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제왕절개 시 받는 영구 피임, 난관결찰술 vs 난관절제술? 난소암 예방 효과까지 고려한 최신 선택 가이드

제왕절개 분만은 현대 산과학에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수술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은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1, 많은 여성들이 반복적인 제왕절개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안고 있습니다. 반복 제왕절개는 유착, 전치태반, 자궁 파열 등 산모와 태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높일 수 있어2, 추가 임신 계획이 없는 경우 영구 피임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중요한 이유가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왕절개 수술 시 영구 피임술을 함께 받는 것은 추가적인 수술이나 마취, 입원 기간 없이 피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편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3. 이는 여성의 신체적,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출산 후 육아로 바쁜 산모에게는 큰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한 번의 수술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는 편리함 이면에는 충분한 사전 상담과 정보에 기반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본 기사에서는 제왕절개 중 고려할 수 있는 영구 피임술, 특히 전통적인 난관결찰술과 최근 난소암 예방 효과로 주목받는 기회적 난관절제술에 대해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최신 의학 정보와 국내외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한국 여성들이 후회 없는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확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글의 핵심 요약

  •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은 반복적인 제왕절개 수술의 부담을 줄이고 장기적인 가족 계획을 세우는 데 효과적이고 편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cite: 533]
  • 전통적인 영구 피임 방법인 난관결찰술 외에도, 최근에는 난소암 예방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국제적으로 권고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cite: 534]
  • 두 가지 주요 영구 피임술(난관결찰술과 기회적 난관절제술)은 각각의 장단점, 효과, 안전성, 비용, 그리고 개인의 건강 상태(특히 난소암 가족력), 연령, 향후 가족 계획 변경 가능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cite: 535]
  • 본 기사는 독자들이 각 피임 방법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최신 연구 결과와 국내외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담당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고 후회 없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cite: 536]

영구 피임술의 종류: 난관결찰술 vs. 기회적 난관절제술

제왕절개 시 고려할 수 있는 영구 피임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난관결찰술과 최근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기회적 난관절제술입니다. 각 시술의 정의, 방법, 장단점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전통적 난관결찰술(Tubal Ligation)이란 무엇인가요?

난관결찰술은 여성의 영구 피임 방법 중 하나로, 난관(나팔관)을 막거나 자르거나 묶어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임신을 방지하는 수술입니다4. 과거 가족계획 사업의 일환으로 널리 시행되었으며,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인 피임 방법으로 알려져 왔습니다5. 현재에도 여전히 선택 가능한 옵션 중 하나입니다.

1.1. 시술 방법: 다양한 접근법

난관결찰술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제왕절개 수술 중에는 개복 상태이므로 직접 난관에 접근하여 시술합니다5.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6:

  • 포머로이 방식 (Pomeroy technique): 난관의 일부를 들어 올려 묶은 후 잘라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 클립(Clip) 또는 링(Ring) 적용: 특수 제작된 클립(예: Filshie clip, Hulka clip)이나 실라스틱 링을 사용하여 난관을 압박하여 막는 방법입니다.
  • 전기 소작법 (Electrocautery): 전기 소작기를 이용하여 난관의 일부를 태워서 막는 방법입니다.

각 방법은 시술 시간, 사용되는 기구, 그리고 이론적인 복원 가능성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제왕절개 중 시행될 때는 대부분 비슷한 과정을 거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와 병원의 시설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1.2. 장점, 단점, 그리고 알아야 할 위험들

난관결찰술은 오랜 기간 시행되어 온 만큼 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가 비교적 축적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영구적인 방법인 만큼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 장점:
    • 높은 피임 효과: 성공적으로 시술될 경우 매우 효과적인 영구 피임 방법입니다5.
    • 성생활이나 호르몬에 영향 거의 없음: 일반적으로 여성의 성기능이나 월경 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5. 난소 기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단점 및 위험:
    • 영구성 및 복원의 어려움: 가장 큰 단점은 영구적인 방법이라는 점입니다. 만약 추후 다시 임신을 원하게 될 경우 난관 복원 수술을 시도할 수 있으나, 수술이 복잡하고 성공률이 높지 않으며(약 40-50% 임신 성공률)5, 복원 후 자궁외 임신 위험도 증가합니다.
    • 피임 실패 가능성: 드물지만 피임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산부인과학회(ACOG) 보고에 따르면 시술 후 10년간 누적 실패율은 약 1.3% (1,000명당 13건) 정도이며6, 국내에서는 0.2~0.7%로 보고되기도 합니다5. 만약 피임 실패로 임신이 될 경우, 자궁외 임신일 확률이 정상 임신보다 높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57.
    • 수술 관련 일반적인 위험: 다른 모든 외과적 수술과 마찬가지로 감염, 출혈, 마취 관련 합병증, 주변 장기 손상 등의 위험이 따를 수 있으나, 발생 빈도는 낮은 편입니다.
    • “난관결찰증후군”에 대한 오해: 과거 일부에서 난관결찰술 후 월경과다, 골반통, 월경전증후군 악화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이 수술 자체의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증상이거나 다른 부인과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5. 난관결찰술이 호르몬 변화를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장단점과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특히 영구적인 피임 결정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고려해야 합니다.

2. 기회적 난관절제술(Opportunistic Salpingectomy): 주목받는 새로운 표준

최근 몇 년 사이,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을 고려하는 여성들에게 ‘기회적 난관절제술(Opportunistic Salpingectomy, OS)’이라는 용어가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피임 효과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여성 건강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회적 난관절제술이란, 다른 부인과 수술(예: 제왕절개술, 자궁절제술, 난소낭종제거술 등)을 시행할 때, 임상적으로 특별한 문제가 없는 난관이라도 예방적으로 양측 난관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을 의미합니다89. 여기서 ‘기회적’이라는 말은, 어차피 다른 이유로 복부 수술을 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건강상의 이점(특히 난소암 예방)을 얻기 위해 난관절제술을 시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시술은 기존의 난관결찰술과 마찬가지로 확실한 영구 피임 효과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난소암 발생 위험을 낮추는 매우 중요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의료기관에서 기존 난관결찰술을 대체하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권고되고 있습니다68.

2.1. 시술 방법: 난관을 완전히 제거하는 이유

기회적 난관절제술은 제왕절개 수술 시, 자궁과 연결된 난관의 시작 부위부터 난소에 인접한 난관의 끝부분(난관채 또는 난관술)까지 양측 난관 전체를 완전히 절제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중요한 점은 난소는 그대로 보존하여 여성호르몬 분비 등 난소의 정상적인 기능은 유지된다는 것입니다10.

기존의 난관결찰술이 난관의 일부만을 막거나 자르는 것과 달리, 난관절제술은 난관 전체를 제거합니다. 이렇게 난관 전체를 제거하는 주된 이유는 최근 많은 연구에서 일부 난소암(특히 가장 흔하고 공격적인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이 실제로는 난소 자체가 아닌 난관의 끝부분(난관채)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10. 따라서 난관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이러한 암의 발생 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난소암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입니다.

2.2. 난소암 예방 효과: 강력한 새로운 증거들

기회적 난관절제술의 가장 주목받는 이점은 바로 난소암 예방 효과입니다. 다수의 국제적인 연구 결과들은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난소암, 특히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유형인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 HGSOC)의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낮춘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국제산부인과연맹(FIGO)은 기회적 난관절제술 시 난소암 위험이 42~77%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8, 미국산부인과학회(ACOG) 역시 난관 수술 시 난소암 발생률 감소를 언급하며 영구 피임을 원하는 여성에게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고려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6.

이러한 예방 효과의 배경에는 ‘난관 기원설’이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난소암이 난소 자체에서 발생한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들은 상당수의 난소암, 특히 HGSOC가 난관의 원위부(난관채)에 발생하는 전암성 병변인 장액성 난관 상피내암(Serous Tubal Intraepithelial Carcinoma, STIC)에서 시작되어 난소로 전이된다는 강력한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10. 따라서 난관 전체를 제거함으로써 이러한 암 발생의 씨앗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등에서 시행된 대규모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들에서도 기회적 난관절제술 또는 예방적 난관절제술을 받은 여성들에서 난소암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음이 확인되었습니다10. 한국에서도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난관절제술의 난소암 예방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상계백병원 윤상희 교수는 연구를 통해 양측 난관절제술의 난소암 위험 감소 효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11, 미즈메디병원 이정원 원장 또한 임신 계획이 없는 여성에게 난관 제거 시 난소암 예방 효과가 있음을 언급했습니다12.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김영태 교수와 같은 부인암 권위자들도 BRCA 유전자 변이가 있는 고위험군 여성뿐 아니라 일반 여성에게도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난소암 예방에 의미 있는 선택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환자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한 결정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13.

이러한 연구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대한산부인과학회 및 대한부인종양학회 등 국내 주요 학회에서도 자궁절제술이나 제왕절개술과 같이 다른 골반 수술 시, 특별한 금기증이 없다면 환자와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예방적 난관절제술을 고려하도록 권고하는 추세입니다9.

2.3. 난관결찰술 대비 장점 및 단점

기회적 난관절제술은 기존의 난관결찰술과 비교하여 몇 가지 뚜렷한 장점과 함께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 장점:
    • 확실한 영구 피임 효과 + 난소암 예방 효과: 이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자 장점입니다. 난관 전체를 제거하므로 피임 실패율은 이론적으로 거의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26, 동시에 난소암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춥니다8.
    • 향후 난관 관련 질환 예방 가능성: 난관수종(hydrosalpinx)이나 난관염, 자궁외 임신과 같은 난관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단점/고려사항:
    • 수술 시간 약간 증가 가능성: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난관결찰술에 비해 제왕절개 시 수술 시간이 평균적으로 약 5분에서 10분 내외로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14. 하지만 이는 숙련된 의사에 의해 효율적으로 진행될 경우 임상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난소 혈류 공급에 대한 이론적 우려: 난관과 난소는 일부 혈관을 공유하므로, 난관을 절제할 때 난소로 가는 혈류에 미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적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최근 연구에서는 표준적인 수술 기법으로 난관 주위 혈관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경우 난소 기능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81015.
    • 복원 불가능: 난관결찰술보다 더 확실한 영구성을 가집니다. 난관을 완전히 제거하므로, 추후 어떠한 방법으로도 복원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결정에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2.4. 난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말 괜찮을까요?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고려할 때 많은 여성들이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는 난소 기능 저하나 조기 폐경 가능성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현재까지 발표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난소의 호르몬 분비 기능(예: 항뮬러관 호르몬(AMH) 수치, 난포자극호르몬(FSH) 수치 등)이나 폐경 시기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1015. 수술 시 난소 자체는 보존하고, 난소로 직접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혈관들(난소동맥 등)은 건드리지 않고 난관 주변의 혈관만을 섬세하게 박리하여 절제하기 때문입니다.

일부 초기 연구나 특정 상황에서는 AMH 수치의 일시적인 감소 등이 관찰되기도 했으나, 장기적인 난소 기능이나 폐경 연령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국제산부인과연맹(FIGO) 역시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난소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드물게 개인차나 수술 범위 등에 따라 영향이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수술 전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술 시행: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요?

제왕절개 수술 시 동시에 영구 피임술을 받는 것은 여러 이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있습니다.

1. 수술 시기 및 방법의 장점: 왜 제왕절개 때 함께 할까요?

  • 단일 마취 및 입원: 가장 큰 장점은 추가적인 마취나 입원 없이 한 번의 제왕절개 수술 과정에서 영구 피임술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3. 이는 산모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 비용 효율성: 별도의 피임 수술을 받는 것에 비해 일반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기회적 난관절제술의 경우, 일부 연구에서는 제왕절개와 동시에 시행 시 추가 비용이 미미하거나 거의 없다고 보고하기도 합니다 (단, 한국의 경우 비급여 항목이므로 병원별 차이가 있으며, 정확한 비용은 상담이 필요합니다16).
  • 회복: 제왕절개 수술 자체의 회복 과정에 큰 부담을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2. 난관 수술로 인한 추가적인 통증이나 불편감은 경미하거나 일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은 특히 출산 후 육아로 바쁜 시기에 산모의 시간적, 경제적, 신체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2. 잠재적 위험 및 합병증: 안전하게 받을 수 있나요?

모든 수술에는 잠재적인 위험과 합병증이 따르지만,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로 간주됩니다.

  • 일반적인 수술 위험: 모든 수술과 마찬가지로 출혈, 감염, 마취 관련 합병증, 주변 장기(방광, 장 등) 손상 등의 위험이 존재하지만, 그 발생 빈도는 매우 낮습니다2.
  • 난관 수술 특이 위험:
    • 난관결찰술의 경우 드물게 피임 실패 및 이로 인한 자궁외 임신 가능성이 있습니다5.
    • 기회적 난관절제술의 경우 난관을 완전히 제거하므로 피임 실패율은 이론적으로 거의 0에 가깝습니다26.
  • 제왕절개 시 동시 수술 관련:
    • 수술 시간 약간 증가: 난관결찰술에 비해 기회적 난관절제술 시 평균적으로 약 6~10분 정도 수술 시간이 추가로 소요될 수 있으나2414, 이는 전체 제왕절개 수술 시간에 비하면 큰 차이가 아닐 수 있습니다.
    • 출혈량: 일부 연구에서는 기회적 난관절제술 시 난관결찰술에 비해 출혈량이 약간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하기도 하지만, 수혈이 필요할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나 주요 합병증 발생률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보고가 더 많습니다2425. 숙련된 의사가 시행할 경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최신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기존의 난관결찰술에 비해 산모에게 추가적인 수술 관련 위험을 크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난소암 예방이라는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25.

3. 한국에서의 현황 및 보험 적용 여부

한국에서도 기회적 난관절제술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주요 대학병원 및 여성병원을 중심으로 그 시행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대한산부인과학회 및 대한부인종양학회에서도 난소암 예방을 위한 난관절제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논의 및 권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9 (구체적인 국내 병원 시행 통계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자료를 찾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로 학회 동향과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보험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7:

  • 치료 목적의 난관절제술: 난관수종, 자궁외 임신, 난관암 등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난관절제술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피임 목적의 난관결찰술/난관절제술: 순수하게 피임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건강보험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본인 부담입니다. 다만, 산모나 태아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예상되어 의학적으로 영구 피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예: 심각한 심장 질환, 반복 제왕절개로 인한 자궁 파열 위험 등)에는 예외적으로 급여가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 기준에 따라 결정되므로, 사전에 의료진 및 병원 원무과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2004년 고시 내용에 근거하며, 최신 기준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난관복원술: 과거 피임술(주로 난관결찰술) 후 다시 임신을 원하는 경우 시행하는 난관복원술은 요양급여 대상입니다17.

예상 비용의 경우,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그리고 수술의 세부적인 내용에 따라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16. 제왕절개 수술 비용 외에 추가되는 금액이므로, 수술 전 병원 측에 문의하여 정확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택을 위한 핵심 고려사항: 나에게 맞는 방법은?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술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개인적인 문제이며, 다양한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1. 연령, 향후 가족 계획 변경 가능성 및 후회 가능성

영구 피임은 그 결정의 무게가 매우 큰 만큼, 되돌리기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나중에 후회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1819:

  • 젊은 나이에 수술받은 경우: 일반적으로 만 30세 이전에 영구 피임술을 받은 여성에게서 후회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납니다.
  • 수술 당시 자녀 수가 적거나 없었던 경우
  • 결혼 생활이 불안정했거나, 배우자와의 관계 변화가 있었던 경우
  • 수술 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거나, 본인의 의지보다는 주변의 권유나 압박이 있었던 경우

영구 피임 후 후회는 개인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우울 증상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9. 따라서 후회를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 전 의료진과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심층적인 상담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상담 시에는 ▲시술의 영구성 ▲피임 실패 가능성 ▲복원 수술의 어려움과 낮은 성공률 ▲자신의 현재 생활환경 변화 가능성(예: 재혼, 자녀의 불의의 사고 등) ▲수술에 대한 본인의 확고한 의지 ▲가역적인 장기 피임 방법(LARC: 자궁 내 장치, 피하 이식제 등)과 같은 대안적 피임 방법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고 논의해야 합니다6. 배우자와의 충분한 대화와 합의 또한 필수적입니다.

2. 건강 상태 및 병력 (난소암 가족력 등)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기존에 앓고 있는 질환 유무, 그리고 특히 난소암이나 유방암과 같은 여성암 가족력(BRCA 유전자 변이 여부 등)은 영구 피임 방법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 난소암 고위험군: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가 확인되었거나, 직계 가족 중 난소암 환자가 있어 난소암 발생 위험이 높은 여성의 경우, 예방적 난소난관절제술(Risk-Reducing Salpingo-Oophorectomy, RRSO – 난소와 난관을 모두 제거)이 권고되기도 합니다20. 하지만 RRSO는 조기 폐경을 유발하므로, 아직 폐경 전이라면 난소 기능을 보존하면서 난소암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단계적인 수술(난관 우선 절제 후 추후 난소 절제)을 고려하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부인종양 전문의와의 심층적인 상담을 통해 개인의 위험도와 건강 상태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 일반 위험군: 특별한 난소암 가족력이 없는 일반 여성의 경우에도,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통해 난소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건강상의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8.
  • 수술 금기증: 심각한 심폐질환, 조절되지 않는 출혈성 질환, 급성 골반 내 감염 등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4.

3. 각 시술의 장단점 비교

난관결찰술과 기회적 난관절제술의 주요 특징을 한눈에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특징 난관결찰술 (Tubal Ligation) 기회적 난관절제술 (Opportunistic Salpingectomy) 주요 근거 (예시)
시술 방법 난관 일부 묶거나 자르거나 막음 양측 난관 전체 제거 5
피임 효과 매우 높음 (10년 실패율 약 1.3%6) 이론적으로 거의 100% (장기 데이터 축적 중26) 26
난소암 예방 효과 일부 연구에서 약간의 감소 효과 보고5 유의미한 난소암 발생 위험 감소 (42-77%8) 11
난소 기능 영향 거의 영향 없음 대부분 연구에서 유의미한 영향 없음1015 8
수술 시간 (제왕절개 시 추가) 비교적 짧음 약간 더 소요 (평균 5-10분14) 14
주요 합병증 일반적 수술 위험, 드물게 실패/자궁외임신4 일반적 수술 위험 (난관결찰술과 큰 차이 없음 보고2425) 2425
복원 가능성 매우 낮고 어려움 (성공률 60-80% 보고도 있으나 조건적5) 거의 불가능 (난관 완전 제거) 5
기타 향후 난관 질환 예방 가능성

4.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 무엇을 묻고 결정해야 할까요?

어떤 영구 피임 방법을 선택할지에 대한 최종 결정은 반드시 담당 산부인과 의사와의 충분하고 깊이 있는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환자 본인의 상황, 가치관, 우려 사항 등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의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함께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과정, 즉 ‘환자 중심 의사결정(Shared Decision-Making)’이 매우 중요합니다67.

상담 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저의 경우, 난관결찰술과 난관절제술 중 어떤 방법이 더 적합할까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각 시술의 구체적인 과정과 예상되는 회복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 “저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무엇이며, 그 발생 빈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 “만약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받는다면, 저의 난소암 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로 기대할 수 있나요?”
  • “수술 후 제 건강(호르몬 변화, 성생활 등)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을 수 있나요?”
  • “만약 나중에 마음이 바뀌어 다시 임신을 원하게 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복원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인가요?”
  • “수술 관련 총 예상 비용과 건강보험 적용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이 외에도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나 걱정되는 부분을 모두 질문하고 명확한 답변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난관수술(결찰술/절제술) 후 호르몬 변화나 폐경이 빨리 오나요?

일반적으로 난관결찰술이나 난관절제술은 난소 자체를 제거하는 수술이 아니므로, 여성호르몬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폐경이 빨리 오지는 않습니다54815. 난소는 정상적으로 기능을 유지하며, 생리 주기 또한 이전과 같이 유지됩니다. 다만, 수술 전후의 스트레스나 일시적인 신체 변화로 인해 단기적인 생리 불순이 나타날 수는 있으나, 이는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Q2: 수술 후 성생활에 영향이 있나요?

난관수술은 여성의 성욕, 성감,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4. 오히려 원치 않는 임신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어 부부 관계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보고도 있습니다5. 수술 후 절개 부위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보통 수 주)는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이후에는 정상적인 성생활이 가능합니다.

Q3: 난관 복원 수술은 가능한가요? 성공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난관결찰술 후 복원: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수술이 복잡하고 성공률이 높지 않습니다. 복원 성공률은 이전 결찰 방법(예: 클립이나 링 사용 시 상대적으로 높음), 남아있는 난관의 길이(4cm 이상 권장), 환자의 연령, 난소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지며, 대략 60-80%의 복원 성공률과 그보다 낮은 임신 성공률(약 40-50%)이 보고됩니다5421. 복원 후 자궁외 임신 위험도 증가합니다.

난관절제술 후 복원: 양측 난관을 완전히 제거하는 기회적 난관절제술의 경우, 난관이 없으므로 복원 수술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난관절제술은 더욱 영구적인 피임 방법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영구 피임술은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며, 복원을 염두에 둔다면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Q4: 제왕절개 시 난관수술을 함께 받으면 회복이 더 더딘가요? 통증이 더 심한가요?

일반적으로 제왕절개 수술 시 난관결찰술이나 난관절제술을 함께 받는다고 해서 제왕절개 자체의 회복 기간이 의미 있게 길어지거나 통증이 현저히 심해지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2223. 수술 시간이 약간(5-10분 내외) 늘어날 수 있지만1425, 대부분의 경우 추가적인 큰 절개 없이 제왕절개 절개창을 통해 시행되므로 추가적인 통증이나 회복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다만, 개인에 따라 약간의 불편감이 추가될 수는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진통제로 조절 가능합니다.

Q5: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받으면 난소암이 100% 예방되나요?

기회적 난관절제술은 난소암, 특히 가장 흔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고등급 장액성 난소암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추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연구에 따라 42-77% 위험 감소8). 하지만 100% 예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난소암의 일부 유형은 난관 외 다른 부위(예: 복막)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유전적 요인 등 다른 다양한 위험 요인도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난소암 예방 전략 중 일반 여성이 비교적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결론: 현명한 결정을 위한 제언

제왕절개 중 영구 피임은 반복적인 수술 부담을 줄이고 장기적인 피임 계획을 세우는 데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난관결찰술과 더불어, 최근에는 난소암 예방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기회적 난관절제술이 중요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인 결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 충분한 정보 습득: 각 시술의 장단점, 효과, 위험성, 비용,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본 기사와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통해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료진과의 심층 상담: 본인의 건강 상태, 연령, 가족력, 향후 삶의 계획 등을 담당 산부인과 의사와 솔직하게 공유하고, 모든 궁금증을 해소한 후 함께 최선의 결정을 내리십시오. 특히 영구적인 결정이므로 후회 가능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논의해야 합니다.
  • 배우자와의 상의: 영구 피임은 부부 공동의 결정이 중요하므로, 배우자와 충분히 대화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거치십시오.
  • 최신 의학적 권고 고려: 난소암 예방이라는 추가적인 건강 이점을 고려한다면, 특별한 금기증이 없는 한 기회적 난관절제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국제적인 주요 학회들의 권고 사항이기도 합니다9867.

어떤 선택을 하든, 그 결정은 충분한 정보와 숙고를 바탕으로 내려져야 하며, 여성 자신의 건강과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KRHOW.COM은 여러분의 현명한 결정을 항상 응원합니다.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문에 제공된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개별 환자의 특정 상태나 필요에 따른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 영구 피임술을 포함한 모든 의학적 시술은 잠재적인 위험과 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담한 후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제왕절개 또는 영구 피임술과 관련하여 어떠한 증상이나 우려 사항이 있다면 즉시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십시오.

면책 조항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제시된 정보는 일반적인 상황을 기준으로 하며, 모든 개인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건강 관련 문제나 의문점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상담하십시오. 본 웹사이트의 정보에 의존하여 전문가의 조언을 무시하거나 진료를 미루지 마십시오.

참고 문헌

  1.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산모 연령별 제왕절개 분만 구성비. (2021년 데이터 기준)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index.go.kr/unity/potal/indicator/IndexInfo.do?clasCd=10&idxCd=F0069
  2.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제왕절개술.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244
  3. 예진산부인과. 여성클리닉.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yj-clinic.co.kr/content/08?me_code=20
  4. 서울아산병원. 난관결찰술(Tubal ligation). 건강정보 질환/수술.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2
  5.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여성 불임수술(난관결찰술)의 오해와 진실. SCHMC 건강칼럼. 2010년 11월 17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schmc.ac.kr/cheonan/selectBbsNttView.do?key=446&bbsNo=257&nttNo=73307
  6.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Practice Bulletin No. 208: Benefits and Risks of Sterilization. Obstet Gynecol. 2019 Jan;133(1):e59-e73. doi: 10.1097/AOG.0000000000003027. PMID: 30681541.
  7.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 Consent Advice No. 3: Female Sterilisation. London: RCOG; 2016 Feb.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rcog.org.uk/media/gcsnxxcu/consent-advice-3-2016.pdf
  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Statement: Reducing ovarian cancer risk through opportunistic salpingectomy. 2023 Oct 18.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figo.org/news/reducing-ovarian-cancer-risk-through-opportunistic-salpingectomy-promising-preventive-0
  9. 대한산부인과학회 등. 난소/난관/복막암 예방 목적 양측 난관절제술에 대한 대한산부인과학회 및 관련 학회 입장. 대한산부인과 학회; 2018.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smfm.or.kr/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ksmfm_news&number=161
  10. Cibula D, Potter J, Plotti F, et al. Intergroup statement: opportunistic salpingectomy—molecular evidence and clinical practice. Lancet Oncol. 2023;24(5):e197-e199. doi: 10.1016/S1470-2045(23)00155-7. (PMID: 37142303, 일부 내용은 PMC 통해 공개: PMC12033089)
  11. 후생신보. 양측 난관절제술이 난소암 예방한다 – 윤상희 교수 연구. 2017년 5월 8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whosaeng.com/92896
  12. 후생신보. 거대 다발성 자궁근종 적출시 대부분 난관 제거술도 함께 시행 – 이정원 원장. 2020년 9월 4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m.whosaeng.com/120621
  13. 세브란스병원. 난소암 환자 곁의 따듯한 동반자 김영태 교수. 네이버 블로그. 2023년 10월 4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blog.naver.com/meet_the_sev/223228658462?viewType=pc
  14. Elyasi P, Gomez-Lobo V, Berghella V. Salpingectomy at the Time of Cesarean Deliv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stet Gynecol. 2020 Mar;135(3):550-557. doi: 10.1097/AOG.0000000000003673. PMID: 32080033. (URL: https://pubmed.ncbi.nlm.nih.gov/32080033/)
  15. Giannini A, D’Oria O, Chiantera V, et al. The Impact of Opportunistic Salpingectomy on Ovarian Reserve: A Systematic Review. J Clin Med. 2024 May 16;13(10):2937. doi: 10.3390/jcm13102937. PMID: 38790703; PMCID: PMC11122620. (URL: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81132407_The_Impact_of_Opportunistic_Salpingectomy_on_Ovarian_Reserve_A_Systematic_Review)
  16. 앙즈로여성병원. 비급여진료안내.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angelot.kr/page.php?pageIndex=720103 (비용은 예시이며 병원마다 다를 수 있음)
  1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 제2017-170호). 2017년 10월 1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ira.or.kr/ebooksc/ebook_494/ebook_494_201808270603168510.pdf (p.242 관련 내용 참조)
  18. Curtis KM, Mohllajee AP, Peterson HB. Regret following Female Sterilization at a Young Age: A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2006 Feb;73(2):205-10. doi: 10.1016/j.contraception.2005.09.007. PMID: 16413875. (URL: https://pubmed.ncbi.nlm.nih.gov/16413875/ 또는 ResearchGate)
  19. Shreffler KM, Greil AL, McQuillan J, Gallus KL. Sterilization regre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U.S. women. J Health Soc Behav. 2016 Jun;57(2):200-16. doi: 10.1177/0022146516643380. PMID: 27185969. PMCID: PMC5267553. (URL: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267553/)
  20.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자궁경부암 백신은 일생 한번이면 충분, BRCA 변이 있으면 난소난관 절제. 2022년 10월 20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jhealthmediam.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4948
  21. 하이닥. [1분 Q&A] 나팔관(난관) 불임 수술을 받았는데 다시 임신할 수 있을까요? 2020년 7월 2일.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24
  22. Mayo Clinic. Tubal ligation. [인터넷].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tubal-ligation/about/pac-20388360
  23. William Beaumont Army Medical Center. Tubal Ligation. [인터넷]. Fort Bliss Tricare. [인용일: 2025년 5월 19일].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illiam-beaumont.tricare.mil/Health-Services/Womens-Health-Pregnancy/Labor-and-Delivery/-Tubal-Ligation
  24. Matsuo K, Klar M, Tergas AI, et al. Paradigm shift from tubal ligation to opportunistic salpingectomy at cesarean delivery in the United States. Am J Obstet Gynecol. 2021 Dec;225(6):640.e1-640.e15. doi: 10.1016/j.ajog.2021.06.071. PMID: 34181896. (URL: https://pubmed.ncbi.nlm.nih.gov/34181896/)
  25. McAlpine JN, Talhouk A, Giede C, et al. Complications after opportunistic salpingectomy compared with tubal ligation at cesarean sectio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Fertil Steril. 2024 Mar;121(3):531-539. doi: 10.1016/j.fertnstert.2023.11.022. PMID: 38043843. (URL: https://pubmed.ncbi.nlm.nih.gov/38043843/)
  26. Hanley GE, Ganshorn H, McAlpine JN, et al. Tubal Sterilization.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Updated 2023 Jul 24]. PMID: 29262077. (URL: https://pubmed.ncbi.nlm.nih.gov/2926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