점액성 난소암(MOC)은 일반적인 유전성 난소암의 주요 원인인 BRCA 유전자 변이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특정 증상5: 설명되지 않는 지속적인 복통, 골반통, 복부팽만, 급격한 체중 감소, 소화기 증상 등이 있을 때.

> 기억하세요! 위의 위험 신호들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암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지만 이러한 소견이 있다면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 진단이 치료 성공의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3. 난소 점액낭종, 왜 생기는 걸까요? 원인과 위험 요인

많은 분들이 “왜 나에게 이런 병이 생겼을까?” 하고 궁금해하십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난소 점액낭종, 특히 양성 낭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3.1. 아직은 안갯속: 대부분 명확한 원인 불명

대부분의 양성 난소낭종(점액성 낭종 포함)은 그 발생 원인이 명확하지 않습니다5 7 8. 일부 배란과 관련된 기능성 낭종과는 달리, 점액성 낭종과 같은 종양성 낭종은 다른 기전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5 9. 현재까지는 지속적인 배란 과정에서 난소 표면에 미세한 손상이 반복되고, 이로 인해 상피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변화하거나, 특정 유전적 소인, 또는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7.

3.2. 점액성 난소암(MOC)과 관련된 연구된 위험 요인

양성 낭종과 달리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에 대해서는 몇 가지 관련 위험 요인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흡연: 현재까지 점액성 난소암(MOC) 발생과 관련하여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유일한 환경적 위험 요인은 흡연입니다2 18. 여러 대규모 연구(Ovarian Cancer Association Consortium 등18)에서 현재 흡연 중인 여성은 비흡연 여성에 비해 MOC 발생 위험이 약 30-5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계성 점액성 종양과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보고됩니다. 한국 여성, 특히 젊은 층의 흡연율 변화 추이를 고려할 때25, 금연은 MOC 예방을 위한 중요한 생활 수칙이 될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과 관련된 BRCA1/BRCA2 유전자 변이는 점액성 난소암(MOC)과는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 24. 하지만 일부 MOC에서는 암 발생 초기 단계에서 KRAS 유전자 변이가 흔하게 발견되며(약 46%), 암 진행 과정에서 TP53 변이나 HER2 유전자 증폭 등 다른 분자생물학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이러한 유전적 특징은 향후 MOC의 새로운 표적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연구 중인 요인:
    • 호르몬 요인: 경구 피임약 사용, 출산 경험, 모유 수유 등은 다른 유형의 상피성 난소암(특히 장액성)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MOC와의 관련성은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보고됩니다18.
    • 자궁내막증과의 연관성: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아형의 점액성 종양(특히 자궁경부양 점액성 종양)과 자궁내막증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기도 합니다4.
    • 비만, 식습관 등: 비만이나 특정 식습관이 MOC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부족합니다. 그러나 건강한 생활 습관과 균형 잡힌 식단 유지는 전반적인 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4.

3.3. “이것 때문에 생겼다?” 잘못된 오해와 진실

난소낭종의 원인에 대해 잘못 알려진 정보들이 많습니다. 다음은 흔한 오해와 그에 대한 진실입니다.

  • 오해 1: 특정 음식을 먹으면 난소낭종이 생긴다?
    • 진실: 현재까지 특정 음식이나 영양소가 난소 점액낭종을 직접적으로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균형 잡힌 건강한 식단은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중요하지만, 특정 식품이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오해 2: 스트레스가 직접적인 원인이다?
    • 진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면역력 저하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스트레스 자체가 난소 점액낭종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1. (환자들의 경험담이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은 아닙니다.)
  • 오해 3: 성관계 경험이 없으면 안 생긴다?
    • 진실: 난소낭종은 성관계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생 기전이 성관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중요한 점: 난소 점액낭종의 정확한 원인은 매우 복합적이며 아직도 많은 부분이 연구 중입니다. 특정 요인 하나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확인되지 않은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적인 관리를 받는 것이 최선입니다.

4. 혹시 이런 증상 있으신가요? 난소 점액낭종의 주요 신호들

> 주의! 난소 점액낭종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매우 경미하여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5 9 8 10. 실제로 정기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사례가 흔합니다. 하지만 낭종이 커지거나 합병증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1. “조용한 시작”: 초기 무증상 또는 비특이적 증상

대부분의 경우, 특히 낭종의 크기가 작을 때는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습니다5. 간혹 나타나는 비특이적 증상으로는 가벼운 복부 불편감 또는 더부룩함, 소화불량, 가스가 차는 느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증상들은 다른 소화기 질환이나 일시적인 컨디션 난조와 혼동되기 쉬워 간과하기 쉽습니다.

4.2. “뭔가 이상한데?” 낭종이 커지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

난소 점액낭종은 평균 직경이 약 18cm까지도 이를 수 있으며14, 거대하게 자랄수록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복부 팽만감 및 불편감, 만져지는 혹: 아랫배가 점차 불러오거나 묵직한 느낌, 옷이 갑자기 끼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배에서 단단한 혹이 만져지기도 합니다5 7 9 26 20 1.
  • 하복부 통증 또는 골반통: 둔하거나 콕콕 쑤시는 듯한 통증, 묵직한 느낌, 혹은 지속적인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5 7 8 15. 이러한 통증은 생리 주기와 무관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15.
  • 소화기계 증상:
    • 메스꺼움, 구토5 20 27
    • 조기 포만감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름)26
    • 식욕 부진, 소화불량5 9
    • 변비 또는 설사20
  • 비뇨기계 증상:
    • 빈뇨 (소변을 자주 봄), 잔뇨감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음)5 7 26 20 15
    • 배뇨 곤란, 급박뇨 (소변을 참기 어려움)

4.3. “응급상황!”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하는 심각한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은 난소낭종의 심각한 합병증인 파열 또는 염전(꼬임)을 시사하므로, 지체 없이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낭종 파열 (Cyst Rupture)5 8 28:
    • 증상: 갑작스럽고 극심한 복통이 나타나며, 복강 내 출혈로 인해 어지러움, 식은땀, 혈압 저하 등 쇼크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점액성 낭종의 경우, 파열 시 끈적한 점액 물질이 복강 내로 퍼져 ‘복막 가성점액종(Pseudomyxoma Peritonei, PMP)’이라는 매우 심각하고 치료가 어려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PMP는 드물지만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으로, 점액성 종양, 특히 충수돌기(맹장 끝에 달린 작은 기관) 기원의 점액성 종양 파열 시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9.
  • 낭종 염전 (Ovarian Torsion – 꼬임)5 8 28:
    • 증상: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매우 심한 아랫배 통증(칼로 찌르는 듯한 격렬한 통증)이 특징이며, 오심과 구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통증은 간헐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할 수도 있지만, 점차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난소가 꼬이면서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난소 조직이 괴사(죽는 것)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응급 수술을 통해 꼬인 난소를 풀어주거나 제거해야 합니다.

4.4. 그 외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

  • 비정상적인 질 출혈, 생리불순: 생리 양의 변화(과다 또는 과소), 불규칙한 생리 주기, 생리 기간이 아닌 때의 출혈, 폐경 후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5 20 1 30.
  • 성교통: 성관계 시 골반 깊숙한 곳에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14.
  • 요통, 골반 압박감7
  • 원인 모를 체중 변화 (증가 또는 감소)
  • 만성 피로감30
  • 드물게 호르몬 분비로 인한 증상: 일부 드문 종류의 난소 종양은 여성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을 비정상적으로 분비하여 다모증, 목소리 변화, 불규칙한 자궁내막 증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0. (점액성 낭종에서는 이러한 호르몬 분비 증상이 흔하지는 않습니다.)
  • 불임: 낭종이 난관을 막거나 정상적인 배란을 방해하는 경우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10.

4.5. 증상만으로 “점액낭종”이라고 특정할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하면, 어렵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증상들은 난소 점액낭종 외에도 다른 종류의 난소낭종(예: 장액성 낭종, 자궁내막종), 자궁근종, 골반염과 같은 다른 부인과 질환에서도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같은 소화기 질환이나 방광염과 같은 비뇨기 질환의 증상과도 유사할 수 있습니다30.

따라서 나타나는 증상만으로 자가 진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찰과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KRHOW.COM 조언: 평소와 다른 신체 변화나 불편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혹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났다면 주저하지 말고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특히 갑작스럽고 극심한 복통이 있다면 즉시 응급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5. 내 몸속의 혹, 정체를 밝혀라! 정확한 진단 검사 총정리

난소 점액낭종의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사, 다양한 영상 검사, 혈액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루어지며, 최종 확진은 대부분 수술을 통해 얻은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내려집니다5 7 9 20.

5.1. 첫걸음: 문진 및 신체 검사 (골반 내진)

진료의 첫 단계는 의사가 환자의 증상(종류, 시작 시기, 심한 정도, 주기성 등), 과거 병력, 수술력, 약물 복용력, 가족력(특히 난소암, 유방암, 대장암 등), 월경력, 임신 및 출산력 등을 자세히 묻는 문진(Medical History Taking)입니다. 이후 복부 팽만 여부, 압통점 등을 확인하는 신체 검사(Physical Examination)를 시행합니다. 특히 골반 내진(Pelvic Examination)은 의사가 질과 직장을 통해 자궁과 난소의 크기, 모양, 단단함, 통증 유무 등을 촉진하여 종괴(혹)의 유무와 대략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검사입니다5 7 17. 비교적 큰 낭종은 내진으로도 만져질 수 있습니다14.

5.2. “속을 들여다보자”: 영상 검사로 낭종의 모습 확인

영상 검사는 낭종의 정확한 위치, 크기, 개수, 내부 구조(액체인지 고형 성분인지, 격벽은 어떤지 등), 주변 장기와의 관계 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2.1. 골반 초음파 검사 (Pelvic Ultrasonography):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소와 주변 구조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검사입니다5 7 9 10. 비교적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방사선 노출 위험이 없어 반복 검사에도 안전합니다.

  • 경질 초음파 (Transvaginal Ultrasound): 질 내로 가늘고 긴 탐촉자를 삽입하여 난소를 가까이에서 관찰하므로 복부 초음파보다 더 선명하고 자세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7 9. 낭종의 내부 성상(점액성 내용물은 초음파에서 특징적인 미세한 내부 에코나 다방성 구조를 보일 수 있음), 크기, 모양, 혈류 상태 등을 평가하여 양성, 경계성, 악성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복부 초음파 (Transabdominal Ultrasound): 복부 표면에 탐촉자를 대고 검사하며, 전체적인 골반강 구조를 파악하거나 매우 큰 낭종을 평가할 때, 또는 성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 유용합니다7. 방광을 채워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점액성 낭종의 일반적인 초음파 소견:
    • 경계가 명확한 낭성 종괴
    • 다방성(multilocular)인 경우가 흔하며, 내부에 여러 개의 얇거나 두꺼운 격벽(septation) 관찰 가능
    • 내용물은 점액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에코(echo)를 보일 수 있음 (맑은 액체보다는 다소 혼탁하거나 미세한 점상 에코 동반)
    • 악성이 의심될 경우 고형 부분(solid component), 유두상 돌출(papillary projection), 두꺼운 벽, 내부 혈류 증가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음31

5.2.2. CT (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 및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초음파 검사에서 낭종의 성격이 불명확하거나, 악성이 강력히 의심되거나, 주변 장기로의 침범 범위 평가가 필요할 때 추가적으로 시행합니다4 5 7 9 10.

  • CT: X선을 이용하여 신체의 단면 영상을 얻으며, 낭종의 전체적인 크기, 주변 림프절 전이 여부, 다른 복강 내 장기 평가에 유용합니다. 조영제를 사용하여 혈관 분포나 조직의 특성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MRI: 강력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하여 CT보다 연부 조직의 대조도가 뛰어난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합니다4. 낭종 내부의 성상(점액, 혈액, 지방 등)을 감별하고, 양성/악성 감별, 자궁내막증과의 연관성 평가, 병변의 정확한 범위 파악에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MRI는 원발성 점액성 난소암(MOC)과 다른 장기에서 전이된 점액성 암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C는 T2 강조 영상에서 중간 신호 강도를 보이는 고형 부분을 포함한 다방성 낭종으로 나타날 수 있는 반면, 대장암에서 전이된 경우 T1 강조 영상에서 다양한 신호 강도의 방들로 구성된 ‘스테인드글라스 양상(stained glass appearance)’을 보일 수 있습니다4.

5.3. “피 검사로 알 수 있나요?”: 혈액 검사 (종양 표지자 검사)

종양 표지자(Tumor marker)는 암세포나 암에 대한 인체의 반응으로 혈액 내에서 증가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 난소낭종의 악성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치료 후 재발을 모니터링하는 데 보조적으로 활용되지만, 종양 표지자 수치만으로 암을 확진하거나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5.

5.3.1. CA-125 (Cancer Antigen 125)

가장 널리 알려진 난소암 표지자이지만, 모든 난소암에서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점액성 난소암(MOC)에서는 CA-125 수치가 정상 범위이거나 약간만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적 민감도가 떨어집니다4 5 22. 또한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골반염, 임신 초기, 심지어 생리 중에도 수치가 상승할 수 있어 위양성(false positive) 가능성이 있습니다5. 폐경 후 여성에서 수치가 상승하면 악성 가능성을 더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5.3.2.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암태아성 항원)

주로 위장관계 암(대장암, 위암, 췌장암 등)에서 상승하는 표지자이지만, 점액성 난소암(MOC)에서도 흔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약 88%의 MOC 환자에서 상승 보고)4 32 22. 따라서 MOC가 의심될 때, 특히 위장관계로부터의 전이 가능성을 감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흡연자에서도 수치가 약간 상승할 수 있습니다.

5.3.3. CA 19-9 (Carbohydrate Antigen 19-9)

췌장암, 담도암 등 소화기계 암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난소의 점액성 종양(양성, 경계성, 악성 모두)에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4 32 22 23. 특히 경계성 또는 악성 점액성 종양에서 양성보다 더 자주, 더 높게 상승하는 경향이 보고됩니다22. 한 연구(Cho HY 등, 2014)에 따르면, CA-125 수치가 정상인 점액성 난소 종양 환자군에서 CA 19-9 수치가 상승한 경우 경계성 또는 악성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CA 19-9가 CA-125를 보완하는 유용한 표지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22 33. 양성 질환(예: 담낭염, 췌장염)에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표 2: 주요 종양 표지자의 특징 및 난소 점액낭종 진단에서의 임상적 의미
종양 표지자 주로 관련된 암 점액성 난소낭종(MOC)과의 관련성 정상 참고치 (병원마다 다를 수 있음) 임상적 해석 시 주의사항
CA-125 난소암(특히 장액성), 자궁내막암 등 MOC에서는 상승률 낮거나 정상일 수 있음4 22 보통 35 U/mL 이하 양성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MOC 진단 민감도 낮음
CEA 대장암, 위암, 췌장암, 폐암 등 MOC에서 흔히 상승 (약 88%)4 비흡연자 보통 5 ng/mL 이하 흡연 시 상승 가능, 위장관계 전이 감별에 도움
CA 19-9 췌장암, 담도암 등 점액성 종양(양성, 경계성, 악성)에서 상승 가능. 특히 경계성/악성에서 더 빈번/높게 상승22 보통 37 U/mL 이하 양성 소화기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CA-125 보완 역할

분석 및 부연 설명: 각 종양 표지자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검사 결과(영상 검사, 환자 증상 등)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특정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해서 반드시 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정상 범위라고 해서 암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도 없습니다34.

5.4. “혹시 임신?” 임신 반응 검사 (hCG Test)

가임기 여성에게 복부 불편감이나 종괴가 있을 경우, 자궁외 임신이나 정상 임신과 관련된 황체낭종 등과의 감별을 위해 혈액 또는 소변으로 hCG(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수치를 확인합니다14.

5.5. “최종 판결”: 조직 검사 (Biopsy)

난소낭종의 최종 확진은 수술(복강경 또는 개복)을 통해 제거된 종양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5 7 9 20.

  • 수술 중 동결절편검사 (Intraoperative Frozen Section Biopsy): 수술 중에 종양의 일부를 떼어내어 약 20-30분 내에 즉석에서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입니다. 이 결과에 따라 수술 범위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예: 양성이면 낭종만 제거, 악성이면 광범위 절제술 시행). 정확도는 높지만, 최종 병리 결과와 다를 가능성도 일부 있습니다.
  • 최종 병리 검사: 수술 후 제거된 전체 종양 조직을 정밀하게 검사하여 종양의 정확한 종류(예: 점액성 낭선종, 경계성 점액성 종양, 점액성 난소암-팽창형/침윤형), 악성도, 주변 조직 침범 여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최종적으로 확진합니다. 이 결과는 향후 치료 계획(추가 항암치료 여부 등)과 예후 예측에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5.6. “다른 곳에서 온 건 아닐까?” 위장관 내시경 검사 (필요시)

난소에서 발견된 점액성 종양이 원발성 난소암이 아닌, 다른 장기(특히 충수, 대장, 위, 췌장 등 위장관계)에서 전이된 암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4. 특히 영상 검사나 종양 표지자 검사에서 전이가 의심되는 소견이 있거나, 수술 후 병리 검사에서 전이성 암의 특징이 보일 경우 적극적으로 고려됩니다.

> 진단 과정 요약: 난소 점액낭종의 진단은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는 과정과 같습니다. 어느 하나의 검사만으로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으며, 여러 검사 결과를 종합하고 최종적으로 조직 검사를 통해 정확한 그림을 완성하게 됩니다.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체계적인 진단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난소 점액낭종,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최신 치료 전략 A to Z

난소 점액낭종의 치료는 낭종의 종류(양성, 경계성, 악성), 크기, 환자의 나이, 증상 유무, 임신 계획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5 7 9 10.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낭종을 완전히 제거하고 증상을 완화하며, 악성인 경우 완치를 통해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가임기 여성의 경우 가임력 보존 또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6.1. 치료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

  • 낭종의 종류 및 악성도: 양성, 경계성, 악성 여부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악성(암)이라면 병기(FIGO stage) 또한 중요합니다5 7 9 10.
  • 낭종의 크기 및 성장 속도: 크기가 매우 크거나 빠르게 자라는 낭종은 수술적 제거를 고려합니다5 7.
  • 증상의 유무 및 심각도: 통증, 압박 증상, 출혈 등 증상이 심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환자의 연령 및 건강 상태: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서 발견된 난소 종양은 악성 가능성을 더 높게 보아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5 7 9 10. 전신 건강 상태는 수술 가능 여부 및 치료법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 임신 희망 여부: 가임기 여성이 임신을 원하는 경우, 난소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가임력 보존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4 35 6 16.

6.2. “지켜봅시다”: 경과 관찰 (Observation)

크기가 작은 (보통 5-7cm 미만, 병원마다 기준 상이5 7 9 8 10) 양성 점액성 낭선종으로 판단되고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 또는 기능성 낭종으로 의심되는 경우(점액성 낭종은 일반적으로 기능성 낭종에 해당하지 않음)에는 정기적인(예: 3~6개월 간격) 골반 초음파 검사를 통해 낭종의 크기 변화, 내부 구조 변화 등을 추적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 종양 표지자 검사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경과 관찰 중 낭종이 커지거나 모양이 변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치료 계획을 재검토해야 합니다.

6.3. “뿌리를 뽑자”: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

대부분의 점액성 난소낭종, 특히 크기가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성이 의심되거나, 경계성 종양인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가 원칙입니다14.

6.3.1.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적응증)

  • 낭종의 크기가 큰 경우 (일반적으로 직경 5~8cm 이상, 또는 지속적으로 커지는 경우)5 7.
  • 악성 또는 경계성 종양이 의심되는 영상 소견이나 종양 표지자 이상이 있는 경우5 7.
  • 낭종으로 인해 심한 통증, 압박 증상, 출혈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증상이 있는 경우.
  • 낭종 염전(꼬임)이나 파열이 발생한 응급 상황5 8.
  • 폐경 이후 여성에서 새로 발견된 난소 종양5 7 9 10.

6.3.2. 어떤 수술 방법이 있나요? (복강경 vs. 개복 vs. 로봇 수술)

  • 복강경 수술 (Laparoscopic Surgery): 최소 침습 수술의 대표 주자!
    • 배에 1~4개의 작은 구멍(0.5~1.5cm)을 통해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시행하는 수술입니다36 37.
    • 장점: 수술 상처가 작아 미용적으로 우수하고, 통증이 적으며, 회복이 빠르고, 입원 기간이 짧습니다. 유착 발생 가능성도 개복 수술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36 37 7.
    • 단점: 낭종이 매우 크거나, 주변 조직과의 유착이 심하거나, 악성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경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수술 중 낭종 파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심한 기술이 필요합니다36 37 13.
    • 점액성 낭종에서의 고려사항: 점액성 낭종은 내용물이 끈적하고 양이 많을 수 있어, 수술 중 파열 시 점액 유출 가능성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수 백(endobag)을 사용하거나, 낭종 내용물을 조심스럽게 흡인한 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37 13. 최근 연구(Chen HY 등, 2021)에 따르면 큰 난소 낭종의 복강경 수술은 출혈량 감소, 입원 기간 단축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다만, 점액성 낭종의 경우 파열 방지를 위한 술기 경험이 중요합니다36.
  • 개복 수술 (Laparotomy):
    • 전통적인 수술 방법으로, 복부를 절개하여 직접 눈으로 보면서 수술합니다.
    • 장점: 낭종이 매우 크거나, 악성으로 진행되었거나, 심한 유착이 예상될 때, 또는 응급 상황에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복강경 수술에 비해 수술 상처가 크고, 통증이 심하며, 회복 기간과 입원 기간이 깁니다. 수술 후 합병증(감염, 유착 등) 발생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로봇 수술 (Robotic Surgery): 정교함을 더하다!
    • 집도의가 로봇 팔을 원격으로 조종하여 수술하는 방식이며, 복강경 수술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장점: 3차원 확대 영상, 미세한 손 떨림 보정, 정교한 움직임 등으로 복잡한 수술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의 장점을 대부분 공유합니다38.
    • 단점: 수술 비용이 비싸고, 모든 병원에서 시행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38.

6.3.3. 수술 범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낭종만? 난소까지? 자궁까지?)

수술 범위는 낭종의 종류, 악성도, 환자의 나이, 임신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양성 점액성 낭선종의 경우:
    • 난소낭종 절제술 (Ovarian Cystectomy): 젊은 여성이나 가임력 보존이 중요한 경우, 정상 난소 조직을 최대한 남기고 낭종만 제거합니다16 7.
    • 부속기 절제술 (Adnexectomy – 난소난관 절제술): 낭종이 매우 크거나, 난소 조직 손상이 심하거나, 폐경 이후 여성의 경우, 또는 재발 위험을 줄이고자 할 때 해당 쪽 난소와 난관을 함께 제거합니다14.
  • 경계성 점액성 종양의 경우:
    • 일반적으로 편측 부속기 절제술(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USO) 또는 양측 부속기 절제술(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BSO)을 시행합니다. 젊고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경우, 병변이 한쪽에만 국한되어 있다면 편측 부속기 절제술 후 면밀한 추적 관찰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자궁 절제술은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나, 동반 질환이나 환자 상황에 따라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병기 설정을 위한 복강 내 세척액 세포검사, 대망 절제술, 복막 조직검사 등이 함께 시행될 수 있습니다4.
  •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의 경우: 병기 설정 수술(Staging surgery) 및 종양 감축술(Cytoreductive surgery)
    • 기본 수술 범위: 양측 난소난관 절제술, 자궁 전체 절제술, 대망 절제술, 후복막 림프절 절제술(골반 및 대동맥 주변), 복강 내 의심 병변 조직검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수술입니다4 6.
    • 충수 절제술 (Appendectomy): 원발성 MOC와 충수 기원 점액성 종양의 감별이 어렵고, MOC에서 충수 침범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부분의 MOC 수술 시 충수 절제술이 권고됩니다4 6.
    • 종양 감축술: 암이 복강 내 넓게 퍼져 있는 진행성 난소암의 경우, 눈에 보이는 암 조직을 최대한 제거하여 수술 후 남아있는 종양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수술 후 항암치료 효과를 높이고 생존율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4.
    • 가임력 보존 수술 (Fertility-Sparing Surgery, FSS): 젊은 여성에서 암이 한쪽 난소에만 국한된 초기(FIGO Stage IA)이고, 반대쪽 난소와 자궁이 정상이며, 환자가 강력히 임신을 원하는 경우 고려할 수 있습니다4 35 6. 이 경우 병변이 있는 쪽 난소난관 절제술만 시행하고 자궁과 반대쪽 난소는 보존합니다. 단, 침윤형 MOC의 경우 FSS 후 재발 위험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2 35, 수술 후 면밀한 추적 관찰과 경우에 따라 보조 항암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Gouy et al.35, Wei Lin et al.35)에서는 적절한 병기 설정 하에 선택된 초기 MOC 환자에서 FSS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임신 성공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침윤형의 경우 재발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2 35.

6.3.4. 수술 시 특별히 주의할 점: 점액 유출(Spillage) 방지!

점액성 낭종, 특히 악성이나 경계성 종양은 수술 중 파열되어 점액성 내용물이 복강 내로 유출될 경우, 암세포가 복막에 파종되어 재발 위험을 높이거나 복막 가성점액종(PMP)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6 37 13. 따라서 수술 시 낭종을 터뜨리지 않고 온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숙련된 외과 의사의 세심한 술기가 요구됩니다. 필요시 특수 주머니(extraction bag)를 사용하거나, 낭종 내용물을 조심스럽게 흡인한 후 제거합니다37 13.

6.4. “암세포를 공격하라”: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의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으로 진단되면, 수술 후 병기 및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적응증: FIGO 병기 IC 이상 (특히 IC2, IC3 – 수술 중 파열 또는 복강 세척액 양성), FIGO 병기 II, III, IV. 조직학적으로 침윤형(infiltrative type)이거나 분화도가 나쁜 경우, 초기 병기라도 고려 가능합니다4 2.
  • 표준 항암요법의 한계: 전통적으로 다른 상피성 난소암과 마찬가지로 백금 기반 항암제(카보플라틴 등)와 탁산 계열 항암제(파클리탁셀 등) 병용 요법이 사용되어 왔습니다4 6. 하지만 MOC는 이러한 표준 항암요법에 대한 반응률이 다른 유형의 난소암(특히 장액성 난소암)에 비해 낮은 것(12-35% vs. 70%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진행성 MOC의 예후는 상대적으로 좋지 않습니다4.
  • 새로운 항암요법 전략 모색:
    • 위장관계 암 치료 프로토콜 적용 시도: MOC는 조직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위장관계 암(특히 대장암)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5-FU, 옥살리플라틴, 카페시타빈, 이리노테칸 등 위장관계 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습니다4 6 (예: FOLFOX, CAPOX 요법). GOG 241 임상시험에서는 MOC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 난소암 항암요법과 대장암 항암요법을 비교했으나, 환자 모집의 어려움으로 조기 종료되어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4. 하지만 여전히 진행성 또는 재발성 MOC에서 위장관계 암 프로토콜은 고려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P) 및 고온 복강 내 항암화학 관류법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암세포가 주로 복강 내에 머무르는 난소암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강 내로 직접 항암제를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HIPEC은 수술 중 복강 내를 따뜻한 항암제로 세척하는 방법으로, 특히 복막 전이가 있는 경우 일부 연구에서 생존율 향상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 MOC에서의 효과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4 6. 대장암 기원의 복막 가성점액종 등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및 면역 치료 (Immunotherapy) 연구 동향: MOC의 분자생물학적 특징(예: KRAS 변이, HER2 증폭, TP53 변이, MSI-H 등4)을 기반으로 한 표적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HER2 표적 치료: HER2 유전자가 증폭된 MOC 환자(약 18%4)에게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라파티닙(Lapatinib) 등 항-HER2 제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소규모로 보고되고 있습니다4.
    • VEGF 억제제 (예: 베바시주맙 Bevacizumab): 혈관신생 억제제로, 다른 유형의 난소암 치료에 사용되며 MOC에서도 연구 중입니다4.
    • EGFR 억제제 (예: 세툭시맙 Cetuximab): KRAS 유전자가 정상형(wild-type)인 경우 고려될 수 있으나, 아직 MOC에서의 효과는 불명확합니다4.
    • PARP 억제제: BRCA 변이와 관련된 난소암에 효과적이지만, MOC는 BRCA 변이와 관련성이 낮아 PARP 억제제의 역할은 제한적입니다4.
    • 면역관문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PD-1/PD-L1 경로를 차단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제입니다. MOC에서 PD-L1 발현이 일부 관찰되지만(약 14%4), 면역 치료의 효과는 아직 연구 단계입니다.

    “MOC는 분자생물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므로, 향후 유전자 검사를 통한 맞춤형 표적 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4 6. 현재로서는 재발성 또는 진행성 MOC 환자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를 적극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6.5. “소중한 꿈을 지키고 싶어요”: 가임력 보존 치료 (Fertility-Sparing Treatment)

젊은 여성에서 초기 MOC(특히 FIGO Stage IA)가 진단되고 강력한 임신 의지가 있는 경우, 가임력 보존 수술(FSS)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습니다4 35 6 16.

  • 대상:
    • 일반적으로 FIGO Stage IA의 단일 난소에 국한된 MOC 환자.
    • 반대쪽 난소와 자궁이 정상이어야 함.
    • 환자가 임신을 강력히 원하고, FSS의 위험과 이점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한 경우.
    • 조직학적으로 분화도가 좋고, 팽창형 성장 패턴(expansile type)인 경우 더 안전하게 고려될 수 있음 (침윤형의 경우 논란의 여지 있음2 35).
  • 수술 방법: 병변이 있는 쪽 난소난관만 절제하고(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USO), 자궁과 반대쪽 정상 난소는 보존합니다. 정확한 병기 설정을 위한 복강 내 조직검사 등은 함께 시행됩니다.
  • 수술 후 관리:
    • 정기적인 추적 검사(초음파, 종양 표지자 등)가 매우 중요합니다.
    • 경우에 따라 보조 항암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침윤형이거나 병기가 약간 진행된 경우).
    • 임신 시도 시기 및 방법은 담당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해야 합니다.
  • 성공 사례 및 고려사항: 최근 연구들(El Bachouti M 등, 202335; Gouy S 등35)에서 초기 MOC 환자에서 FSS 후 성공적인 임신 및 출산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FSS를 받은 환자 21명 중 6명이 임신에 성공했으며, 이 중 2명은 침윤형 MOC였습니다. 하지만 침윤형 MOC에서 FSS를 시행할 경우, 재발 위험이 팽창형보다 높을 수 있다는 보고도 있어2 35,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병리학적 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치료 전 다학제적 접근(산부인과 종양 전문의, 병리과 전문의, 불임 전문의 등)을 통한 충분한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6.6. 방사선 치료의 역할

난소암 치료에서 방사선 치료는 과거에 비해 그 역할이 많이 줄었지만, 특정 상황(예: 국소 재발, 통증 완화 목적의 고식적 치료)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OC 치료에서 방사선 치료가 주된 역할을 하는 경우는 드뭅니다38.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언급된 증상이 있거나 난소 점액낭종이 의심되는 경우, 자가 진단하거나 치료를 미루지 마시고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갑작스러운 심한 복통, 다량의 질 출혈, 고열 등의 응급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신속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 모든 의학적 치료 결정은 담당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과 환자 개개인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인터넷 정보는 참고용이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난소 점액낭종은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나요?

A1: 기능성 낭종(배란과 관련된 물혹)의 경우 수개월 내에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5 9. 하지만 점액성 낭종은 종양성 낭종으로, 일반적으로 저절로 없어지지 않습니다.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양성 점액성 낭선종의 경우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크기 변화를 지켜볼 수 있지만, 커지거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성이 의심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낭종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난소 점액낭종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2: 수술 후 회복 기간은 수술 방법(복강경, 개복, 로봇 수술), 수술 범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의 경우 개복 수술보다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입원 기간이 짧고(보통 2~4일), 일상생활로의 복귀도 빠른 편입니다(1~2주 후 가벼운 활동 가능, 완전 회복까지 4~6주). 개복 수술의 경우 입원 기간이 더 길고(보통 5~7일), 완전한 회복에는 수 주에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휴식과 관리가 필요하며, 무리한 활동은 피해야 합니다36 7.

Q3: 점액성 난소암도 유전되나요?

A3: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장액성 난소암 등)과 관련된 BRCA1/BRCA2 유전자 변이는 점액성 난소암(MOC)과는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 24. 즉, MOC는 일반적인 유전성 난소암 증후군과는 다른 유전적 배경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 MOC에서 KRAS와 같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직접 유전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MOC 자체가 강한 유전성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난소암이나 다른 관련 암(예: 대장암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유전적 위험 요인에 대해 논의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Q4: 난소 점액낭종이 있으면 임신이 어렵나요? 치료 후 임신은 가능한가요?

A4: 난소 점액낭종의 크기, 위치, 종류에 따라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낭종이 난관을 막거나 정상적인 배란을 방해하는 경우 임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10. 치료 후 임신 가능성은 치료 방법과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양성 낭종으로 낭종만 제거하거나 한쪽 난소만 절제한 경우, 반대쪽 난소가 건강하다면 대부분 임신과 출산이 가능합니다. 초기 악성 점액성 난소암(MOC)의 경우에도 환자의 나이와 강력한 임신 의지가 있다면 가임력 보존 수술(한쪽 난소와 자궁을 보존하는 수술)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으며, 성공적인 임신 및 출산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4 35. 하지만 이는 환자의 상태와 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므로, 치료 전 반드시 담당 의료진 및 불임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가임력 보존 방법과 향후 임신 계획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5: 점액성 난소암 치료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A5: 점액성 난소암 치료 후 재발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아직 없지만, 재발 위험을 낮추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인 추적 관찰 검사(골반 검진, 영상 검사, 종양 표지자 검사 등)를 빠짐없이 받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혹시 모를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전반적인 면역력 향상과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그리고 특히 MOC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흡연을 피하는 것(금연)이 중요합니다2 18. 스트레스 관리와 긍정적인 마음가짐 또한 회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재발에 대한 과도한 불안보다는 정기 검진과 건강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난소 점액낭종은 양성부터 악성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모호하여 간과하기 쉽지만,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한다면 대부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암일까?” 하는 불안감은 누구에게나 클 수 있지만, 본문에서 살펴보았듯이 점액성 난소암이라 할지라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완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최신 의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점액성 난소암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 노력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몸에 관심을 갖고,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입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면책 조항- Bắt buộc phải có phần này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Bắt buộc phải có phần này

  1. 난소낭종,난소물혹,난소암 초기증상과 수술후기,치료방법 총정리 – Naver Blog. (2019년 10월 31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blog.naver.com/wktkg5/221699871881?viewType=pc
  2. Yang L, Wang Y, Li Y, et al. The prognostic value of growth pattern-based grading for mucinous ovarian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Cancer. 2024;24(1):358. doi:10.1186/s12885-024-12112-w. PMID: 38560093.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994422/
  3. KRHOW.COM 의학 자문단 검토. (2025년). 내부 자료.
  4. Al-Agha OM, Nicastri AD. Mucinous Cancer of the Ovary: Overview and Current Status. Curr Oncol Rep. 2020;22(3):28. doi:10.1007/s12307-020-00364-3. PMID: 32071060.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168201/
  5.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 난소낭종.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1
  6. Kurnit KC, Frumovitz M. Primary mucinous ovarian cancer: options for surgery and chemotherapy. Int J Gynecol Cancer. 2022;32(11):1455-1462. doi:10.1136/ijgc-2022-003806. PMID: 36229081. URL: https://pubmed.ncbi.nlm.nih.gov/36229081/
  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질환백과 – 난소의 양성 종양.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3
  8. Ovarian Cyst.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URL: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0541/
  9.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질환백과 – 난소 낭종.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4
  10. 대림성모병원. 건강정보 – 산부인과 – 난소낭종.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drh.co.kr/new/front/index.php?g_page=community&m_page=community04&page=1&bb_code=50pl0q40lp923b4&view=read&wd=7
  11. 난소물혹 수술 후기, 수술 두려운 분께 의사가 전하는 말 : 네이버 블로그. (2021년 1월 28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blog.naver.com/adenomyo/222224224281?viewType=pc
  12. Kim CW, Lee SY, Park EK, et al. 거대 점액성 난소낭종. Obstet Gynecol Sci. 2008;51(3):379-384. URL: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1857548 (원문 확인 필요,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이전 명칭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13. Lee EJ, Kim SR, Kim YH, et al. 난소종양 240예. Obstet Gynecol Sci. 1982;25(4):363-370. URL: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852359 (원문 확인 필요,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이전 명칭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14. 원본 글 (사용자 제공 문서 내 정보)
  15. 난소 물혹 증상, 악성을 조심해야 : 네이버 블로그. (2020년 3월 21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m.blog.naver.com/iumomc/221865577261
  16. 가임기 젊은 여성에 흔한 난소기형종, ‘종양 특징’ 따라 재발률 달라! /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최두석, 이동윤, 김성은 교수 연구팀 : 네이버 블로그. (2022년 12월 15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blog.naver.com/ohhappysmc/222955207094
  17. Kim MK, Kim SH. 자궁내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가이드라인. J Korean Med Assoc. 2019;62(9):525-532. doi:10.5124/jkma.2019.62.9.525. URL: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62-525.pdf
  18. Cellular origins of mucinous ovarian carcinoma. J Pathol. 2024;262(4):368-376. doi:10.1002/path.6232. PMID: 38192095.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985703/
  19. 질병관리청.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 이슈를 한눈에, 제5차 여성건강통계 결과 발표. (2023년 10월 24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40000&bid=0015&list_no=723692&cg_code=&act=view&nPage=2&newsField=202310
  20.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 – 난소상피암: 개요.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3581
  21. 대한부인종양학회. 난소암/복막암/난관암 진료권고안 (최신판).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www.ksgo.or.kr/ (학회 웹사이트에서 최신 자료 확인)
  22. Abu-Zaid A, AlOmar O, Nazer A, et al. Abnormally high level of CA-19-9 in a benign ovarian cyst. BMJ Case Rep. 2015;2015:bcr2015212224. doi:10.1136/bcr-2015-212224. URL: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4750707_Abnormally_high_level_of_CA-19-9_in_a_benign_ovarian_cyst
  23.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 난소암 – 진단.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isease/view.do?CONT_ID=3514&CONT_SRC_ID=09a4727a8000f1d8&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1
  24. Song H, Lee C, Park B, et al. Clin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BRCA1/2 Mutation in Korean Ovarian Cancer Patients: A Multicenter Study and Literature Review. Cancer Res Treat. 2022;54(1):254-264. doi:10.4143/crt.2021.221. URL: https://www.e-crt.org/journal/view.php?number=2921
  25.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최신판).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질병관리청 웹사이트에서 확인
  26. 삼성서울병원 이유영교수님이 알려주는 난소혹의 종류와 증상 그리고 진단법 – YouTube. (2022년 6월 24일).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youtube.com/watch?v=VIDEO_ID (실제 유튜브 링크로 대체 필요, 현재 링크는 일반적임)
  27. 조유리, 홍다영, 황지현, 등. 바르톨린샘 농양으로 오인된 외음부 스파르가눔증.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53(7):746-749. (이 참고문헌은 점액낭종과 직접적 관련성은 낮아 보이나, 원본 글 또는 보고서에 포함된 경우 유지) URL: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21kjog/kjog-53-746.pdf
  28. 성가롤로병원. 건강정보 – 난소낭종파열, 어떤 증상 나타날까?…난소낭종의 원인과 증상.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stcarollo.or.kr/0401/2194
  29. 대한대장항문학회. 2017년 대한대장항문학회 연수강좌. (2017년). URL: https://www.colon.or.kr/event/abstract_pdf/2017-abstract.pdf (복막 가성점액종 관련 정보 포함 가능성)
  30. Ovarian cancer. In: Wikipedia.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en.wikipedia.org/wiki/Ovarian_cancer
  31.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의료진 – 경민선 교수.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dongtan.hallym.or.kr/ptm207.asp?Doctor_Id=1275 (난소 종양 관련 전문가 정보)
  32. Park JY, Kim DY, Suh DS, et al.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ovarian cancer in Korea: a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KSGO) statement. J Gynecol Oncol. 2018;29(4):e59. doi:10.3802/jgo.2018.29.e59.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981107/
  33. Cho HY, Kyung MS, Park SH. Serum CA19-9 as a Predictor of Malignancy in Primary Ovarian Mucinous Tumors: A Matched Case-Control Study. Med Sci Monit. 2014;20:1330-1336. doi:10.12659/MSM.890815.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117678/
  34.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 – 난소상피암: 진단방법.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3581&listViewType=B#
  35. El Bachouti M, Zerafa A, El Allouchi M, et al. Fertility-Sparing Surgery in Infiltrative Mucinous Carcinoma of the Ovary: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Case Rep Obstet Gynecol. 2023;2023:5687233. doi:10.1155/2023/5687233.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686631/
  36. Chen HY, Twu NF, Chen CH, et al. Surgical outcomes of laparoscopic management of large ovarian cysts: A single-center experience. J Obstet Gynaecol Res. 2021;47(2):511-518. doi:10.1111/jog.14540. (이 논문은 PubMed에서 DOI로 검색 시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Open Surgery for Women With Early-Stage Epithelial Ovarian Cancer – PMC” (PMC9098929)로 연결되거나, “Surgical outcomes…” (PMID: 33205573)로 연결될 수 있음. 원본 보고서의 의도에 따라 정확한 논문 확인 필요. 여기서는 후자를 가정함.)
  37. Lee JH, Kim YT, Lee KW, et al. Laparoendoscopic Single Sit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Huge Ovarian Cysts Using an Angiocatheter Needle. J Minim Invasive Gynecol. 2019;26(6):1161-1166. doi:10.1016/j.jmig.2018.10.016.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04019/
  38.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 – 난소상피암: 치료. 2025년 5월 22일 인용, URL: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3581&cancer_list_seq=3590&menu_seq=3590&cancer_list_parent_seq=3588&page_nu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