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정액 색깔은 일반적으로 유백색에서 옅은 노란색을 띠며, 금욕 기간, 식단,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1, 4, 6.
- 노란색 정액은 장기간 금욕, 소변 혼입, 특정 음식/약물 섭취 등 일시적 원인도 있지만, 백혈구 증가증, 황달, 전립선염, 성매개감염병 등 의학적 주의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1, 5, 7, 8.
- 붉은색 계열의 정액(혈정액증)은 전립선이나 정낭의 염증, 의료 시술 후, 격렬한 성행위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비뇨생식기 종양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9, 10, 11.
- 녹색 정액은 흔하지 않지만 심각한 감염을 시사할 수 있으며, 정액의 질감 변화(덩어리짐, 묽어짐) 또한 건강 상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1, 6.
- 정액 색깔 변화가 지속되거나 통증, 발열, 분비물, 배뇨 곤란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될 경우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1, 9, 10.
1. 건강한 정액이란 무엇일까요? 정상적인 정액의 특징
정액은 단순히 생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남성 건강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정액의 색깔, 양, 점도 등은 신체 내부의 다양한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1.1. 정상적인 정액 색깔: 유백색부터 옅은 노란색까지
일반적으로 건강한 정액은 유백색, 회백색 또는 옅은 노란색을 띨 수 있습니다 1, 4, 6, 12, 13, 14, 15, 16.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액 검사 지침에서도 정상적인 정액 색깔은 회백색(grey-opalescent)으로 기술되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나 금욕 기간, 섭취하는 음식물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4. 예를 들어, 금욕 기간이 길어지면 정액 내 정자 수가 많아지고 산화된 물질이 포함될 수 있어 일시적으로 더 농축된 노란색을 띨 수 있습니다 1, 15.
1.2. 정액의 구성 성분: 정자, 정낭액, 전립선액 등
정액은 눈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액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생식기관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물질들이 혼합된 복합체입니다 13, 17. 정액의 약 2-5%는 고환에서 생성된 정자로 구성되며, 나머지는 대부분 정낭에서 분비되는 정낭액(65-75%),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전립선액(25-30%), 그리고 요도구선에서 나오는 소량의 액체(<1%)로 이루어집니다 4, 17. 이러한 각 구성 성분들은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예: 과당), 정자를 보호하며(예: 아연, 구연산),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4.
1.3. 정상적인 정액 양, 점도, pH, 냄새
정액의 다른 물리적 특징들도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양: 세계보건기구(WHO)의 2021년 기준에 따르면 정상적인 1회 사정 시 정액 양은 1.4ml 이상입니다 4, 5.
- 점도 및 액화: 건강한 정액은 사정 직후에는 다소 젤리처럼 뭉쳐있다가 일반적으로 60분 이내에 액화되어 물처럼 변합니다 4, 5.
- pH: WHO 기준 정상 정액의 pH는 7.2 이상이며, 일부 유럽 비뇨의학회(EAU) 가이드라인에서는 7.2-7.8 범위를 언급하기도 합니다 4, 5.
- 냄새: 일반적으로 약간의 밤꽃 냄새 또는 비릿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이는 정액 내 스퍼민(spermine)이나 스퍼미딘(spermidine)과 같은 성분 때문입니다 13.
이러한 특징들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일시적인 변화는 정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이거나 현저한 변화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정액 색깔 변화: 원인별 심층 분석 및 건강 영향
정액 색깔의 변화는 남성들이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 중 하나이며,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대부분은 일시적이거나 건강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양성적인 원인이지만, 때로는 질병의 신호일 수도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2.1. 노란색 정액 (Yellow Semen)
정액이 노란색을 띠는 경우는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1.1. 일시적이고 정상적인 원인
- 금욕 기간 장기화 및 정액 농축:오랫동안 사정을 하지 않으면 정액이 농축되어 평소보다 진한 노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1, 6, 7, 12, 14, 16. 이는 정액 내 죽은 정자나 산화된 물질, 또는 오래된 정자 세포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건강상의 문제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1.
- 소변 혼입 (Urine in Semen):사정 시 요도에 남아있던 소량의 소변이 정액과 섞여 나오면서 일시적으로 정액이 노란색을 띨 수 있습니다 1, 6, 7, 12, 14, 18, 19. 이는 특히 사정 직전에 소변을 보았거나, 방광의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또는 역행성 사정의 경미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2.
- 음식 및 영양제 섭취:특정 음식이나 영양제 섭취 후 일시적으로 정액 색깔이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 B군 영양제, 황색 색소가 많이 함유된 음식(예: 당근, 강황), 또는 유황 성분이 많은 음식(예: 양파, 마늘)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6, 7, 12, 14, 16, 20. 특정 약물(예: 항생제 리팜피신, 요로 진통제 페나조피리딘) 또한 정액 색을 노랗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12. 과거에는 리보플라빈(비타민 B2) 섭취가 노란색 정액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도 있었습니다 21.
- 나이 증가:나이가 들면서 정액의 색이 자연스럽게 이전보다 약간 노란빛을 띨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12, 14.
2.1.2. 의학적 주의가 필요한 원인
- 백혈구 증가증 (농정자증, Leukocytospermia/Pyospermia):정액 내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백혈구가 존재하는 상태를 백혈구 증가증 또는 농정자증이라고 합니다 4, 5, 7, 8, 12, 14, 22. 이는 정액을 노랗거나 심지어 푸르스름하게 만들 수 있으며, 종종 생식기관의 감염이나 염증을 시사합니다 8. 세계보건기구(WHO)는 정액 1mL당 백혈구 수가 100만 개 이상일 때 백혈구 증가증으로 진단합니다 4, 8. 백혈구 증가증은 정자의 운동성 저하 및 DNA 손상을 유발하여 남성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5, 8. 원인으로는 감염(예: 성병, 전립선염), 염증, 정계정맥류, 흡연,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하며,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OS)이 정자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5, 8.
- 황달 (Jaundice):간 기능 저하나 담도 질환 등으로 인해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황달이 발생합니다. 황달은 피부와 눈의 흰자위를 노랗게 변색시킬 뿐만 아니라, 드물게 정액까지 노랗게 만들 수 있습니다 6, 7, 12, 14, 23, 2. 피로, 복통, 발열, 체중 감소 등 황달의 다른 전신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의학적 평가가 필요합니다 6, 7, 12, 23.
- 전립선염 (Prostatitis):전립선에 염증이 생기는 전립선염은 정액 색깔 변화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1, 6, 7, 12, 14, 19, 24, 25, 26. 세균 감염이나 기타 비감염성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액이 노랗거나 탁해지고, 때로는 고름이나 혈액이 섞여 나올 수도 있습니다. 배뇨통, 빈뇨, 잔뇨감, 하복부 또는 회음부 통증, 사정 시 통증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1, 6, 24. 전립선염은 한국 남성에게도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27.
- 성매개감염병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임질, 클라미디아와 같은 일부 성매개감염병은 요도염을 유발하여 요도에서 노란색 또는 녹색의 고름 같은 분비물이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1, 6, 7, 12, 14, 28, 29, 30. 이 분비물이 사정 시 정액과 섞이면서 정액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배뇨통, 요도 가려움, 빈뇨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12, 29. 최근 한국에서도 특정 연령층을 중심으로 클라미디아, 임질 등의 성매개감염병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31, 32, 33, 34.
2.2. 붉은색, 분홍색, 주황색, 갈색, 검은색 정액 (혈정액증, Hematospermia)
정액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상태를 혈정액증이라고 하며, 이는 많은 남성에게 상당한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6, 7, 9, 10, 11, 12, 14, 25, 26, 35, 36, 37, 38. 정액의 색깔은 출혈 시점, 출혈량, 그리고 혈액이 산화된 정도에 따라 선홍색, 분홍색, 주황색에서부터 갈색, 심지어 검은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선한 출혈은 밝은 붉은색을 띠지만, 오래된 혈액은 더 어두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9, 10.
2.2.1. 혈정액증의 일반적인 원인
- 전립선 또는 정낭의 염증/감염 (Prostatitis/Seminal Vesiculitis): 혈정액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10, 11, 25, 38. 염증으로 인해 미세혈관이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료 시술 후: 전립선 조직 검사, 정관 수술, 방광경 검사 등 비뇨의학과적 시술 후에 일시적으로 혈정액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10. 이는 시술 과정에서의 불가피한 미세 출혈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 격렬한 성행위 또는 자위행위: 과도하거나 격렬한 성적 활동은 요도나 생식기관 내 미세 혈관에 손상을 주어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6, 7, 10.
- 요도 손상 또는 염증 (Urethritis): 요도의 염증이나 손상도 혈정액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장기간 금욕 후 갑작스러운 사정: 일부 자료에서는 오랜 기간 금욕 후 갑작스럽게 사정할 때 혈정액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언급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2.2. 혈정액증의 심각할 수 있는 원인
- 비뇨생식기 종양 (Urogenital Tumors): 드물지만, 전립선암, 고환암, 방광암, 정낭암 등 악성 종양이 혈정액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9, 10, 11. 특히 40세 이상 남성에서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혈정액증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정밀 검사를 통해 감별해야 합니다. 한 연구에서는 40세 이상 혈정액증 환자의 약 13.9%에서 전립선암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10.
- 고혈압 (Hypertension): 심한 고혈압은 전반적인 혈관계에 부담을 주어 미세혈관의 파열 위험을 높이고, 이로 인해 혈정액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10, 11, 12, 14.
- 혈액 응고 장애 (Bleeding Disorders): 혈우병과 같은 선천적인 혈액 응고 질환이나 항응고제(와파린, 아스피린 등) 복용으로 인해 출혈 경향이 높아져 혈정액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10.
- 전립선 결석 또는 정낭 결석 (Prostatic or Seminal Vesicle Calculi): 드물게 이러한 결석이 혈정액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0.
- 특정 감염 (Specific Infections): 결핵,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과 같은 특정 감염 질환도 혈정액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매우 드뭅니다 10.
2.2.3. 연령에 따른 혈정액증의 의미와 접근
혈정액증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연령에 따라 그 임상적 의미와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40세 미만: 이 연령대에서의 혈정액증은 대부분 양성적인 원인, 예를 들어 일시적인 염증, 감염, 또는 성관계 후 외상 등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10, 11, 38. 증상이 일시적이거나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기도 합니다.
- 40세 이상: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혈정액증이 발생하거나, 특히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다른 비뇨기계 증상(예: 배뇨 곤란, 혈뇨)이 동반될 경우에는 악성 질환, 특히 전립선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9, 10, 11, 38.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 감별 및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하자면, 40세 미만 남성의 혈정액증은 대부분 일시적이거나 양성 질환에 의한 것이지만, 40세 이상에서 반복적으로 혈정액증이 나타나거나 다른 비뇨기계 증상이 동반된다면 전립선암 등 심각한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9, 10.
2.3. 녹색 정액 (Green Semen)
정액이 녹색을 띠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만약 나타난다면 주의를 요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1, 6, 7, 12, 14. 녹색 정액은 대개 정액에 고름이 다량으로 섞여 나올 때 발생하며, 이는 심한 세균성 전립선염, 부고환염, 또는 임질과 같은 특정 성매개감염병과 같이 생식기관의 심각한 감염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1, 6. 이러한 경우에는 통증, 발열, 배뇨 문제 등 다른 감염 증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1, 6.
2.4. 기타 색깔 변화 (투명한 정액, 매우 진한 흰색 등) 및 질감 변화 (덩어리짐, 묽어짐)
- 투명하거나 묽은 정액:정액이 평소보다 매우 묽거나 거의 투명하게 보일 경우, 이는 정자 수가 현저히 적은 감정자증(oligospermia)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6, 14, 16. 또한, 사정 빈도가 매우 높거나, 아연 결핍과 같은 특정 영양 불균형 상태에서도 일시적으로 정액이 묽어질 수 있습니다.
- 정액 덩어리짐 (응고 현상):정상적인 정액은 사정 직후에는 젤리처럼 뭉쳐져 있는 형태를 보이다가,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효소(예: PSA)의 작용으로 보통 15분에서 30분 이내, 늦어도 60분 이내에는 액화되어 물처럼 묽어집니다 4, 22. 만약 정액이 제대로 액화되지 않고 계속해서 심하게 덩어리져 있거나, 액화 시간이 지나치게 길다면 전립선 기능 이상이나 감염, 또는 정낭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4.
- 매우 진한 흰색 또는 불투명한 흰색:정액이 평소보다 매우 진한 흰색이나 불투명한 흰색을 띠는 것은 정자 농도가 높거나 백혈구가 약간 증가했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6, 13, 15. 대부분의 경우 정상 범위 내의 변화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른 증상이 동반되거나 지속된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정액 색깔 변화,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위험 신호와 자가 점검
모든 정액 색깔 변화가 즉시 의학적 조치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1. 병원 방문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Red Flag Signs)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 방문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정액 색깔 변화가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예: 계속해서 노란색이나 붉은색 정액이 나오는 경우) 12.
- 갑작스럽고 뚜렷한 색깔 변화, 특히 붉은색, 녹색, 또는 검은색 정액이 관찰될 때 1, 6, 9, 10, 11.
- 다음과 같은 동반 증상이 있을 때:
- 통증: 하복부, 골반, 회음부, 고환, 허리 등에 통증이 있거나 배뇨 시 통증(배뇨통), 사정 시 통증(사정통)이 있는 경우 1, 6, 10, 11, 24.
- 발열 및 오한: 원인 불명의 발열이나 오한이 동반될 때 1, 6, 24.
- 요도 분비물: 요도에서 고름과 같은 이상 분비물이 나올 때 1, 29, 30.
- 피부 발진 또는 성기 주변 병변: 성기 주변이나 다른 부위에 설명되지 않는 피부 발진이나 병변이 나타날 때 7, 29, 35.
- 심한 악취: 정액에서 평소와 다른 심한 악취가 날 때 6.
- 배뇨 곤란: 빈뇨, 절박뇨, 잔뇨감, 야간뇨, 소변 줄기 약화, 혈뇨 등 배뇨 관련 문제가 발생할 때 1, 6, 10, 11, 24.
- 전신 증상: 황달, 설명되지 않는 급격한 체중 감소, 극심한 피로감 등이 나타날 때 6, 12, 23.
- 40세 이상 남성에게서 혈정액증이 처음 나타나거나 반복될 때 9, 10, 11, 38.
- 성매개감염병(STI) 감염 위험에 노출된 후 증상이 나타난 경우 (예: 새로운 성 파트너와의 관계,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후).
- 불임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중에 정액 이상이 관찰될 때 4, 5, 8, 39.
3.2. 자가 점검 및 의사 상담 시 유용한 정보
병원 방문 전 다음과 같은 정보를 미리 준비해가면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변화 관찰 기록: 언제부터 정액 색깔 변화가 시작되었는지, 어떤 색깔로 변했는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변화의 양상(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합니다.
- 동반 증상 기록: 위에 언급된 ‘병원 방문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의 동반 증상들 중 해당하는 것이 있는지 상세히 기록합니다.
- 생활 습관 변화 기록: 최근 식단 변화, 새로 복용하기 시작한 약물이나 영양제, 스트레스 수준 변화, 성생활 패턴(금욕 기간, 성관계 빈도 등) 변화 등을 기록합니다.
- 과거 병력 및 현재 앓고 있는 질환: 이전에 진단받았거나 치료받은 비뇨기계 질환(전립선염, 요도염 등), 성병력, 기타 전신 질환(당뇨, 고혈압, 간질환 등), 복용 중인 약물 등을 의사에게 정확히 알립니다.
- 질문 목록 준비: 의사에게 궁금한 점이나 우려되는 부분을 미리 적어두면 상담 시 빠뜨리지 않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4. 정액 색깔 이상,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정액 색깔 이상으로 비뇨의학과를 방문하면, 전문의는 정확한 원인 감별을 위해 여러 단계의 진단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진단 결과에 따라 원인에 맞는 개별화된 치료 계획이 수립됩니다.
4.1. 비뇨의학과 진단 절차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의사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정액 색깔 변화, 동반 증상 등), 과거 병력, 성생활 습관, 복용 약물, 생활 습관 등을 자세히 묻습니다. 이후 외부 생식기 검진 및 필요한 경우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전립선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10, 11, 24.
- 소변 검사 (Urinalysis): 소변 검사를 통해 염증세포, 적혈구, 세균 등의 유무를 확인하여 요로 감염이나 혈뇨 여부를 감별합니다 1, 10, 11, 24.
- 정액 검사 (Semen Analysis):정액 검사는 정액의 양, pH, 정자 수, 운동성, 모양, 백혈구 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4, 5, 40, 22, 39. 보통 2~7일 정도의 금욕 기간을 거친 후 채취한 정액을 사용하여 분석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최신 지침 등 국제 표준에 따라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4. 이 검사를 통해 정액 색깔 이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백혈구 증가 여부, 정자의 질, 감염 징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액 검사는 정액의 색깔 이상 원인을 파악하고 남성 생식 건강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최신 지침에 따라 정액량, 정자 농도, 운동성, 정상 형태 정자 비율, 백혈구 수 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4.”
- 혈액 검사 (Blood Tests): 필요한 경우 전신 염증 수치(CRP, ESR), 간 기능 검사(황달 의심 시), 신장 기능 검사,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 검사(전립선암 의심 시), 성병 관련 항체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10, 11.
- 성병 검사 (STI Screening): 성매개감염병이 의심될 경우, 소변이나 요도 분비물, 또는 정액 검체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를 통해 원인균(임질균, 클라미디아균 등)을 직접 확인하거나, 혈액 항체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28, 29.
- 영상 검사 (Imaging Tests):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4.2. 원인에 따른 치료 원칙
정액 색깔 이상의 치료는 정확한 원인 진단에 따라 달라집니다.
- 감염 (전립선염, 요도염, 부고환염, 성병 등): 원인균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1, 12, 24, 26, 28, 29. 성병의 경우에는 반드시 성 파트너도 함께 검사하고 치료받아야 재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 백혈구 증가증 (농정자증): 기저 원인(감염, 염증 등)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에 따라 항생제, 소염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항산화제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8, 12.
- 혈정액증: 원인에 따라 치료 방침이 결정됩니다. 염증이 원인인 경우 항생제나 소염제가 사용될 수 있고,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 드물게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하며, 특히 젊은 연령에서는 안심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할 때도 있습니다 10, 11, 37, 38.
- 황달: 황달을 유발하는 기저 질환(예: 간염, 간경변, 담도 질환 등)에 대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12.
- 생활 습관 관련: 원인이 되는 특정 음식이나 약물 섭취를 중단하거나 조절하고, 금연, 절주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종양 의심 시: 악성 종양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에는 해당 암의 종류와 병기에 따라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 표준 암 치료 프로토콜을 따르게 됩니다.
5. 정액 건강을 위한 생활 수칙 및 예방
건강한 정액을 유지하고 관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5.1.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 균형 잡힌 식단 섭취: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정제된 탄수화물, 가공식품, 과도한 동물성 지방 섭취는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1, 6, 7, 9, 14, 16. 아연, 셀레늄, 비타민 C, E 등은 정자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1.5~2리터 이상의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 유지뿐 아니라 요로 건강에도 중요합니다 20.
-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강도의 규칙적인 운동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어 남성 생식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6, 9.
- 금연 및 절주: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정자의 수, 운동성, 모양에 악영향을 미치고 전반적인 생식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연하고 음주는 절제해야 합니다 1, 6, 8, 12.
-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은 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하여 생식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41.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5.2. 안전한 성생활
- 성병 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 성병은 정액 이상 및 남성 생식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파트너나 여러 파트너와 성관계 시에는 반드시 콘돔을 사용하여 성병 감염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1, 31.
- 정기적인 성병 검진: 성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여러 파트너가 있거나 성병 감염 위험 행동을 한 경우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성병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성 파트너와의 건강 상태 공유 및 동반 검진/치료: 만약 성병으로 진단받았다면, 반드시 현재 성 파트너에게 알려 함께 검사하고 치료받아야 재감염과 추가적인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5.3. 정기적인 건강 검진의 중요성
- 특히 40세 이상 남성은 전립선 질환(특히 전립선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전립선 검진(혈액 PSA 검사, 직장수지검사 등)을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9, 11.
- 비뇨의학과 정기 검진을 통해 정액 이상을 포함한 다양한 남성 생식기 질환의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정액 색깔 변화와 함께 통증, 발열, 분비물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되거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자가 진단에 의존하지 말고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문에 언급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나 병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의학적 조언은 반드시 의료 전문가를 통해 받으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FAQ) – 정액 색깔 변화에 대한 궁금증 해결
Q1: 정액이 약간 노란색인 것은 항상 문제가 되나요?
Q2: 혈정액증(피 섞인 정액)은 무조건 위험한 건가요?
Q3: 정액 색깔 변화로 병원에 가면 어떤 검사를 받게 되나요?
Q4: 정액 색깔을 좋게 하는 특별한 음식이 있나요?
Q5: 자위를 자주 하면 정액 색깔이 변하나요?
결론
정액 색깔의 변화는 남성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다양하고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유백색에서 옅은 노란색까지 정상 범위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금욕 기간, 식단, 약물, 감염, 염증, 황달, 심지어 종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요인이 정액의 색깔, 농도, 질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정액 색깔 변화는 일시적이거나 심각하지 않은 원인에 의한 것이지만, 특정 위험 신호들 – 예를 들어 지속적인 색 변화, 붉은색이나 녹색 정액, 통증, 발열, 배뇨 문제, 요도 분비물 등의 동반 증상, 또는 40세 이상에서의 혈정액증 – 이 나타날 경우에는 반드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안전한 성생활을 실천하며,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는 것은 건강한 정액을 유지하고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최신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 네이버 블로그 (닥터파크 비뇨의학과). 정액색이 노란색, 초록색, 갈색 색깔인 경우. [인터넷]. 2024년 6월 11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doctorpark33/223475236546
- 닥터나우. 정액이 노란색일 때 의심되는 질병과 검사 방법은? [인터넷]. 2023년 3월 14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b2577684cffd4517a82d14fd2f6189c1
- 하이닥. 노란정액이 나와요. [인터넷]. 2023년 12월 10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721198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laboratory manual for the examination and processing of human semen. 6th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iris.who.int/bitstream/handle/10665/343208/9789240030787-eng.pdf (또한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929669/ 에서도 확인 가능)
-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ertility in Men: AUA/ASRM Guideline (2021, 일부 내용 2024년 개정 확인 필요). Linthicum (MD):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2021.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uanet.org/guidelines-and-quality/guidelines/male-infertility
- GQ Korea. 정액 색깔을 유심히 관찰하면 보이는 것. [인터넷]. 2023년 11월 7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gqkorea.co.kr/2023/11/07/%EC%A0%95%EC%95%A1-%EC%83%89%EA%B9%94%EC%9D%84-%EC%9C%A0%EC%8B%AC%ED%9E%88-%EA%B4%80%EC%B0%B0%ED%95%98%EB%A9%B4-%EB%B3%B4%EC%9D%B4%EB%8A%94-%EA%B2%83/
- Healthline. Yellow Semen: Causes, Treatment, and More.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3년 3월 7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mens-health/yellow-semen
- Gackowski D, Szpila M, Hinca K, Slupski M, Siodmiak J, Olinski R, et al. Leukocytospermia and/or Bacteriospermia: Impact on Male Infertility and Efficacy of Supplementation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tioxidants (Basel). 2024 May 16;13(5):591. doi: 10.3390/antiox13050591. PMID: 38790896; PMCID: PMC11122306.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122306/
- 헬스조선. 전립선 이상 신호… ‘이것’ 색깔 변해도 의심. [인터넷]. 2020년 3월 6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030502736
- Ahmad I, Krishna NS. Hematospermia. In: Mulcahy JJ, editor. Contemporary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Cham: Springer; 2017. Chapter 13. PMID: 28491411. doi: 10.1007/978-3-319-43423-8_13. (또한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387851/ 에서 일부 내용 확인 가능, 원 논문은 아닐 수 있음)
- 서울아산병원. 혈정액증 (Hematospermia). [인터넷]. 최종 업데이트일 확인 필요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88
- Cleveland Clinic. Yellow Semen: Causes, Treatment & Other Ejaculate Colors.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3년 1월 18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symptoms/21600-yellow-semen
- 위키백과. 정액.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4년 5월 12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5%A1
- Medical News Today. Semen color: Why it varies and what it means.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3년 11월 29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semen-color
- 태비뇨기과. [답변] 정액 색깔이..하얗죠? [인터넷]. 2012년 10월 10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taeclinic.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533&page=172
- The Male Fertility Clinic. What Colour is Healthy Semen? [인터넷]. 2023년 5월 18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themalefertilityclinic.co.uk/blog/what-colour-is-healthy-semen/
- 박남철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남성불임의 진단과 치료 전략. 대한비뇨의학회 제56차 추계학술대회 전공의 연수강좌; 2004; 123-156.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rology.or.kr/inc/download.php?r_name=12699535862109.pdf&file_dir=resources&f_name=2004-7.pdf
- Cleveland Clinic. Retrograde Ejaculation: Causes, Symptoms & Treatment.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2년 3월 22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21870-retrograde-ejaculation
- 헬스조선. 소변에 정액이 나와요. [인터넷]. 2023년 6월 22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counseling/deptview.jsp?bbsid=67181
- Your Doctors Online. Why is my sperm yellow? What does it mean? [인터넷]. 2024년 2월 21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yourdoctors.online/why-is-my-cum-yellow/
- Huffman ER. Riboflavin in yellow semen. J Urol. 1958 Jun;79(6):998-1001. doi: 10.1016/s0022-5347(17)66460-9. PMID: 13590065.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13590065/
- 미래희망 산부인과·비뇨의학과. 농정액증(Leukocytospermia)을 유발하는 원인(2) 요로생식기감염-전립선염, 부고환염, 정낭염, 요도염. [인터넷]. 2023년 7월 10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miraeheemang.com/bbs/board.php?bo_table=sub8_6&wr_id=152
- Sharma A, Nagalli S. Jaundice.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PMID: 31334972.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1334972/
-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IDDK). Prostatitis: Inflammation of the Prostate. [인터넷]. 2014년 7월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최신 업데이트 확인 필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urologic-diseases/prostate-problems/prostatitis-inflammation-prostate
- 헬스조선. ‘정액’에서 빨간색 피가… 전립선 괜찮은 걸까?. [인터넷]. 2020년 8월 10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081002913
- 하이닥. 정액 색이 노란색입니다. [인터넷]. 2024년 1월 19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749349
- 김준호, 곽혜선, 이주연, 이병구. 한국 전립선염 환자의 의료 이용 및 항생제 처방 현황 분석 (2008-2015년 건강보험 청구자료). 한국임상약학회지. 2018;28(2):117-124. doi: 10.24304/kjcp.2018.28.2.11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ekjcp.org/journal/download_pdf.php?doi=10.24304/kjcp.2018.28.2.117
- 질병관리청. 2024년 성매개감염병 관리지침. [인터넷]. 2024년 3월 25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act=view&list_no=724886 (또한 https://djcidc.or.kr/bbsDown/040201_new/2024032502331310461.pdf 또는 https://ulsancidc.or.kr/kor/index.php?pCode=MN0000019&pg=3&mode=view&idx=1508 에서도 확인 가능)
- 질병관리청;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3판). [인터넷]. 2023년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ti.or.kr/include/pdf/KOREAN_STI_GUIDELINES_2023.pdf (또한 https://common.health.kr/shared/healthkr/pharmreview/%ED%8C%9C%EB%A6%AC%EB%B7%B0_24_04_Pharmacotherapy%20today_2023%20%EC%84%B1%EB%A7%A4%EA%B0%9C%20%EA%B0%90%EC%97%BC%20%EC%A7%84%EB%A3%8C%EC%A7%80%EC%B9%A8%20%EC%B5%9C%EC%A2%85%EB%B3%B8.pdf 에서도 확인 가능)
- 네이버 블로그 (jsd7616). 성병, 종류별 증상, 치료, 예방법 알아보기. [인터넷]. 2020년 2월 21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blog.naver.com/jsd7616/221819904729
- 질병관리청. 성병 국내 발생 현황 (2001-2007년 자료 및 2004-2006년 유병률 조사). [인터넷]. 2008년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Download.es?bid=0034&list_no=12174&seq=1
- 메디칼업저버. 5년간 국내 성병 환자 269만명…男 30대·女 20대 많아. [인터넷]. 2023년 10월 5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166
- 연합뉴스. 작년 12월 매독 등 성매개감염병 3천100건…1년 전보다 22% 급증. [인터넷]. 2025년 2월 5일 게시 (문서 내 예시 날짜, 실제 최신 자료 반영 필요)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5145400530
- 질병관리청 감염병 감시포털.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또는 최신 연보). [인터넷]. 2024년 (2023년 자료) [2025년 5월 23일 인용, 구체적 연보 링크 확인 필요].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portal.kdca.go.kr/pot/is/summaryList.do (또는 관련 보도자료/보고서 링크)
- Healthline. Semen Color Chart: Gray, Green, Brown, Texture Changes, More.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3년 3월 7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ealthline.com/health/mens-health/semen-color-chart
- 네이버 블로그 (megabugs1). 정액색깔 혈정액이나 노란정액, 농도는 어디까지 정상일까?. [인터넷]. 2019년 2월 17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egabugs1/221468850948
- 메디스톤 비뇨기과. 혈정액증.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medistone.co.kr/web/zg.php?cate=124
- 서울탑비뇨기과. 혈정액증의 진단 및 치료.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seoultopclinic.com/board/faq/view/58
-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Male Infertility – Medical Students Curriculum.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uanet.org/meetings-and-education/for-medical-students/medical-students-curriculum/male-infertility
-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EAU Guidelin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Male Infertility). [인터넷]. 2024년 (또는 최신판)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uroweb.org/guidelines/sexual-and-reproductive-health/chapter/male-infertility (또한 https://pubmed.ncbi.nlm.nih.gov/40118737/ 에서 관련 업데이트 확인 가능)
- 닥터나우. 정액이 노란색이었는데 정상적인 흰색으로 돌아왔을 때 정상적인가요?. [인터넷]. 2023년 12월 29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octornow.co.kr/content/qna/17f5a60558b948639e3670a474b69a6b
- Agarwal A, Sharma R, Gupta S, Sikka S, Thomas AJ Jr. Role of Leukocytospermia in the Management of Male Infertility: Decoding a Mystery for the Busy Clinicians. World J Mens Health. 2025 Apr;43(2):e32. doi: 10.5534/wjmh.240166. Epub 2024 Oct 27. PMID: 39434388.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39434388/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index.jsp
- 대한비뇨의학회.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rology.or.kr/
- 대한남성과학회.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andrology.or.kr/
- 대한비뇨의학회. 전립선비대증 진료권고안. [인터넷]. 2018년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urology.or.kr/newsletter/files/1-%EC%A0%84%EB%A6%BD%EC%84%A0%EB%B9%84%EB%8C%80%EC%A6%9D%20%EC%A7%84%EB%A3%8C%EA%B6%8C%EA%B3%A0%EC%95%88%20%EC%A0%84%EC%B2%B4.pdf
- 비즈조선. [명의를 찾아서] 변석수 분당서울대 교수 “전립선암 10년 후 韓 남성 암 1위… 유전력 있다면 조기진단해야”. [인터넷]. 2021년 9월 12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iz.chosun.com/it-science/bio-science/2021/09/12/JGOR43646FHKVIEMGRGKRNCEYI/
- 메디스톤. 성기능 관련 기능성 시험.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diston.com:448/Down/WBoard/06-%EC%84%B1%EA%B8%B0%EB%8A%A5%EA%B0%9C%EC%84%A0.pdf
- Culley L, Hudson N, Rapport F, Johnson M, Pacey A, Hooper R, et al. Uric acid crystals in the semen of a patient with symptoms of chronic prostatitis. J Androl. 2006 Mar-Apr;27(2):186-7. doi: 10.2164/jandrol.05129. PMID: 16500353.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ubmed.ncbi.nlm.nih.gov/16500353/
- 주간 건강과 질병. 2023년 법정감염병 신고 현황. [인터넷]. 2024년 10월 25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pn=ahead&uid=786&vmd=Full (또한 PDF https://www.phwr.org/journal/download_pdf.php?doi=10.56786/PHWR.2024.17.43.1 및 https://www.phwr.org/journal/down_pdf.php?eid=dWlkPTY3MA== 확인 가능)
- e-나라지표. 법정 감염병 발생 현황. [인터넷]. 최종 업데이트일 2024년 4월 30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42
- 익산예스비뇨기과 피부과. 건강정보 – 정액 색깔. [인터넷]. 2022년 8월 25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yesuro.co.kr/news/LectureView.asp?srno=2105&page=1&gubun=&keyword=
- 함양인터넷뉴스. ① 정액 색깔이 노랗게 나오면 염증?? [인터넷]. 2010년 10월 26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hyinews.com/front/news/view.do?articleId=1278
- Mayo Clinic. Retrograde ejaculation – Symptoms & causes. [인터넷]. 2022년 8월 13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retrograde-ejaculation/symptoms-causes/syc-20354890
- Agarwal A, Virk G, Ong C, du Plessis SS. Semen analysis and sperm function tests: How much to test? Indian J Urol. 2014 Jan;30(1):41-9. doi: 10.4103/0970-1591.124204. PMID: 24744519; PMCID: PMC3114587.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114587/
- 하이닥. 정액이 노란색. [인터넷]. 2024년 5월 2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obile.hidoc.co.kr/healthqna/view/C0000833612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성병. [인터넷]. 최종 업데이트일 2023년 9월 1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27
- News-Medical.net. Semen Health Effects.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23년 10월 26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ews-medical.net/health/Semen-Health-Effects.aspx
- 네이버 블로그 (유로G уро관악). 정액 색깔이 이상해요, 그 이유는?. [인터넷]. 2018년 7월 6일 게시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urogwanak/221315604200?viewType=pc
- Urowiki. 혈정액증. [인터넷]. 최종 수정일 2015년 12월 9일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urowiki.or.kr/wiki/index.php/%ED%98%88%EC%A0%95%EC%95%A1%EC%A6%9D
-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정액검사는 이렇게. [인터넷]. [2025년 5월 23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chamc.co.kr/health/e_clinic/content.asp?cc_id=11202&co_id=992&ct_id=112
- World Health Organization. Six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laboratory manual of semen analysis. Andrology. 2024 Jan;12(1):3-5. doi: 10.1111/andr.13543. Epub 2023 Nov 2. PMID: 37920980.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tandfonline.com/doi/pdf/10.1080/20905998.2023.2298048 (본 링크는 학술지 논평이며, WHO 매뉴얼 자체는 ref-4에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