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및 심리 질환

언어폭력, 보이지 않는 상처와 극복: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언어폭력은 단순한 말다툼을 넘어 개인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관계에 깊고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그 피해는 눈에 보이지 않아 간과되기 쉽지만, 피해자에게는 신체적 폭력만큼이나 지울 수 없는 정신적 외상을 남길 수 있으며1, 장기적으로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이러한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에 기반한 이해와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국민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2. 본 KRHOW.COM 콘텐츠는 언어폭력으로 고통받는 분들과 주변인들,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알고자 하는 모든 한국 독자들에게 최고의 전문성(Expertise), 권위성(Authoritativeness), 신뢰성(Trustworthiness)을 갖춘 정보(E-E-A-T)와 실질적인 유용성(Helpfulness)을 제공하여, 어둠 속에서 한 줄기 빛을 찾고 건강한 삶을 되찾는 여정에 동반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요약

  • 언어폭력은 명백한 정서적 학대의 한 형태로, 피해자의 정신 건강에 심각하고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3.
  • 가스라이팅과 같이 교묘한 형태의 언어폭력은 피해자가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학대 상황을 인지하고 벗어나기 어렵게 만듭니다4.
  • 언어폭력은 가정, 직장, 학교, 온라인 등 다양한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발생하며, 각 상황에 맞는 이해와 대처가 필요합니다.
  • 피해자는 언어폭력을 인식하고, 경계를 설정하며, 증거를 확보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구하는 등 단계적인 대처 전략을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 KRHOW.COM은 언어폭력에 대한 깊이 있는 의학 정보, 한국 독자 맞춤형 해결책,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여 여러분의 회복 여정을 지원합니다.

1. 언어폭력,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상처의 시작

언어폭력은 단순한 불쾌한 말이나 일시적인 감정싸움을 훨씬 뛰어넘는 문제입니다3. 이는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의도적으로 심리적 고통을 주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행위로, 정서적 학대(emotional abuse) 또는 심리적 학대(psychological abuse)의 주요한 형태로 간주됩니다3. 피해자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기능에 심각하고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매우 큽니다3. 특히, 한국 사회의 다양한 관계와 환경 속에서 언어폭력은 그 피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간과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피해자에게는 신체적 폭력 못지않은, 때로는 그보다 더 깊은 정신적 외상을 남길 수 있으며1, 장기적으로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1. 따라서 이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정확한 정보 전달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정신 건강을 증진하고 건강한 관계 형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1.1. 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중요한가?: E-E-A-T와 YMYL의 의미

언어폭력과 같은 의학 정보는 개인의 건강, 재정, 안전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Your Money Your Life'(YMYL) 분야에 해당합니다5.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은 YMYL 주제에 대해 매우 엄격한 E-E-A-T(전문성 Experience/Expertise, 권위성 Authoritativeness, 신뢰성 Trustworthiness) 기준을 적용합니다5. 이는 사용자가 잘못된 정보로 인해 피해를 보는 것을 막고,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기존의 언어폭력 관련 정보들은 때때로 의학적·심리학적 깊이가 부족하거나6, 최신 연구 동향이나 학술적 근거 제시가 미흡한 경우가 있었습니다7. 또한, 정보 출처의 권위가 명확하지 않거나8, 인용된 통계나 사례가 최신 정보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점도 신뢰성을 낮추는 요인이 되었습니다9. 이로 인해 독자들이 정보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10. 따라서 KRHOW.COM은 언어폭력이라는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를 다룸에 있어, 최고의 E-E-A-T 기준을 충족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합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수적인 요건입니다11.

1.2. 기존 정보의 한계점과 새로운 콘텐츠의 필요성

과거 제공되었던 일부 언어폭력 관련 정보들은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그 심각성을 알리려는 시도는 있었으나12, 몇 가지 아쉬운 점들이 지적되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전문가의 인용이나 감수가 부족하고, 최신 연구 및 통계 자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전문성과 권위성, 신뢰성 확보에 미흡한 부분이 있었습니다13. 또한, 한국 사회의 특수한 언어폭력 양상(예: 직장 내 괴롭힘, 학교폭력, 온라인 악플 문화)에 대한 심층 분석이 부족하고, 국내 통계, 관련 법률, 실제 이용 가능한 지원 시스템 정보가 매우 미흡하여 한국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14. 문제 정의와 원인 분석에 비해, 피해자가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대처 방안이나 법적 도움 절차, 전문 상담 정보 등이 부족하여 유용성이 낮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15. 특히 가스라이팅과 같이 교묘한 형태의 언어폭력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독자가 자신의 경험을 명확히 인지하고 대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었습니다10. 이러한 배경에서 KRHOW.COM은 기존 정보의 약점을 보완하고, 독자들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심층적이고 실용적인 신규 콘텐츠의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본 콘텐츠는 국내외 정신건강의학과, 심리학,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포함하고, 공신력 있는 기관의 최신 보고서와 연구 결과를 적극 인용하여 E-E-A-T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6.

2. 언어폭력에 대한 심층 이해: 정의부터 특징까지

언어폭력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피해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처하며, 나아가 사회 전체가 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예방책을 마련하는 첫걸음입니다. 언어폭력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특징 또한 복합적입니다.

2.1. 언어폭력의 의학적·심리학적 정의와 핵심 특징

언어폭력은 단순한 기분 나쁜 말이나 일시적인 다툼을 넘어,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심리적 고통을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행위를 지칭합니다3. 이는 정서적 학대(emotional abuse) 또는 심리적 학대(psychological abuse)의 주요한 형태로 간주되며, 피해자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기능에 심각하고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3. 국내 자료인 멘탈헬스코리아(Mental Health Korea)는 언어폭력을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비하하거나, 겁을 주거나, 위협하거나, 통제하기 위해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행위로 정의하며, 이것이 정서적 학대의 일종임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17. 국제적으로도 언어폭력은 “피해자에 대한 권력 행사 또는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대인 폭력의 한 형태”로 이해되며, “당혹감, 괴롭힘, 굴욕감, 모욕 또는 위협을 목적으로 하는 위협적이거나 괴롭힘을 주는 언어적 공격을 통해 고뇌, 고통, 괴로움을 유발한다”고 설명되어 그 심각성이 강조됩니다3.

언어폭력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도성 (Intentionality):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심리적 상처를 입히려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언어적 수단을 사용합니다3. 이는 우발적인 말실수와는 구별되는 지점입니다3.
  • 통제 및 지배 (Control and Domination): 언어폭력은 종종 피해자를 심리적으로 통제하고 지배하려는 가해자의 욕구에서 비롯됩니다3. 가해자는 언어를 통해 피해자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종하려 시도합니다3.
  • 반복성 및 지속성 (Repetition and Persistence): 일회적인 사건보다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패턴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반복성은 피해자에게 더 큰 심리적 압박감과 무력감을 안겨줍니다3. 일부 연구에서는 폭력의 순환 과정(긴장 형성기, 폭력기, 일시적 화해기인 밀월기)을 언급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월기가 짧아지고 폭력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3.
  • 피해자의 자존감 손상 (Damage to Victim’s Self-Esteem): 지속적인 비난, 모욕, 무시는 피해자의 자존감, 자기 가치감, 정체성을 심각하게 훼손합니다3.
  • 정서적 학대와의 밀접한 연관성 (Close Link to Emotional Abuse): 언어폭력은 정서적 학대 또는 심리적 학대의 가장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표현 방식입니다3. 미국 여성 건강국(OASH)은 정서적 또는 언어적 학대가 신체적 학대만큼이나 심각한 단기적 및 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4.

이 글을 참고하세요.

–>

2.2. 언어폭력의 다양한 유형 (명시적/암묵적 폭력, 가스라이팅, 정서적 학대 등 상세 분류 및 한국적 사례 포함)

언어폭력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며, 명시적인 공격부터 알아차리기 어려운 미묘한 방식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집니다18. 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피해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지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데 필수적입니다19. 주요 유형과 한국적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2.2.1. 명시적 언어폭력 (Overt Verbal Abuse)

명시적 언어폭력은 가해자의 공격 의도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는 형태입니다.

  • 욕설 및 모욕: 상대방의 인격을 직접적으로 공격하고 비하하는 단어, 경멸적인 호칭 사용, 외모나 능력에 대한 조롱 등이 포함됩니다20.한국적 사례: 직장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너는 정말 안 될 놈이다”, “너 같은 XX는 처음 본다” 등의 폭언을 하는 경우21, 또는 병원에서 환자가 간호사에게 “야! 핫바리 데리고 오지 말라고. 나는 임상 실험 대상이 아니다”라고 소리치는 경우22 등이 해당됩니다.
  • 고함 및 소리 지르기: 위협적인 목소리 톤이나 고성을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공포감을 조성하고 통제하려는 시도입니다3.
  • 비난 및 책임 전가: 문제의 원인을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돌리고, 모든 잘못에 대해 상대방이 죄책감을 느끼도록 만드는 행위입니다17. “다 너 때문이야”, “네가 그렇게만 안 했어도 이런 일은 없었어”와 같은 말이 반복됩니다.
  • 협박: 신체적 위해, 관계 단절, 중요한 것을 빼앗겠다는 위협, 또는 자해나 자살을 하겠다는 협박 등을 통해 상대방을 조종하려 합니다3.

2.2.2. 암묵적/미묘한 언어폭력 (Covert/Subtle Verbal Abuse)

이러한 유형은 피해자가 자신이 학대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 교묘함 때문에 피해자는 오랫동안 고통받으면서도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비꼬기 및 조롱: 겉으로는 농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대방을 깎아내리거나 모욕하려는 의도를 가진 발언입니다17. 특히 상대방의 약점이나 민감한 부분을 건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20. 멘탈헬스코리아는 “상대가 재미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해서는 안 되는 농담”이라고 지적하며, 가해자가 피해자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농담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합니다17.
  • 무시 및 묵살 (Ignoring/Withholding): 의도적으로 대화를 거부하거나, 상대방의 의견이나 감정을 하찮게 여기며 무시하는 태도입니다3. 침묵으로 일관하며 상대방을 고립시키거나, 마치 존재하지 않는 사람처럼 대하는 것도 포함됩니다3. 멘탈헬스코리아는 이를 “묵언 수행” 또는 “무시(침묵)”로 표현하며, 애정이나 관심을 거부함으로써 상대를 통제하고 처벌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합니다17.
  • 끈질긴 비판 및 평가절하 (Constant Criticism/Discounting): 상대방의 사소한 실수나 행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하고, 그들의 감정, 생각, 성과 등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리거나 부정하는 행위입니다3. DomesticShelters.org는 Patricia Evans의 유형 중 “Discounting”(상대의 감정이 틀렸다고 말하며 감정을 느낄 권리 부정)과 “Trivializing”(상대의 성과를 최소화)을 이러한 맥락에서 언급합니다23.
  • 판단 및 단정 (Judging): 객관적인 근거 없이 상대방을 일방적으로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낙인찍는 행위입니다17. “너는 원래 그런 애야”, “해봤자 안 될 거야”와 같은 발언이 예입니다17.
  • 명령 및 지시 (Ordering):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명령하거나 지시하며 통제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23.

2.2.3. 가스라이팅 (Gaslighting): 심리 지배의 교묘한 덫

가스라이팅은 언어폭력 중에서도 특히 교묘하고 파괴적인 형태로, 피해자가 자신의 현실 감각, 기억, 판단력을 의심하게 만들어 심리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서적 학대 수법입니다4. 멘탈헬스코리아는 가스라이팅을 “가해자가 피해자로 하여금 자신의 판단과 현실에 의문을 갖게 만드는 교활하고 은밀한 감정적 학대”로 정의합니다17. 미국 여성 건강국(OASH)은 가해자가 사건 발생 자체를 부정하거나, 피해자를 비정상적으로 예민하거나 미쳤다고 몰아가며, 사건을 피해자의 기억과 완전히 다르게 묘사하는 행위를 가스라이팅의 예로 제시합니다4. 주요 수법으로는 기억 왜곡, 감정 통제, 비난, 부인, 혼란 야기, 피해자의 자존감 파괴 등이 있습니다4. 한 국내 블로그 게시물은 가스라이터가 피해자의 의견과 욕구를 끊임없이 부정하고 조롱하며, 피해자가 자신이 누구인지 잊게 만들고, 감정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에 빠뜨린다고 상세히 설명합니다24. 가스라이팅 피해자는 극심한 자기 의심, 혼란, 무력감을 느끼며, 가해자에게 더욱 의존하게 되어 학대 관계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됩니다4. 이처럼 가스라이팅은 피해자가 자신이 학대당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해자는 지속적으로 피해자의 현실 인식을 왜곡하고 기억을 조작하여 피해자를 혼란에 빠뜨리고, 결국 피해자는 스스로를 믿지 못하고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됩니다4. 이러한 심리적 지배는 다른 명시적인 폭력보다 더 교묘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2.2.4. 정서적 학대 (Emotional Abuse)와의 관계

언어폭력은 정서적 학대의 핵심적인 수단이자 표현 방식입니다3. 정서적 학대는 언어적 수단 외에도 무시, 경멸적인 표정, 고립시키기 등 비언어적 행동까지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일 수 있습니다3. 법제처 자료는 정서학대의 예시로 “원망적·거부적·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25. 이러한 언어폭력의 다양한 유형과 그 교묘함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위계질서나 정을 중시하는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일부 언어폭력이 문제로 인식되지 않거나, “원래 그런 사람이다”, “장난이다” 등으로 정당화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17. 멘탈헬스코리아의 지적처럼, 어릴 적부터 가정 내 언어폭력에 노출된 경우 이를 정상적인 소통 방식으로 오인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할 수 있습니다17. 또한, 병원 내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언어폭력 사례에서 보듯이, 특정 직업군이나 환경에서는 언어폭력이 너무 만연하여 피해자들이 무감각해지는 현상도 나타납니다22. 따라서 KRHOW.COM의 신규 콘텐츠는 이러한 다양한 유형을 명확히 제시하고, 한국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독자 스스로 “이것도 언어폭력일 수 있겠구나”라고 인지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이는 피해자가 학대 상황을 인식하고 벗어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유용성을 크게 높일 것입니다.

유형 분류 정의 주요 특징 구체적 예시 (한국적 사례 포함)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생각 (간략히)
명시적 언어폭력: 욕설/모욕 상대방의 인격, 가치, 외모 등을 직접적으로 폄하하고 경멸하는 언어 사용17 비하적 단어, 별명, 저주, 인신공격 “야, 이 병신아!”, “네까짓 게 뭘 안다고.”, “돼지 같은 게.” (직장 상사가 부하에게: “너 같은 XX는 처음 본다”21) 모욕감, 수치심, 분노, 무가치함
명시적 언어폭력: 고함/소리 지르기 위협적인 목소리나 고성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압도하고 통제하려는 행위17 갑작스럽고 통제 불능의 분노 표출 (사소한 실수에) “지금 장난해? 똑바로 못 해!”, (의견이 다를 때) 고성을 지르며 자기주장만 반복 두려움, 불안, 위축감
명시적 언어폭력: 비난/책임 전가 모든 문제의 원인을 상대방에게 돌리고, 죄책감을 느끼도록 만드는 행위17 끊임없는 지적, 과거 잘못 들추기, 자기 합리화 “다 너 때문이야.”, “네가 제대로 했으면 이런 일 없었어.”, “네 성격이 문제야.” 죄책감, 억울함, 자기 회의, 혼란
명시적 언어폭력: 협박 신체적 위해, 관계 단절, 불이익 등을 암시하며 상대방을 공포에 떨게 하고 복종을 강요하는 행위17 명시적 또는 암묵적 위협, 자해/자살 위협 “다시는 안 볼 줄 알아.”, “가만 안 둘 거야.”, “너 때문에 내가 못 살아.” (자녀에게: “너 때문에 엄마가 아프다.”) 공포, 불안, 무력감, 복종 강요
암묵적 언어폭력: 비꼬기/조롱 유머나 농담을 가장하여 상대방을 은근히 깎아내리거나 모욕하는 행위17 빈정거림, 냉소적 말투, 상대의 약점 공격 “어련하시겠어요.”, “참 잘나셨네요.” (상대의 실수에 대해)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군.” 불쾌감, 모멸감, 혼란, 자기 검열
암묵적 언어폭력: 무시/묵살 상대방의 말, 감정, 존재 자체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하찮게 여기는 태도17 대화 거부, 침묵, 의견 묵살, 경멸적 표정 (상대가 말하는데) 딴청 피우기, (의견을 제시해도) “됐고.”, (힘든 감정을 토로할 때) “별것도 아닌 걸로 유난이야.” 소외감, 무력감, 분노, 자기 존재 부정
암묵적 언어폭력: 끈질긴 비판/평가절하 상대방의 모든 행동이나 결과물에 대해 사소한 것까지 지속적으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깎아내리는 행위17 건설적 피드백 없는 일방적 지적, 성과 폄하 “넌 뭘 해도 그 모양이냐.”, “그것도 일이라고 했어?”, “아무리 노력해도 넌 안 돼.” 자존감 저하, 무기력감, 좌절감
암묵적 언어폭력: 판단/단정 객관적 근거 없이 상대방의 성격, 의도, 능력 등을 일방적으로 규정하고 낙인찍는 행위17 “너는 항상…”, “너는 절대로…” 와 같은 일반화 “너는 이기적이야.”, “너는 나를 사랑하지 않아.”, “너는 게을러서 성공 못 해.” 억울함, 답답함, 반발심, 낙인찍힘
암묵적 언어폭력: 명령/지시 상대방의 의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명령하거나 지시하며 통제하려는 태도23 존중 없는 말투, 강압적 요구 “당장 그거 해.”, “내 말대로 안 하면 끝이야.” 굴욕감, 반항심, 자율성 침해
가스라이팅 상대방의 현실 인지 능력, 기억, 판단력을 의심하게 만들어 심리적으로 조종하고 통제하는 교묘한 정서적 학대4 기억 왜곡, 감정 통제, 비난, 부인, 혼란 야기, 자존감 파괴 “네가 너무 예민한 거야.”, “그런 적 없어, 네가 잘못 기억하는 거야.”, “다 널 위해서 하는 말이야.” (피해자가 문제를 제기하면) “또 시작이네, 너 때문에 미치겠다.” 자기 의심, 혼란, 불안, 고립감, 무력감, 가해자 의존

2.3. 언어폭력의 발생 맥락 (가정, 직장, 학교, 온라인 등 한국 사회의 특수성 반영)

언어폭력은 특정한 관계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26.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각 맥락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문제 해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27.

  • 가정 내 언어폭력: 부부 사이, 부모-자녀 관계 등 가장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은 은밀하고 지속적인 경향을 보입니다4. KIHASA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폭력 실태조사에서 정서적 폭력(언어폭력 포함)을 경험한 비율이 36.1%에 달했으며, 아동학대에서도 정서학대가 주요 유형으로 지적되었습니다28. 한 가정폭력 관련 자료에서는 “아이들 앞에서 모욕, 굴욕감을 준다”, “부모로서의 권위를 없애고 아이들이 부모를 적대시하게 한다”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가정 내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29. 이러한 가정 내 언어폭력은 피해자에게 깊은 정서적 상처를 남기고, 폭력의 대물림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 직장 내 언어폭력: 상사의 부당한 질책이나 모욕적인 발언(소위 ‘갑질’), 동료 간의 따돌림이나 비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21. 네이버 블로그의 한 게시물은 직장 내 괴롭힘의 예시로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 능력이나 성과를 인정하지 않거나 조롱하는 행위”, “욕설이나 위협적인 말을 하는 행위”, “다른 사람들 앞이나 온라인상에서 모욕감을 주는 언행” 등을 열거합니다30. 특히 한국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환자, 보호자, 동료 간호사, 의사 등 다양한 관계에서 언어폭력을 경험하며, 간호 조직 내의 위계적이고 권위적인 문화 속에서 발생하는 ‘태움’과 같은 심각한 직장 내 괴롭힘이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22. 이러한 직장 내 언어폭력은 피해자의 직무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며, 심한 경우 이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학교 내 언어폭력: 또래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욕설, 놀림, 협박, 사이버상의 괴롭힘 등이 주요 형태입니다31. 교육부의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유형 중 언어폭력이 3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32. 통계청 자료 역시 또래폭력 피해 유형 중 언어폭력이 가장 많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33. 학교 내 언어폭력은 피해 학생의 자존감을 손상시키고, 학업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등교 거부나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사이트에서는 학교폭력으로서의 언어폭력 유형과 대처 방법을 상세히 안내하고 있습니다34.
  • 온라인 언어폭력 (사이버불링): 인터넷과 SNS의 발달과 함께 익명성을 악용한 악성 댓글, 근거 없는 비방, 사생활 침해, 루머 유포, 사이버 스토킹 등의 온라인 언어폭력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34. 이러한 사이버 언어폭력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피해자에게 지속적인 고통을 줄 수 있으며, 정보 확산 속도가 빨라 피해 회복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관련 법규로는 사이버 모욕죄, 인터넷 명예훼손, 사이버 스토킹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정의와 처벌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35.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유발 요인 및 실태에 관한 다수의 국내 연구도 진행된 바 있습니다36.

각 발생 맥락에서의 언어폭력은 그 양상과 대처 방안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신규 콘텐츠는 이러한 맥락별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2.4. 언어폭력의 원인 및 가해자 특성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

언어폭력은 단순히 가해자의 나쁜 성격 때문만이 아니라, 복합적인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발생합니다37.

2.4.1. 가해자의 심리적 요인

  • 통제 욕구 및 권력 행사: 많은 경우, 가해자는 언어폭력을 통해 상대방을 통제하고 자신의 우월감을 확인하려는 심리적 동기를 가진다3.
  • 낮은 자존감 및 열등감: 자신의 내면에 있는 낮은 자존감이나 열등감을 보상받기 위해 타인을 비하하거나 공격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3.
  • 공감 능력 부족: 타인의 감정이나 고통에 대한 공감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자신의 말이 상대방에게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지 인지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1. 한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언어폭력으로 인해 변화된 뇌 구조가 공감 능력이 저하된 가해자의 뇌 구조와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
  • 분노 조절 문제 및 충동성: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 특히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언어폭력이라는 파괴적인 형태로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3.
  • 과거 학대 경험 (폭력의 학습 및 대물림): 어린 시절 부모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언어폭력이나 기타 학대를 경험한 경우, 이러한 폭력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학습하여 성인이 된 후 타인에게 유사한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다3.
  • 정신 건강 문제: 일부 가해자는 반사회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같은 특정 성격 장애의 특성을 보이거나, 다른 정신질환(예: 간헐적 폭발 장애)을 앓고 있을 수 있다3.

2.4.2. 사회적/환경적 요인

  • 폭력에 대한 사회적 용인 또는 무관심: 언어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이 낮거나, 특정 상황(예: 훈육, 직장 내 상하 관계)에서의 언어폭력을 용인하는 문화가 존재할 경우 언어폭력은 더욱 쉽게 발생하고 지속될 수 있다17. 멘탈헬스코리아는 많은 한국인이 어린 시절 가정 내 언어폭력 경험으로 인해 이를 정상적인 소통 방식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17.
  • 스트레스 및 사회적 압력: 과도한 경쟁, 경제적 어려움, 실업 등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나 사회적 압박감이 누적될 경우, 이를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언어폭력이 발생할 수 있다38.
  • 잘못된 사회 통념: “가정폭력은 집안일이다”, “맞을 만하니까 맞는다” 또는 “여자가 조심했어야지”와 같이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거나 폭력을 정당화하는 잘못된 사회 통념은 언어폭력을 포함한 모든 폭력을 지속시키는 데 기여한다29.
  • 위계적이고 권위적인 조직 문화: 군대, 일부 직장, 학교 등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위계질서가 강한 조직에서는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언어폭력을 행사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30.

2.4.3. 상호작용적 요인

  • 관계 내 힘의 불균형: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존재하는 실제적 또는 인지된 힘의 차이는 언어폭력 발생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30.
  • 의사소통 기술 부족: 건설적인 갈등 해결 능력이나 건강한 방식으로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표현하는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한 경우, 언어폭력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39.

이러한 원인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폭력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특히 한국 사회의 문화적 맥락에서 언어폭력이 어떻게 발생하고 용인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국내 독자들에게 더욱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40.

3. 보이지 않는 상처, 언어폭력의 영향

언어폭력은 눈에 보이는 상처를 남기지 않을 수 있지만, 피해자의 내면에는 깊고 오래가는 상처를 남깁니다41. 그 영향은 심리적·정서적 영역을 넘어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기능에까지 광범위하게 미칠 수 있습니다42. 특히, 한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언어폭력은 단순한 스트레스를 넘어 뇌 구조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신체적 학대만큼이나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되었습니다1. 미국 여성 건강국(OASH) 역시 정서적 또는 언어적 학대의 영향이 신체적 학대만큼 심각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4.

3.1. 마음을 병들게 하는 언어폭력: 심리적·정서적 영향

언어폭력은 피해자의 정신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다양한 연구와 전문가들의 견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존감 저하 및 자기 비하: 지속적인 비난, 모욕, 무시는 피해자의 자존감을 심각하게 훼손하여 스스로를 무가치하고 부족한 존재로 여기게 만듭니다3. 미국 여성 건강국(OASH)은 피해자가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열등감이나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합니다4. EBSCO의 한 자료는 언어폭력의 결과로 자존감 감소와 무력감을 경험한다고 언급합니다3.
  • 불안 및 공포: 가해자의 예측 불가능한 공격과 위협적인 언행은 피해자에게 만성적인 불안감과 공포심을 심어줍니다1. 중앙일보 기사에 따르면 언어폭력은 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1, Crisis Text Line은 피해자가 지속적인 긴장 상태에 놓인다고 설명합니다43.
  • 우울증: 언어폭력으로 인한 절망감, 무력감, 슬픔 등이 지속되면 우울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1. 아동기 심리적 학대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성인기 우울증과 강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며44, 또 다른 아동학대 관련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정서적 학대가 우울 장애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차비(OR) = 3.06)45.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극심하거나 반복적인 언어폭력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이는 충격적인 사건을 반복적으로 재경험하거나, 관련 자극을 회피하고,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에 시달리며, 과도한 각성 상태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3.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아동기 언어폭력이 PTSD 발생의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습니다 (B=3.10, p=0.003)46.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직장 내 폭력(언어폭력 포함 가능성)이 PTSD와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습니다47.
  • 죄책감 및 수치심: 가해자는 종종 자신의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거나 피해자를 비난함으로써, 피해자가 부당한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도록 만듭니다4.
  • 혼란 및 자기 의심 (특히 가스라이팅의 경우): 가스라이팅과 같은 교묘한 언어폭력은 피해자가 자신의 기억, 판단력, 현실 감각을 의심하게 만들어 극심한 혼란과 자기 불신에 빠지게 합니다4.
  • 정서 조절의 어려움: 지속적인 언어폭력에 노출된 피해자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거나 건강하게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48. 한 국내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정서인식 명확성 저하 및 정서조절 곤란과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48.
  • 기타 정신 건강 문제: 언어폭력은 약물 남용, 알코올 의존, 자살 생각 또는 시도, 섭식 장애, 해리 증상, 다양한 성격 장애 등 광범위한 정신 건강 문제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3.

3.2. 몸까지 아프게 하는 언어폭력: 신체적 및 사회적 영향

언어폭력의 영향은 정신적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은 다양한 신체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신체적 증상: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은 두통,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 증후군, 근육통, 만성 피로, 수면 장애 등 다양한 신체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1. 한 국내 언론 보도에서는 누적된 언어폭력이 면역력 저하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뇌 기능 저하와 구조적 변화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1.
  • 사회적 고립: 가해자는 의도적으로 피해자를 친구, 가족, 동료 등 지지적인 관계로부터 고립시키려 할 수 있습니다3. 또한, 피해자 스스로 수치심이나 무력감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될 수 있습니다3.
  • 대인관계의 어려움: 언어폭력 경험은 타인에 대한 불신감을 심화시키고, 건강하고 안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44. 한 국내 연구는 아동기 심리적 학대가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증가시키고 지지적인 관계 형성을 저해한다고 보고했습니다48.
  • 학업 및 직업 기능 저하: 언어폭력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 의욕 상실, 무력감 등은 학업 성취도 저하나 직장 내 업무 수행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9. 가정폭력을 목격하고 자란 아이들의 학교 성적이 저하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29,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직장 내 폭력이 낮은 직무 만족도, 높은 이직률, 생산성 감소, 업무 수행 능력 저하 등과 관련됨을 보여주었습니다47.

3.3. 우리 사회의 약자들에게 더욱 가혹한 언어폭력: 특정 집단에 대한 영향

언어폭력은 모든 연령과 계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특정 집단은 그 특성상 더욱 취약하거나 다른 양상의 피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49.

  • 아동 및 청소년: 성장 과정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언어폭력은 치명적인 상처를 남깁니다50. 법제처 자료에 따르면 정서학대는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치고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는 정신적 폭력으로 규정됩니다25. KICJ의 2000년 보고서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불안, 원망, 무가치함 등의 감정을 유발하고 학업 흥미 저하로 이어진다고 분석했습니다31.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는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32, 이는 학업 중단, 자존감 저하, 대인관계 기피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29. 특히 아동기 정서적·언어적 학대는 성인기의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우울, 불안, PTSD, 약물 남용, 자살 생각 등)와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존재합니다44.
  • 직장인 (특히 간호사): 직장 내 언어폭력, 특히 상사에 의한 ‘갑질’이나 동료 간 괴롭힘은 심각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유발합니다. 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병원 내 언어폭력은 간호사에게 큰 상처와 부담을 주며 사직 의도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2. 다른 연구들에서도 직장 내 폭력 경험이 간호사의 소진 및 PTSD와 관련됨을 보여줍니다47. 더 나아가, 간호사에 대한 폭력은 환자 안전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도 있습니다47.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언어폭력이 만연하고 용인되는 조직 문화의 문제로 인식될 필요가 있습니다22.
  • 노인: 노인에 대한 언어폭력은 주로 정서적 학대의 형태로 나타나며, 노인복지법상 학대로 규정됩니다. KIHASA의 2016년 보고서는 국내 노인의 약 10%가 지난 1년간 학대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며, 정서적 학대가 주요 유형 중 하나임을 지적했습니다28. 미국심리학회(APA) 자료는 노인에 대한 언어적, 정서적, 심리적 학대 유형(소리 지르기, 모욕적 발언, 무시, 고립 등)과 그 심각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51.
  • 장애인: 보건복지부의 2019년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장애인 학대 유형 중 정서적 학대가 상당한 비중(30.1%)을 차지하며, 특히 지적장애인의 피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2.

이처럼 언어폭력은 그 자체로도 심각한 문제이지만, 신체적 폭력으로 이어지거나 다른 형태의 학대와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더욱 심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상처이기에 간과되기 쉽지만, 그 파급 효과는 피해자의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따라서 KRHOW.COM의 신규 콘텐츠는 언어폭력의 심리적, 정서적 영향뿐만 아니라, 뇌 기능 변화 가능성, 만성 질환 위험 증가 등 신체적 영향과 사회적 기능 저하 등 장기적이고 다면적인 피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인 정보와 더불어 한국 사회의 주요 취약 집단이 겪는 언어폭력의 특수성과 그에 맞는 지원 정보를 간략하게라도 언급하거나, 향후 심층 콘텐츠로 확장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정보의 포괄성과 사회적 책임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한국의 언어폭력, 현실과 법적 대응

한국 사회에서 언어폭력은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관련 통계는 그 심각성을 뒷받침합니다.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 또한 존재합니다.

4.1. 통계로 보는 한국의 언어폭력 실태

한국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언어폭력 및 정서적 학대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주요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학교폭력: 교육부의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유형 중 언어폭력이 3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전체 피해응답률은 1.9%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32. 통계청의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2’ 보고서 요약에서도 또래폭력 피해 유형 중 언어폭력(’20년 4.1%)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사이버폭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33. KIHASA의 2016년 보고서 역시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언어폭력, 집단따돌림 등이 주요 유형으로 꾸준히 지적되어 왔음을 언급합니다28.
  • 아동학대: 최근 아동학대 및 방임 판단 건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2021년 37,605건 → 2023년 25,739건)53,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정서학대 피해 비율이 36.5%로 다른 학대 유형(방임 26.5%, 신체학대 14.5%, 성학대 0.3%)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53. 정서학대의 세부 행위 중에서는 “큰 소리의 비난과 꾸짖음”이 34.0%로 가장 빈번했으며, “욕이나 저주의 말”을 듣는 경험은 2018년 대비 2023년에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53. 통계청의 학대피해아동보호현황 자료에 따르면,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신고 건수 기준)은 2014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2021년에는 아동인구 10만 명당 502.2건에 달했습니다33. 2000년에 발간된 KICJ 보고서에서도 초·중·고등학생 대상 조사 결과,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주로 언어폭력) 경험률이 상당 수준(중학생 44.8%, 고등학생 45.1%)으로 나타났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자녀의 잘못’이나 ‘성적 하락’ 등이 꼽혔습니다31. 또 다른 KIHASA 자료(2022년)에서는 아동의 지난 1년간 정서학대 피해 경험이 53.4%에 달한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54.
  • 부부폭력(가정폭력): KIHASA의 2016년 보고서(과거 자료)에 따르면, 만 19세에서 65세 사이 부부 중 지난 1년간 부부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45.5%였으며, 이 중 정서적 폭력은 36.1%, 통제 행위는 47.7%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습니다28.
  • 장애인 학대: 보건복지부의 ‘2019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 학대 사례 945건 중 정서적 학대는 30.1%를 차지하여 신체적 학대(33.0%)와 경제적 착취(26.1%)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52.
  • 간호사 대상 언어폭력: 2025년 발간 예정인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 따르면, 간호사에 대한 언어폭력의 전반적인 유병률은 67%에 달하며, 주요 가해자는 환자의 친척 및 친구(48%), 의사(3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55. 2022년 발표된 한국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도 참여 간호사 모두 지난 1년 이내에 언어폭력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폭력이 매우 흔하게 발생하여 무감각해질 정도라고 보고되었습니다22.

이러한 통계들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언어폭력 및 정서적 학대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4.2. 언어폭력, 법으로 처벌받을 수 있나요?: 관련 법률 및 현실적 한계

한국에서는 언어폭력과 관련된 여러 법률이 존재하며, 행위의 양상과 피해 정도에 따라 다양한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법적 대응에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한계도 따릅니다.

표 3: 한국의 언어폭력 관련 주요 법규 및 처벌 내용 요약
법규명 관련 조항 (예시) 주요 내용/정의 처벌 수위 (예시) 비고
형법 제311조 (모욕) 공연히 사람을 모욕하는 행위 1년 이하 징역/금고 또는 200만원 이하 벌금 친고죄56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 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사실 적시: 2년 이하 징역/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
허위 사실 적시: 5년 이하 징역, 10년 이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반의사불벌죄 (사실 적시의 경우)35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 (사이버 명예훼손)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공공연하게 사실 또는 거짓의 사실을 드러내어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사실 적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거짓 사실 적시: 7년 이하 징역, 10년 이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35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의7 (불법정보의 유통금지 등), 제74조 (벌칙)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부호·문언·음향·화상 또는 영상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 (사이버 스토킹)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35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 (정의) 등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언어폭력, 따돌림, 사이버 괴롭힘 등 학교 내외 조치 (피해학생 보호, 가해학생 선도·교육 등), 사안에 따라 형사처벌 연계 34
아동복지법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아동복지법 제17조 (금지행위), 아동학대처벌법 제2조 (정의) 등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 (언어폭력 포함)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정서적 학대) 57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정의), 제18조 (처벌) 상대방 의사에 반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주거 등 또는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우편·전화·정보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물건이나 글·말·부호·음향·그림·영상·화상을 도달하게 하는 행위 등으로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흉기 등 휴대 시 가중처벌) 반의사불벌죄35

이러한 법적 규정에도 불구하고, 언어폭력의 모든 사례가 법적 처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공연성’이나 ‘피해자 특정성’과 같은 구성요건을 충족하기 어렵거나, 증거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58. 온라인상의 익명성을 악용한 경우나 가정 내에서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정서적 학대는 법의 잣대로 처벌하기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59.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례 중 초등학교 야구부 코치가 학생 선수에게 지속적으로 욕설(“새끼야”, “병신새끼야” 등)을 한 행위를 인격권 침해로 판단한 사례60는 피해자 어머니의 일기장과 가해자의 인정이라는 구체적인 증거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따라서 법적 대응은 언어폭력 대처의 한 가지 수단일 뿐, 모든 피해자를 구제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3. 한국 사회의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 및 문화적 맥락

한국 사회에서 언어폭력 문제는 특유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습니다61.

  • 일상화된 언어폭력 및 낮은 민감도: 멘탈헬스코리아는 많은 한국인이 가정 내 언어폭력 경험 등으로 인해 언어폭력을 정상적인 소통 방식으로 오인하거나 그 심각성을 간과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17. 한국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도 언어폭력에 대한 무감각함이 드러났습니다22. 이러한 현상은 피해자가 자신이 학대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주변인들 또한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하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 체벌 문화와 정서학대의 경계 모호성: KIHASA 보고서는 한국의 아동학대 정의에 있어 체벌과 신체학대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과거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체벌이 훈육의 한 방식으로 사회적으로 용인되어 온 특수성을 언급합니다28. 이러한 문화적 배경은 정서적 학대, 특히 언어폭력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관계 중심 및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 위계질서나 집단 내 조화를 중시하는 문화는 언어폭력 발생 시 피해자가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거나, 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경향을 낳을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30이나 간호사들의 ‘태움’ 문화22 등에서 이러한 단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 높은 교육열과 경쟁적 사회 분위기: KICJ 보고서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언어폭력을 행사하는 주된 원인으로 ‘성적 하락’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31, 한국 사회의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와 경쟁적인 분위기가 가정 내 언어폭력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온라인 문화의 발달과 익명성의 그림자: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매우 높고 온라인 소통이 활발하지만, 그 이면에는 익명성을 악용한 사이버 언어폭력(악성 댓글, 비방, 루머 유포 등)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62.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은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을 낮추고 문제 해결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적·제도적 개선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 및 예방 교육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4.4. 도움의 손길: 한국의 피해자 지원 시스템 및 관련 기관

한국에는 언어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공공 및 민간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습니다63. 이러한 지원 시스템을 알고 필요할 때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긴급전화 및 상담센터:
    • 다누리콜센터 (1577-1366):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가족 대상 가정폭력, 성폭력 등 폭력 피해 긴급지원, 위기 상담 등을 365일 24시간 다국어(13개 언어)로 제공합니다64.
    • 여성긴급전화 (1366): 가정폭력, 성폭력, 데이트폭력 등 여성폭력 피해자에게 365일 24시간 긴급 상담, 보호시설 연계, 의료·법률 지원 연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65.
    •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1388): 학교폭력, 사이버폭력, 학업 스트레스 등 청소년 문제 전반에 대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 학교폭력 신고 및 상담: 각급 학교 내 상담교사, 교육(지원)청의 학교폭력 담당 부서,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에서 학교폭력 피해 학생을 위한 상담 및 지원을 제공합니다34.
  • 정신건강 지원:
    • 정신건강복지센터 (각 지역):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담, 교육, 사례관리, 위기 개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66. 언어폭력으로 인한 우울, 불안, PTSD 등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상담 및 치료 연계가 가능합니다66.
    • 정신건강의학과 병·의원: 언어폭력으로 인한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진단, 약물 치료, 심리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1. 최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를 중심으로 ‘의대생 정신건강 가이드라인’ 마련이 추진되는 등 특정 집단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67.
  • 특정 대상별 지원기관:
    • 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복지법에 따라 설치되어 학대피해아동의 발견, 보호, 치료 및 예방 사업을 수행합니다31.
    •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복지법에 따라 설치되어 노인학대 신고 접수, 현장 조사, 상담, 보호 조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28.
    •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설치되어 장애인 학대 사건에 대한 현장 조사, 피해 장애인 지원 등을 수행합니다68.
  • 법률 지원:
    • 대한법률구조공단: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법을 잘 몰라 법의 보호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국민에게 법률 상담, 소송 대리 등을 지원합니다.
    •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가정폭력, 이혼 등 가사 문제 전반에 대한 법률 상담 및 지원을 제공합니다. 다누리콜센터는 대한변호사협회와 연계하여 법률상담을 진행하기도 합니다64.
  • 온라인 상담 플랫폼: 다누리포털64, 여성긴급전화1366 채팅상담65, 서울시 120민원 채팅상담69 등 온라인을 통한 상담 접근성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 민간단체: 한국여성의전화 등 다수의 민간단체에서도 언어폭력을 포함한 다양한 폭력 피해자를 위한 상담, 교육, 쉼터 운영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31. 멘탈헬스코리아는 비슷한 아픔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지지하고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네이버 카페 <코코넛 커뮤니티>)를 소개하기도 합니다17.

이처럼 다양한 지원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실제 피해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적절한 도움을 받기까지는 여러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각 기관의 역할과 지원 내용을 명확히 안내하며, 필요한 경우 특정 대상(예: 이주여성, 장애인, 아동)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70.

5. 언어폭력에서 벗어나기: 극복과 지원, 그리고 예방

언어폭력으로부터 벗어나고 건강한 삶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피해자 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주변의 지지, 그리고 사회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71. 이 장에서는 피해자를 위한 구체적인 대처 전략, 전문적인 도움의 종류, 주변인의 역할, 그리고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 및 개인적 노력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5.1. 피해자를 위한 단계별 대처 전략: 인식부터 자기 돌봄까지

언어폭력 상황에 직면했을 때, 피해자는 스스로를 보호하고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72.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언어폭력 인식 및 인정: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것이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선 ‘언어폭력’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입니다17. 가해자의 변명(“장난이었어”, “네가 예민한 거야”)이나 자기 합리화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신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73. 한 국내 서적 소개글에서는 “나는 지금 정서적 학대를 당하고 있다”고 마음속으로 되뇌며 그 문장이 지닌 힘을 느껴보라고 조언합니다74. 이러한 자기 인식은 문제 해결의 출발점입니다.
  2. 경계 설정 (Boundary Setting): 가해자에게 어떤 행동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인지 명확하고 단호하게 전달해야 합니다17. 이때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차분하고 직접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나에게 소리 지르거나 욕설을 하는 것을 더 이상 참지 않겠다. 만약 그런 행동을 반복한다면 나는 대화를 중단하고 자리를 피할 것이다”와 같이 구체적인 행동과 그 결과를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17.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전문가의 유튜브 영상에서는 단호하게 “그만해”라고 말하고, 필요하다면 상대방에게 한 발짝 다가가면서 말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75. 한번 설정한 경계는 일관되게 지켜야 합니다17.
  3. 증거 확보: 언어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상처를 남기지만, 법적 대응이나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때 객관적인 증거는 매우 중요합니다. 언어폭력이 발생한 날짜, 시간, 장소, 가해자의 구체적인 발언 내용, 당시 상황, 목격자 유무 등을 상세히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76. 문자 메시지, 이메일, SNS 대화 내용 등은 캡처하여 보관하고, 가능하다면 대화 내용을 녹음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77.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에서도 피해자 어머니가 작성한 일기장이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된 사례가 있습니다60.
  4. 안전 계획 수립 (Safety Planning): 특히 가정폭력이나 데이트폭력과 같이 신체적 위협이 동반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안전 계획 수립이 필수적입니다17. 폭력이 심화될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장소(친척 집, 친구 집, 보호시설 등)를 미리 파악해두고, 비상 연락망을 준비하며, 필요한 경우 즉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17. 관계를 끝내려고 시도할 때 가해자의 폭력성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더욱 철저한 안전 계획이 필요합니다17.
  5. 가해자와의 거리두기 및 관계 단절: 가능하다면 가해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자신을 지지하고 존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이 정서적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17. 만약 학대가 지속되고 가해자의 행동 개선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관계를 완전히 끝내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친구, 가족, 또는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17.
  6. 자기 돌봄 (Self-Care): 언어폭력으로 인해 손상된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충분한 수면과 휴식,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규칙적인 운동, 명상이나 요가와 같은 이완 활동, 자신이 즐거움을 느끼는 취미 활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78.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를 비난하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 것입니다78.

5.2.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및 심리 상담/치료

언어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이 심각하거나 혼자서 극복하기 어렵다고 느껴질 때는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79.

  •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우울증, 불안장애, PTSD, 수면 장애 등 언어폭력으로 인해 발생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받고, 필요한 경우 약물 치료와 상담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1.
  • 심리 상담 및 치료: 전문 심리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언어폭력 경험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건강하게 처리하며, 손상된 자존감을 회복하고, 건강한 대처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17. 효과적인 심리치료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언어폭력으로 인해 형성된 부정적이고 왜곡된 생각(인지)과 부적응적인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보다 현실적이고 건강한 생각과 행동으로 변화시키도록 돕는 치료법입니다80. 특히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 생존자를 위해 개발된 CBT 기반 치료 프로그램들(예: Seeking Safety, STAIR, CTT-BW)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80.
    • 안구 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외상 기억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감정과 신체 감각을 처리하고 재통합하는 데 도움을 주어 PTSD 증상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81.
    • 대인관계치료 (Interpersonal Psychotherapy, IPT): 언어폭력으로 인해 손상된 대인관계를 회복하고, 건강한 관계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80. 특히 PTSD 증상 중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80.
    • 변증법적 행동치료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극심한 감정 조절의 어려움, 충동적인 행동, 불안정한 대인관계 등을 보이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81.
  • 상담기관 정보: 각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사설 심리상담센터, 그리고 여성긴급전화 136665, 다누리콜센터 1577-136664과 같은 전문 지원기관을 통해 상담 및 치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멘탈헬스코리아는 비슷한 아픔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지지하고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인 네이버 카페 <코코넛 커뮤니티>를 소개하며, 피해자들이 혼자가 아님을 느끼고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통로를 안내하고 있습니다17.

5.3. 주변인의 역할: 어떻게 지지하고 도울 수 있을까?

언어폭력 피해자에게 주변 사람들의 지지는 회복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82. 다음은 주변인이 피해자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한 몇 가지 방법입니다.

  • 경청과 공감: 피해자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할 때, 판단하거나 충고하려 하기보다는 진심으로 경청하고 그들의 감정에 공감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82. 피해자가 안전하다고 느끼고 자신의 이야기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비난하지 않기: “왜 진작 말하지 않았어?”, “네가 어떻게 했길래 그런 말을 들어?” 또는 “너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는 거 아니야?”와 같은 말은 피해자에게 더 큰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절대 삼가야 합니다83. 뉴욕주 보건부 가이드라인은 “가정폭력은 결코 당신 잘못이 아니며 당신은 가치 있는 사람임을 전달하라”고 강조합니다84.
  • 정보 제공 및 지원 연계: 피해자가 스스로 정보를 찾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용 가능한 전문기관(상담센터, 보호시설, 법률지원기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하다면 해당 기관에 연락하거나 방문하는 데 동행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85.
  • 안전 확보 지원: 피해자가 안전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해자로부터 일시적으로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함께 찾아보거나, 필요한 경우 경찰에 신고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 가해자 직접 대면 지양: 피해자의 동의 없이 주변인이 직접 가해자를 만나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거나 피해자를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82.
  •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 언어폭력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피해자가 지치지 않고 회복 과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보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4.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 및 개인적 노력

언어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후 대처뿐만 아니라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수적입니다86.

  • 인식 개선 캠페인 및 교육: 언어폭력의 심각성과 다양한 형태, 그리고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대중 캠페인과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31. 학교, 직장, 지역사회 등 다양한 현장에서 건강한 의사소통 방법, 갈등 해결 기술, 상호 존중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31. EBS CS 블로그에서는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를 분석한 후 부정적인 말을 순화해서 표현하는 연습”과 “예쁜 말을 사용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39.
  • 미디어의 책임 있는 역할: 미디어는 언어폭력을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콘텐츠 제작을 지양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힘써야 합니다.
  • 가정 내 건강한 소통 문화 조성: 부모 교육 등을 통해 가정 내에서부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건강한 의사소통 문화를 정착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폭력의 대물림을 끊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개인의 노력:
    • 자기 언어 습관 성찰 및 개선: 자신이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표현은 없는지 스스로 성찰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39.
    • 타인의 감정 존중 및 배려: 대화할 때 상대방의 감정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언어폭력 예방의 기본입니다39.
    • 방관자 역할 탈피: 주변에서 언어폭력이 발생하는 것을 목격했을 때 방관하지 않고, 피해자를 지지하거나 적절한 방식으로 개입하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에서도 목격 후 행동에 대한 통계가 수집되고 있습니다87.

언어폭력 극복과 예방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 전체의 관심과 시스템적 지원이 병행될 때 비로소 가능합니다. 특히 한국적 상황에서는 언어폭력에 대한 낮은 민감도와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합니다88. 피해자가 자신의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가해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 인식 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야 합니다89.

건강 관련 주의사항

  • 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언어폭력으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신체적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면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또는 심리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 만약 당신 또는 주변 사람이 긴급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경찰(112)이나 관련 긴급 지원기관(예: 여성긴급전화 1366)에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 언어폭력 피해 회복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을 비난하지 말고, 전문가와 주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제가 겪고 있는 것이 단순한 말다툼인지, 아니면 언어폭력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A: 언어폭력은 일시적인 감정싸움이나 말실수와는 다릅니다. 핵심적인 구분 기준은 의도성, 반복성, 통제 및 지배 욕구, 그리고 피해자의 자존감 손상 여부입니다3. 상대방이 당신을 심리적으로 괴롭히거나 통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모욕, 비난, 협박, 무시 등의 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이로 인해 당신의 자존감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두려움이나 무력감을 느낀다면 언어폭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가스라이팅과 같이 교묘한 수법은 판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으므로,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신뢰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4.

Q2: 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수법과 그 영향은 무엇인가요?

A: 가스라이팅은 피해자가 자신의 현실 감각과 판단력을 의심하게 만드는 교묘한 정서적 학대입니다17. 대표적인 수법으로는 기억 왜곡(“그런 일 없었어, 네가 잘못 기억하는 거야”), 감정 통제(“네가 너무 예민한 거야”), 비난 및 책임 전가(“너 때문에 일이 이렇게 된 거야”), 부인(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음), 피해자의 자존감 파괴(“너는 아무것도 제대로 못 해”) 등이 있습니다424. 가스라이팅의 영향은 매우 파괴적이어서, 피해자는 극심한 자기 의심, 혼란, 불안, 고립감, 무력감을 느끼고 결국 가해자에게 더욱 의존하게 되어 학대 관계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됩니다4.

Q3: 직장 내 언어폭력(상사의 폭언, 동료의 비방 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A: 직장 내 언어폭력은 심각한 문제이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언어폭력임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지 마십시오. 둘째, 가능하다면 가해자에게 명확히 경계를 설정하고 부당함을 표현하십시오. 셋째, 폭언 내용, 날짜, 시간, 장소, 목격자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증거를 확보하십시오(예: 녹음, 이메일 저장)76. 넷째, 사내 고충처리 담당자, 노동조합, 또는 외부 전문기관(예: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원회)에 상담 및 신고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에 따른 보호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섯째, 신뢰할 수 있는 동료나 가족에게 이야기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으십시오. 심리적 어려움이 크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22.

Q4: 언어폭력 피해로 인해 정신과 치료나 심리 상담을 받는 것이 망설여집니다. 꼭 필요한가요?

A: 언어폭력은 우울증, 불안장애, PTSD 등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3. 이러한 문제들은 혼자 힘으로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나 심리 상담은 약해 서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을 돌보고 회복하려는 용기 있는 선택입니다. 전문가는 당신의 이야기를 안전하게 경청하고, 맞춤형 치료 계획(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EMDR 등)을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되찾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8081. 초기 개입이 중요하므로, 어려움을 느낀다면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Q5: 주변 사람이 언어폭력 피해를 입고 있는 것 같은데, 어떻게 도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A: 주변 사람의 언어폭력 피해를 돕는 것은 매우 조심스럽지만 중요한 일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판단 없이 경청하고 공감하는 것입니다82. 피해자를 비난하거나 성급한 조언을 하기보다, 그들의 감정을 지지하고 안전하다고 느끼도록 도와주십시오. 피해자가 원한다면 정보를 제공하고(예: 상담센터, 법률 지원 안내), 필요한 경우 전문가 연결을 도울 수 있습니다85. 단, 피해자의 동의 없이 직접 가해자와 대면하는 것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82. 피해자가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되, 그 과정이 길고 어려울 수 있음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언어폭력은 보이지 않는 칼날처럼 피해자의 마음과 영혼에 깊은 상처를 남기는 심각한 학대 행위입니다. 본 KRHOW.COM 콘텐츠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언어폭력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가정, 직장, 학교, 온라인 등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영향 또한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 우울증, 불안장애, PTSD와 같은 정신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신체적 건강 악화, 사회적 고립 등 다면적인 고통을 초래합니다134.

중요한 것은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니며, 이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언어폭력을 인지하고, 용기를 내어 경계를 설정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고 주변의 지지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 사회에는 언어폭력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법적·제도적 지원책과 상담기관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63. 이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을 보호하고 회복의 길로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KRHOW.COM은 앞으로도 언어폭력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해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E-E-A-T)와 실질적인 도움(Helpfulness)을 제공함으로써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언어폭력으로 고통받는 모든 분들에게 작은 위로와 희망이 되고, 우리 사회가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예방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기억하십시오, 당신은 존중받을 가치가 있으며, 폭력 없는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가 있습니다.

면책 조항

본 글은 의료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참고 문헌

  1. [건강한 당신] 거친 말, 뇌 망가뜨려 ‘생각의 감옥’에 가둔다 – 중앙일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joongang.co.kr/article/19868916
  2. KRHOW.COM ‘언어폭력’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심층 분석 및 실행 계획 보고서 (제공된 자료). 2025. (내부 자료)
  3. Verbal abuse. EBSCO Research Starter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health-and-medicine/verbal-abuse
  4. Emotional and verbal abuse – Women’s Health.gov.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womenshealth.gov/relationships-and-safety/other-types/emotional-and-verbal-abuse
  5. 구글 검색 품질 평가 가이드라인 (일반적 지식).
  6. 기존 콘텐츠 분석: 전문성(Expertise) 평가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7. 기존 콘텐츠 분석: 전문성(Expertise) 평가 – 학술적 근거 미흡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8. 기존 콘텐츠 분석: 권위성(Authoritativeness) 평가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9. 기존 콘텐츠 분석: 신뢰성(Trustworthiness) 평가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10. 기존 콘텐츠 분석: 유용성(Helpfulness) 평가 – 가스라이팅 설명 미흡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11. 기존 콘텐츠의 E-E-A-T 수준과 검색 순위 (보고서 II.A). (제공된 자료)
  12. 기존 콘텐츠 분석: 강점 (보고서 II.B). (제공된 자료)
  13. 기존 콘텐츠 분석: 약점 – E-E-A-T 부족 (보고서 II.B). (제공된 자료)
  14. 기존 콘텐츠 분석: 약점 – 한국적 맥락 및 구체성 결여 (보고서 II.B). (제공된 자료)
  15. 기존 콘텐츠 분석: 약점 – 실질적인 해결책 제시 미흡 (보고서 II.B). (제공된 자료)
  16. 기존 콘텐츠 분석: 개선 기회 – E-E-A-T 강화 (보고서 II.B). (제공된 자료)
  17. [언어 폭력의 모든 것] 언어 폭력 유형 총정리(가스라이팅, 판단, 조롱…). 멘탈헬스코리아.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entalhealthkorea.org/36/?bmode=view&idx=15138055
  18. 언어폭력의 다양한 유형 (보고서 III.B). (제공된 자료)
  19. 언어폭력 유형 이해의 중요성 (보고서 III.B). (제공된 자료)
  20. 명시적 언어폭력: 욕설 및 모욕 (보고서 III.B). (제공된 자료)
  21. “머리는 폼이냐”… 직장 내 괴롭힘 30% 상사의 언어폭력 – 조선일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06/06/OG45T2I7MVBK5JHGFBUXWPSE2M/
  22. 병원 내 언어폭력에 노출된 임상 간호사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 PMC.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34179/
  23. What is Verbal Abuse? – Domestic Shelter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domesticshelters.org/articles/identifying-abuse/what-is-verbal-abuse
  24. 가스라이팅 당한 당신에게 일어나는 변화 – 브런치스토리.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brunch.co.kr/@@4Ypp/389
  25. 아동학대 < 지식창고 – 법제처.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oleg.go.kr/legnl/legnlInfo.mo?mid=a10403000000&leg_nl_pst_seq=803
  26. 언어폭력의 발생 맥락 (보고서 III.C). (제공된 자료)
  27. 한국 사회 특수성 고려의 중요성 (보고서 III.C). (제공된 자료)
  28. 연구보고서 – 보고서 – 발간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년 가정폭력 및 노인학대 관련).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research/view?seq=27789 (주의: 해당 링크는 특정 보고서가 아닌 목록 페이지일 수 있으며, 원문에서 인용한 2016년 보고서 내용을 참조함)
  29. 당신의 가정에. NIWAP Library.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niwaplibrary.wcl.american.edu/wp-content/uploads/Korean-Version-of-Are-You-Safe-at-Home-first-draft_JL-4-17.pdf
  30. 직장 내 괴롭힘 행위 예시와 구체적 사례 (노무사) – 네이버 블로그.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m.blog.naver.com/injeong0807/222915891784
  31. www.kicj.re.kr (청소년 비행 및 형사사법 연구 동향 2000).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icj.re.kr/boardDownload.es?bid=0001&list_no=9655&seq=1
  32.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if-blog.tistory.com/14704
  33.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2」보고서 발간 – 통계청.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246&list_no=422751&seq=11 (주의: 해당 링크는 보고서 다운로드이며, 원문에서 인용한 2022년 보고서 내용을 참조함)
  34. 대화창 등을 통해 대화를 하는 경우 <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하기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popMenu=ov&csmSeq=659&ccfNo=6&cciNo=1&cnpClsNo=1
  35. 언어폭력 관련 법률 (정보통신망법, 스토킹처벌법 등) (보고서 V.B). (제공된 자료) 구체적 조항 및 처벌은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또는 국가법령정보센터 참조.
  36. 중학생의 악성댓글 목격 양상과 공격성, 충동성, 자극추구성향이 악성댓글 참여에 미치는 영향 – RISS 검색.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82101814a5de01a4884a65323211ff0
  37. 언어폭력의 원인 및 가해자 특성 (보고서 III.D). (제공된 자료)
  38. What causes mental health problems? – Mind.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ind.org.uk/information-support/types-of-mental-health-problems/mental-health-problems-introduction/causes/
  39. 언어폭력, 해결방법은 무엇일까? : 네이버 블로그 (EBS C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blog.naver.com/ebscs/221075699016?viewType=pc
  40. 한국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의 언어폭력 발생 (보고서 III.D). (제공된 자료)
  41. 언어폭력의 영향 및 결과 (보고서 IV). (제공된 자료)
  42. 언어폭력의 광범위한 영향 (보고서 IV). (제공된 자료)
  43. Emotional Abuse | Text CONNECT to 741741 for FREE support. Crisis Text Lin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crisistextline.org/topics/emotional-abuse/
  44.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on Mental Health Outcomes in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Gat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5764517_The_Impact_of_Childhood_Psychological_Maltreatment_on_Mental_Health_Outcomes_in_Adulthood_a_Systematic_Review_and_Meta-Analysis
  45. The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of child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ubMed.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23209385/
  46.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Verbal Abuse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PMC.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48921/
  47.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PTSD among nurses in Liaoning Province,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 Frontier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ology/articles/10.3389/fpsyg.2023.1090451/full
  48.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S-Spac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63033/1/1_%EA%B9%80%EC%98%81%EA%B7%BC(6.28)_%EC%B5%9C%EC%A2%85.pdf
  49. 한국 내 특정 집단에 대한 영향 분석 (보고서 IV.C). (제공된 자료)
  50.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언어폭력 영향 (보고서 IV.C). (제공된 자료)
  51. Elder abuse: How to spot warning signs, get help, and report mistreatment. APA.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apa.org/topics/aging-older-adults/elder-abuse
  52. 2019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 결과 발표 – 보건복지부.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355372&tag=&nPage=325 (주의: 해당 링크는 보건복지부의 다른 게시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원문에서 인용한 2019년 보고서 내용을 참조함. 동일 보고서 국립재활원 링크: https://www.nrc.go.kr/portal/board/boardView.do?no=17523&fno=39&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menu_cd=10_01&bno=&pageIndex=1&search_item=&search_content=)
  53.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로 살펴본 우리나라 아동의 삶. KIHASA.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ihasa.re.kr/api/kihasa/file/download?seq=29738
  54.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 KIHASA.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ihasa.re.kr/hswr/v.42/1/125/%3Cstrong%20style= (주의: URL 일부 누락 가능성, 원문 인용 내용 참조)
  55.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 of verbal abuse against nurses: A … – PubMed.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9824790/
  56. 모욕죄 – 나무위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namu.wiki/w/%EB%AA%A8%EC%9A%95%EC%A3%84
  57.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 및 처벌관련 규정 – 아동복지센터.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child.seoul.go.kr/archives/155
  58. 법적 처벌의 한계 (보고서 V.B). (제공된 자료)
  59. [최우성의 올 어바웃 학폭] ‘공간도, 양태도’…진화하는 학교폭력. 교육플러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96
  60. 결정례 상세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case.humanrights.go.kr/dici/diciSearchView.do?key=19-%EC%A7%84%EC%A0%95-0258900
  61. 한국 사회의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 및 문화적 맥락 (보고서 V.C). (제공된 자료)
  62. [다큐 공감]언어폭력, 선플에서 희망을 보다 – 메디컬월드뉴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397484615
  63. 피해자 지원 시스템 및 관련 기관 현황 (보고서 V.D). (제공된 자료)
  64. 다누리콜센터1577-1366 운영안내 – 다누리 지역지원센터.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liveinkorea.kr/center/page/contents.do?menuSeq=180
  65. 채팅 상담실 – 여성폭력 사이버 상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women1366.kr/?menuno=229
  66. 정신건강 지원 (보고서 V.D). (제공된 자료). 각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정보는 해당 지자체 웹사이트 또는 보건복지부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67. [단독][취재파일] “의견 말하지 못하고 무기력”…의대생 정신건강 가이드라인 나온다 – SBS 뉴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048758
  68. 2019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 결과 발표 – 국립재활원.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nrc.go.kr/portal/board/boardView.do;jsessionid=KMReC2ZHIw4YdPYIttBvswqXxymZHGL4dEmiWDVbu28VqwCsv7nDOsLxQ9ntqzZQ.mohwwas1_servlet_engine30?no=17523&fno=&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menu_cd=01_03&bno=&pageIndex=&search_item=&search_content= (보건복지부와 동일 보고서)
  69. 오세훈 시장, 세계 도시 최초 「메타버스 서울」로 시민 초대. 서울솔루션.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seoulsolution.kr/ko/content/9824 (주의: 해당 링크는 메타버스 서울 관련이며, 120민원 채팅상담은 서울시 대표 포털 등에서 확인 필요)
  70. 피해자 지원 정보 접근성 제고 (보고서 V.D). (제공된 자료)
  71. 언어폭력 극복 및 대응·예방 전략 (보고서 VI). (제공된 자료)
  72. 피해자를 위한 즉각적 및 장기적 대처 전략 (보고서 VI.A). (제공된 자료)
  73. 우리의 영혼을 파괴하는 ‘언어폭력’ – 브런치스토리.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brunch.co.kr/@@5GWI/10
  74. 정서적 학대에서 벗어나기 | 비벌리 엔젤 – 교보문고.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833593
  75. ‘난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인데’ 사실 독이었다 | 정신과 의사가 밝히는 교묘한 언어폭력 5가지. 유튜브 (채널명 등 구체 정보 필요, 원문 인용처 확인).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Lto2KHBxIo (주의: 제공된 URL은 일반적인 유튜브 링크로, 실제 영상 확인 필요)
  76. 증거 확보의 중요성 (보고서 VI.A). (제공된 자료)
  77. 증거 확보 방법 (보고서 VI.A). (제공된 자료)
  78. Emotional abuse: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s – Medical News Today.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27080
  79. 전문적 도움의 중요성 (보고서 VI.B). (제공된 자료)
  80. Treating Women Who Have Experienced Intimate Partner Violence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psychiatry.org/File%20Library/Psychiatrists/Cultural-Competency/IPV-Guide/APA-Guide-to-IPV-Among-Women.pdf
  81. 가스라이팅을 치료하기 위한 심리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 닥터나우.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doctornow.co.kr/content/qna/5211ef7f7dca41cf94b4be5cefcea362
  82. What Is Emotional Abuse & Things You Should Know | NSPCC.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nspcc.org.uk/what-is-child-abuse/types-of-abuse/emotional-abuse/
  83. What Is Domestic Abuse? – the United Nation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un.org/en/coronavirus/what-is-domestic-abuse
  84. August 11, 2021 DHDTC DAL 21-07 Dear Chief Executive Officer: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nform hospitals that the New Yor –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 NY.gov.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health.ny.gov/professionals/hospital_administrator/letters/2021/docs/dal_21-07.pdf
  85. Intimate partner violence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apa.org/topics/physical-abuse-violence/intimate-partner
  86.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노력 (보고서 VI.D). (제공된 자료)
  87. 학교폭력 피해 경험(9~17세) 30.3 (%) – KOSIS 국가통계포털.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kosis.kr/search/search.do?query=%ED%95%99%EA%B5%90%ED%8F%AD%EB%A0%A5 (주의: 링크는 일반 검색 결과이며, 원문에서 인용한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내 목격 후 행동 통계 내용을 참조함)
  88. 한국적 상황 고려의 중요성 (보고서 VI.D). (제공된 자료)
  89. 피해자 지원 및 예방 교육의 지속 (보고서 VI.D). (제공된 자료)
  90. KRHOW.COM 신규 게시글 제작을 위한 상세 실행 계획 (보고서 VII). (제공된 자료)
  91. KRHOW.COM ‘언어폭력’ 콘텐츠 성공을 위한 최종 제언 (보고서 VIII). (제공된 자료)
  92. Identifying psychological abuse –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counseling.org/publications/counseling-today-magazine/article-archive/article/legacy/identifying-psychological-abuse
  93. Intimate Partner Abuse and Relationship Violence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apa.org/about/division/activities/partner-abuse.pdf
  94. Psychological abuse – Wikipedia.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Psychological_abuse
  95. 소식알림> 채용공고 > 2019 전국 장애인 학대 현황 보고서 결과 발표 내용보기 | 국립재활원.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nrc.go.kr/nrc/board/boardView.do;jsessionid=KMReC2ZHIw4YdPYIttBvswqXxymZHGL4dEmiWDVbu28VqwCsv7nDOsLxQ9ntqzZQ.mohwwas1_servlet_engine30?no=17523&fno=&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menu_cd=01_03&bno=&pageIndex=&search_item=&search_content= (보건복지부와 동일 보고서, 다른 경로)
  96. 정서적 학대 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련성에서 거절 … – RIS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cbddfe64bbd5a05f7f7a54760bb41745
  97. Understanding Emotional Abuse – Military OneSourc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militaryonesource.mil/resources/millife-guides/emotional-abuse/
  98. Emotional Abuse – CO4Kid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co4kids.org/child-abuse-neglect/types-of-abuse/emotional-abuse/
  99. Psychological Partner Abuse – amanda b. robottom.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amandabrobottom.com/uploads/1/4/6/2/146206179/psychological_partner_abuse-web_version.docx
  100.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a clinical setting: challenge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MC.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768511/
  101. APSAC ANNOUNCES REVISIONS TO ITS DEFINITIONS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apsac.org/apsac-announces-revisions-to-its-definitions-of-psychological-maltreatment/
  102. About Abuse of Older Persons – CDC.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cdc.gov/elder-abuse/about/index.html
  103. Abuse and neglect of adults at risk (safeguarding) – Social care and support guide – NHS.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nhs.uk/social-care-and-support/help-from-social-services-and-charities/abuse-and-neglect-adults-at-risk/
  104. Signs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buse | Knowsley Council.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nowsley.gov.uk/adult-social-care/safeguarding-adults/types-abuse/emotional-and-psychological-abuse/signs-emotional
  105.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정서적 방임이 초기 성인기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6c0bc7ca3865c77ab7998d826d417196
  106.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아동기 외상경험과 우울, 불안 증상의 관계).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b1f555bfc564e5fbc85d2949c297615a
  107. Domestic Violence – Department of Justic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justice.gov/ovw/domestic-violence
  108. Psychology of Abusive Human Behavior – Scientific Research Publishing.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scirp.org/journal/paperinformation?paperid=116357
  109. Behind Closed Doors: How Providers Can Help Stop the Cycle of Emotional Abuse in Older Adults – Consult QD.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consultqd.clevelandclinic.org/behind-closed-doors-how-providers-can-help-stop-the-cycle-of-emotional-abuse-in-older-adults
  110. Assessment of Emotional Abuse – 0070-534.10 – DCFS Policy Institute Websit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olicy.dcfs.lacounty.gov/Policy?id=5743
  111. Full article: Assessment of anhedonia in psychological trauma: development of the Hedonic Deficit and Interference Scale – Taylor & Francis Onlin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3402/ejpt.v3i0.8585
  112. [김영배의 THE교육] 부모의 정서적 방치와 공허감의 치유 – 더에듀.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te.co.kr/news/article.html?no=25834
  113. Assessing for bruises on the soul: Identifying and evidencing childhood emotional abuse. University of Greenwich.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gala.gre.ac.uk/id/eprint/28458/1/28458%20NORTH_Assessing_For_Bruises_on_the_Soul_%28AAM%29_2019.pdf
  114. Child Maltreatment and Adult Sexual Assault: An Investiga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Associations – UCL Discovery.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discovery.ucl.ac.uk/id/eprint/10199577/1/Pezzoli_Child%20Maltreatment%20and%20Adult%20Sexual%20Assault%20Victimization_AAM.pdf
  115. 학교폭력의소개. 시그마프레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www.sigmapress.co.kr/shop/shop_image/g11733_1495096678.pdf
  116. 직장 내 ‘가스라이팅’ 극복 하기! “가스라이팅 (ga… – 커리어리.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careerly.co.kr/comments/58603
  117.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 별밤서재.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byeolbam.co.kr/shop/item.php?it_id=9788925564302
  118. 자존감 상처 주는 가스라이팅, 혹시 당신도 가해자? – 중앙일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68090
  119.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하기 > 인터넷으로 대화하기 > 대화창 등을 통해 대화를 하는 경우 > 언어폭력에 대처하는 방법 (본문)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59&ccfNo=6&cciNo=1&cnpClsNo=1
  120. 교육부, 학교폭력 실태조사…언어폭력 37.1%로 가장 많아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korea.kr/news/customizedNewsView.do?newsId=148923799
  121. ‪Jisu Shin‬ – ‪Google Scholar‬.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2_GKpUwAAAAJ&hl=ja
  122. Machine Learning Prediction of Attachment Type From Bio-Psyc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 Psychiatry Investig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sychiatryinvestigation.org/include/download.php?filedata=1887%7Cpi-2024-0392.pdf
  123. Guidelines on Key Considerations for Working With Adults With PTSD and Traumatic Stress Disorders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apa.org/about/policy/adults-ptsd-traumatic-stress-guidelines.pdf
  124. Experience of violence, social support,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burnout on mental health among mental health nurses 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 PubMed.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9053992/
  125. 인격장애와 정신질환을 묶어 보도하지 마세요: 정신장애보도 가이드 2.0 – 슬로우뉴스.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slownews.kr/86343
  126. Recognising and responding to domestic violence and abuse – NICE. 2025년 5월 23일 접속, https://www.nice.org.uk/about/nice-communities/social-care/quick-guides/recognising-and-responding-to-domestic-violence-and-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