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군 연쇄상구균(GBS)은 대부분의 건강한 성인에게는 무해한 공생균이지만, 신생아에게는 패혈증, 폐렴, 뇌수막염 등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원인균입니다. 특히 한국의 예비 부모님들께서는 GBS에 대한 상반된 정보와 병원마다 다른 지침 때문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KRHOW 편집위원회는 이 기사를 통해 GBS의 정확한 실체, 국내외 현황, 최신 예방 전략 및 부모님들이 실질적으로 취할 수 있는 단계별 행동 계획을 총망라하여 제공함으로써,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아기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명확한 길잡이가 되고자 합니다.
이 기사의 과학적 근거
이 기사는 최고 품질의 의학적 근거에만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목록은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참조된 정보 출처와 의학적 지침을 포함합니다.
핵심 요약
- GBS는 질병이 아닌 ‘보균’ 상태입니다: 약 10~30%의 건강한 임산부가 GBS를 보유하며, 이는 질병이 아닌 신생아 감염의 ‘위험 요인’으로 간주됩니다.1
- 임신 36-37주 선별검사가 핵심입니다: GBS 보균 상태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출산 시점과 가장 가까운 임신 36-37주에 검사를 받는 것이 신생아 감염 예방의 표준입니다.8
- 항생제 예방요법(IAP)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GBS 양성 산모가 분만 중 항생제를 정맥 주사로 투여받으면 신생아의 조기 발현형 GBS 감염 위험을 약 1/200에서 1/4,000 수준으로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 출산 후에도 경계가 필요합니다: 항생제 예방요법은 출생 후 7일 이후에 발생하는 ‘후기 발현형’ GBS 질환은 막지 못하므로, 부모는 출생 후 3개월까지 아기의 감염 징후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14
모듈 1: B군 연쇄상구균(GBS)의 이해 – 침묵의 공생균
많은 예비 부모님들에게 ‘GBS 양성’이라는 진단은 큰 불안감을 안겨줍니다. 하지만 GBS의 정확한 정체를 이해하는 것이 불필요한 공포를 줄이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첫걸음입니다.
B군 연쇄상구균이란 무엇인가?: 미생물학적 프로필
B군 연쇄상구균(Group B Streptococcus, GB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에(Streptococcus agalactiae)는 사슬 모양으로 배열된 공 모양의 그람 양성 세균입니다.1 이 세균은 ‘상재균’으로, 건강한 사람의 몸에 자연스럽고 무해하게 존재합니다. GBS는 주로 건강한 성인의 약 10%에서 30%의 위장관과 생식기계에서 발견되며, 임산부를 포함하여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1 실험실 환경에서 GBS는 혈액 한천 배지에서 배양 시 베타 용혈(적혈구 파괴)을 일으키는 능력이나, 산소가 있거나 없는 환경 모두에서 자랄 수 있는 ‘조건부 혐기성 세균’과 같은 특징적인 생물학적 특성을 통해 확인됩니다.1 ‘B군’이라는 명칭은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특정 탄수화물인 랜스필드 항원을 기반으로 한 분류에서 유래했습니다.1
산모의 몸에 GBS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많은 부모에게 걱정스러운 역설을 만듭니다. 산모에게는 완전히 정상적이고 무해한 세균이 신생아에게는 패혈증, 폐렴, 뇌수막염을 포함한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점입니다.4 여기서 중요한 것은 GBS가 산모에게 ‘감염병’이 아니라 태아에게 ‘위험 요인’이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위험은 세균의 존재 자체가 아니라, 면역 체계가 미숙한 신생아에게 분만과 출산이라는 매우 민감한 시기에 전파될 가능성에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의 재정립은 불안을 관리하고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첫 단계입니다.
보균과 감염의 결정적 차이
GBS의 맥락에서 ‘보균(colonization)’과 ‘감염(infection)’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보균, 즉 집락 형성은 GBS가 신체에 존재하지만 어떠한 증상이나 질병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7 대부분의 임산부에게 GBS 검사 양성 결과는 단지 그들이 보균자임을 의미할 뿐, 병에 걸렸다는 뜻은 아닙니다.9
반면, GBS 감염은 세균이 신체 조직으로 침투하여 질병을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건강한 성인에게는 드물지만, GBS는 임산부에게 요로 감염(UTI), 융모양막염(양막과 양수 감염), 또는 산후 자궁내막염과 같은 실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1
GBS 보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그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성질입니다. 세균의 집락 형성은 “간헐적이거나, 일시적이거나, 또는 지속적”일 수 있습니다.12 이는 한 여성이 임신 초기에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후기에 양성으로 바뀔 수 있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7 바로 이러한 변동성 때문에 의료 지침은 임신 후반기, 보통 36주에서 37주 사이에 GBS 선별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더 일찍 시행된 검사는 전파 위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점인 분만 시 산모의 GBS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습니다.8 선별검사의 목표는 산모의 몸에서 세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 시의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분만 시점의 산모 상태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GBS 유병률: 전 세계와 한국의 현황
GBS를 보균한 임산부의 비율은 전 세계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과 같은 서구권에서는 이 비율이 10%에서 30%로 추정됩니다.8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평균 약 18%의 임산부가 GBS를 보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약 319,000건의 신생아 질환과 90,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아프리카에서 질병 부담이 가장 높다고 추정합니다.14
반면,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GBS 보균율은 2.6%에서 10% 사이로 훨씬 낮습니다.8 전반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이 낮은 비율을 보이며, 한국은 그 중에서도 가장 낮은 국가군에 속합니다.15
이러한 유병률의 차이는 임상 전략의 차이를 낳는 주요 원인입니다. 보균율과 질병 부담이 높은 미국에서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미국산부인과학회(ACOG)가 모든 임산부에 대한 ‘보편적 선별검사’를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5 그러나 한국에서는 낮은 보균율로 인해 보편적 선별검사의 필요성과 비용 효율성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습니다.15 결과적으로, 통일된 국가 지침이 부재하며 많은 한국 병원들이 자체 규정에 따라 ‘선별적 검사’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임산부의 GBS 관리 경로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분만을 등록한 병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실은 부모가 자신의 병원의 GBS 선별검사 정책에 대해 능동적으로 알아보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모듈 2: 신생아와 GBS – 가장 중요한 문제
산모에게 무해했던 GBS가 신생아에게 어떻게, 그리고 왜 위험한지를 이해하는 것은 예방의 중요성을 깨닫는 핵심입니다.
전파 경로: 산모에서 아기에게로
GBS가 산모에서 아기에게 전파되는 주된 경로는 분만 중 발생하는 ‘수직 감염’입니다. 진통이 시작되거나 양막이 파열되면, 산모의 질과 직장에 있던 GBS 세균이 양수 위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13 태아는 자궁 내에서 호흡하고 삼키는 과정에서 이 오염된 양수를 흡입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세균이 아기의 폐로 침투하여 폐렴(pneumonia)을 일으키고, 거기서부터 혈액으로 빠르게 퍼져 패혈증(sepsis)을, 그리고 뇌에 도달하여 뇌수막염(meningiti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4 드물지만, GBS는 온전한 양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2
중요한 점은 GBS 보균 산모에게서 태어난 모든 아기가 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치료받지 않은 GBS 보균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의 약 절반이 세균에 집락화(감염되었으나 증상 없음)됩니다. 이 아기들 중에서 약 1-2%만이 ‘침습성 GBS 질환(invasive GBS disease)’으로 발전합니다.15 이 비율이 작아 보일 수 있지만, 많은 출산 건수를 고려할 때 GBS는 여전히 신생아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조기 발현형 GBS 질환 (EOD): 생후 첫 1주일
조기 발현형 GBS 질환(Early-Onset GBS Disease, EOD)은 출생부터 생후 6일까지 발생하는 GBS 질환으로 정의되며, 대부분의 사례는 생후 24-48시간 이내에 나타납니다.1 EOD의 주요 임상 양상은 패혈증, 폐렴, 뇌수막염입니다.19 이는 신생아에게 매우 심각한 상태입니다.
부모는 EOD의 경고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종종 비특이적이며 다른 문제와 혼동될 수 있습니다. 다음 증상들을 포함합니다:
- 늘어짐(기면): 아기를 수유하기 위해 깨우기 어렵거나 매우 피곤해 보입니다.
- 보챔(자극과민성): 아기가 지속적으로 울고, 울음소리가 날카로우며 달래기 힘듭니다.
- 수유 곤란 또는 수유 거부.
- 불안정한 체온: 고열(38.0°C 이상) 또는 저체온증(36.5°C 미만).
- 호흡 문제: 빠른 호흡, 헐떡임, 신음, 코 벌렁거림.
- 피부색 변화: 창백하거나, 청색증, 또는 대리석양 피부.21
예방 조치와 적극적인 치료 덕분에 만삭아의 EOD로 인한 사망률은 약 2-5%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조산아의 경우 위험은 여전히 훨씬 높으며, 사망률은 최대 19%에 이를 수 있습니다.6
후기 발현형 GBS 질환 (LOD): 뒤늦은 위협
후기 발현형 GBS 질환(Late-Onset GBS Disease, LOD)은 생후 7일부터 90일 사이에 발생하는 GBS 질환으로 정의됩니다.1 EOD와 달리, LOD의 감염원은 덜 명확합니다. 아기는 산모(예: 밀접 접촉)로부터 또는 다른 돌봄 제공자를 포함한 주변 환경으로부터 감염될 수 있습니다.22 LOD 사례에서는 EOD에 비해 뇌수막염이 더 흔한 임상 양상입니다.23
현재 GBS 예방 전략의 가장 중요한 한계 중 하나는 그것이 오직 EOD에만 효과적이라는 점입니다. 분만 중 항생제 예방요법(Intrapartum Antibiotic Prophylaxis – IAP)은 출산 시 산모에서 아기로의 GBS 전파를 막는 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EOD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6 그러나 이 전략은 출산 후에 발생하는 LOD 감염은 예방하지 못합니다.14
“분만 중 항생제 예방요법(IAP)은 조기 발현형 질환을 예방하는 데는 성공적이지만, 후기 발현형 질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모체 백신 개발을 시급한 공중 보건 우선 과제로 삼는 이유입니다.”
– 세계보건기구(WHO)14
이는 분만 과정이 완벽하게 관리되고 산모가 충분한 용량의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받았더라도, 신생아가 GBS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모는 아기의 생후 첫 3개월 동안 질병의 징후를 계속 경계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이러한 한계는 전 세계적으로 GBS 백신 연구 개발을 촉진하는 동력이 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백신이 EOD와 LOD 모두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14
위험 요인과 예후: 부모가 알아야 할 사실
GBS 보균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의 경우, 조기 발현형 GBS 질환(EOD) 발생 위험을 현저히 높이는 몇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의 위험 수준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요인들을 알아야 합니다. 주요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산: 임신 37주 미만에 출산.
- 장기간의 양막 파수: 분만 전 양막이 18시간 이상 파열된 상태.
- 분만 중 발열: 산모의 체온이 38.0°C 이상인 경우.
- 이전 GBS 감염아 출산력: 이전에 침습성 GBS 질환을 앓은 아기를 출산한 경험.
- GBS 요로 감염: 현재 임신 중 산모의 소변에서 GBS가 발견된 경우.6
GBS 질환의 예후는 솔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사망률은 감소했지만, 장기적인 후유증은 여전히 큰 우려 사항입니다. GBS로 인한 뇌수막염에서 생존한 신생아의 약 15-30%가 뇌성마비, 실명, 난청, 또는 지적 발달 장애와 같은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21 이러한 심각한 결과는 예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모듈 3: 예방과 관리 – 임상적 전략
현대 의학은 GBS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전략의 핵심은 선별검사, 예방적 항생제 사용, 그리고 신생아 관리에 있습니다.
예방의 초석: 산전 선별검사
현대 GBS 예방 전략의 기초는 GBS 보균 임산부를 식별하기 위한 산전 선별검사입니다. 이 선별검사의 ‘표준 검사법(Gold Standard)’은 배양 검사입니다. 과정은 단일 면봉으로 산모의 질 하부와 직장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것을 포함합니다.8
이 검사를 시행하는 시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산부인과학회(ACOG)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지침에 따르면, 최적의 시기는 임신 36주 0일에서 37주 6일 사이입니다.8 이 기간은 41주까지의 분만을 포함하여 5주 동안 높은 예측 정확도를 제공하는 창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되었습니다.12
배양법 외에도 핵산증폭검사(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s – NAAT)와 같은 다른 검사 방법도 존재합니다. NAAT는 배양보다 훨씬 빠르게 결과를 제공하지만, 위음성률이 더 높아 현재 정기적인 산전 선별검사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GBS 상태를 알 수 없는 산모가 분만 중일 때 신속한 결과를 얻기 위해 NAA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2
분만 중 항생제 예방요법 (IAP): 보호막
임산부가 GBS 보균자로 확인되면, 아기를 보호하기 위한 주요 개입 조치는 분만 중 항생제 예방요법(IAP)입니다. IAP는 분만 과정 동안 산모에게 정맥 주사(IV)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목표는 산모의 생식기 내 GBS 양을 줄여 아기에게 전파될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IAP 사용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임신 중 GBS 선별검사 결과 양성.
- 임신 중 어느 시점에서든 소변에서 GBS 발견(GBS 요로 감염).
- GBS 질환아 출산력.
- GBS 상태를 모르지만 분만 중 위험 요인(조산, 발열, 장기간 양막 파수)이 있는 경우.8
IAP에 첫 번째로 선택되는 항생제는 페니실린 G입니다. 페니실린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경우, 대체 약물이 고려됩니다. 알레르기 위험이 낮은 사람에게는 세파졸린이 자주 사용됩니다.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고위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클린다마이신이나 반코마이신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선택은 해당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11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산모가 분만 최소 4시간 전에 항생제를 투여받아야 합니다.28
IAP는 EOD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킨 매우 성공적인 공중 보건 개입이지만18, 광범위한 항생제 사용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도 따릅니다.2 항생제 내성 증가 위험과 신생아 장내 미생물군에 대한 잠재적인 장기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18 클린다마이신과 같은 대체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어 페니실린 알레르기 사례 관리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30 이러한 이점과 위험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은 비항생제 예방 방법, 즉 백신을 찾아야 하는 이유를 더욱 강화합니다.
신생아 관리 프로토콜
출생 후 신생아 관리는 위험 평가 알고리즘에 따라 조정됩니다. 고려되는 요소에는 아기의 재태 주수, 산모의 GBS 상태, 산모가 받은 IAP 요법의 적절성, 그리고 아기의 임상 징후가 포함됩니다.18
- 저위험군 아기: 만삭아로, 충분한 IAP(예: 분만 4시간 전 페니실린 투여)를 받은 산모에게서 태어나 완전히 건강해 보이는 아기는 보통 병원에서 정기적인 관찰만 필요합니다.
- 고위험군 아기: 조산아, 불충분한 IAP를 받은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 또는 호흡 곤란이나 기면과 같은 감염 징후가 있는 아기는 더 철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이 평가는 보통 혈액 배양 검사와 결과가 나올 때까지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을 포함합니다.24
산과와 소아과 팀 간의 긴밀한 협력은 산모의 GBS 상태와 IAP 치료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어 신생아에게 최상의 치료 결정을 내리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의 미래: GBS 백신의 가능성
GBS 질환 예방의 궁극적이고 이상적인 목표는 산모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WHO는 이를 전 세계 공중 보건 분야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지정했습니다.14
GBS 백신의 작용 기전은 임신 중기 또는 후기에 임산부에게 접종하는 것입니다. 백신은 산모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보호 항체를 생성하게 합니다. 이 항체들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됩니다.14 덕분에 아기는 GBS 세균의 침입에 대항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항체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백신의 뛰어난 장점은 예방적 항생제 요법(IAP)의 가장 큰 한계를 극복하여 조기 발현형(EOD)과 후기 발현형(LOD) GBS 질환 모두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14 현재 개발 중인 GBS 백신 후보들은 질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GBS 혈청형(예: Ia, Ib, II, III, V) 여러 가지를 표적으로 하는 다가 백신으로, 가능한 가장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14 비록 백신은 아직 개발 단계에 있고 시판되지는 않았지만, 신생아 GBS 질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미래를 약속합니다.
모듈 4: 한국 예비 부모를 위한 실행 계획
GBS에 대한 지식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가치가 있습니다. 한국의 의료 환경을 고려하여 예비 부모님들이 임신부터 출산 후까지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합니다.
임신 주수별 GBS 여정: 단계별 가이드
임신 중 GBS 여정은 명확한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를 이해하면 부모가 건강 관리에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임신 초기 및 중기 (1분기 & 2분기): 정기 산전 검진 시 요로 감염(UTI)이 발견되면, 소변 검체에서 GBS 검사도 함께 이루어졌는지 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만약 소변 검사에서 GBS 양성 반응이 나왔다면(증상이 없더라도), 이는 추후 선별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분만 중 자동으로 항생제 투여 대상이 됨을 의미합니다.8
- 임신 3분기 초반 (~30-34주): 의사나 병원과 대화를 시작하기에 이상적인 시기입니다. 구체적으로 “병원의 GBS 선별검사 정책은 무엇인가요? 모든 산모를 대상으로 36주경에 보편적 선별검사를 시행하나요?”라고 질문하십시오. 이 질문은 한국의 불일치한 정책 상황에서 매우 중요합니다.15
- 선별검사 기간 (36-37주): GBS 검사를 받기에 권장되는 시기입니다. 이것은 통증 없는 간단한 면봉 검사입니다. 아기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정기적인 선별 과정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오.9
- 진통 및 분만: 본인의 GBS 상태(양성, 음성, 또는 미확인)가 분만실의 모든 의료진에게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하십시오. 만약 GBS 양성이라면, 자신의 상태와 알레르기 병력(특히 페니실린 알레르기)을 상기시켜 주십시오.
GBS 검사 결과 해석하기
검사 결과를 받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각 결과의 의미와 해당 조치 계획을 설명하여 임상 정보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계획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GBS 상태 (검사 결과) | 산모에게 의미 | 아기에게 의미 | 임상적 조치 계획 |
---|---|---|---|
양성 (Positive) | 산모는 건강한 GBS 보균자입니다. 이는 흔한 상태이며 질병이 아닙니다.1 | 분만 중 아기에게 세균이 전파될 작지만 심각한 위험이 있습니다.8 | 분만 중 정맥 주사 항생제(보통 페니실린)를 투여받아 아기의 위험을 현저히 줄입니다.28 |
음성 (Negative) | 검사 시점에 GBS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9 | 아기가 GBS 질환에 걸릴 위험이 매우 낮습니다.13 | GBS 예방을 위한 항생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미확인 (Unknown) | 산모의 GBS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 (예: 미검사, 조기 진통). | 위험은 다른 요인들을 기반으로 평가됩니다. | 위험 요인(37주 미만 진통, 18시간 이상 양막 파수, 발열)이 있는 경우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24 |
출산 계획서 작성을 위한 GBS 체크리스트
출산 계획을 세울 때 의사와의 효과적이고 구조적인 논의를 위해 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십시오.
- [ ] 저의 36-37주 GBS 검사 결과는: [ ] 양성 [ ] 음성 입니다.
- [ ] 저는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 ] 있습니다 [ ] 없습니다. 만약 있다면, 저를 위한 대체 항생제 계획은 무엇인가요?28
- [ ] 분만 중 정맥 주사 항생제 투여 계획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 ] 출생 후 아기를 돌볼 소아과 팀에게 저의 GBS 상태가 어떻게 전달되나요?2
- [ ] 병원과 집에서 제가 관찰해야 할 신생아 GBS 감염 징후는 무엇인가요?21
출생 후: 신생아 GBS 질환 징후 관찰하기
출생 후 아기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 GBS 질환의 ‘적신호’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다음 사항을 관찰하십시오:
- 날카롭거나 달랠 수 없는 울음소리.
- 수유를 위해 깨우기 어려운 기면 상태.
- 수유를 잘 하지 않거나 거부함.
- 고열(38°C 이상) 또는 저체온(36.5°C 미만).
- 빠른 호흡, 호흡 곤란 (신음 소리, 코 벌렁거림).
- 창백하거나 푸르스름한 피부, 또는 대리석 같은 피부 무늬.
황금률은 이것입니다: “걱정이 된다면, 당신의 직감을 믿으십시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하거나 가장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하십시오. 기다리지 마세요.”22
자주 묻는 질문 (FAQ)
GBS는 성병(STD)인가요?
아닙니다. GBS는 위장관에 흔한 세균이며 생식기 부위로 퍼질 수 있습니다. 성병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3
제가 GBS 양성이면, 제 아기가 실제로 병에 걸릴 위험은 얼마나 되나요?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아기가 병에 걸릴 위험은 약 200명 중 1명입니다.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면 이 위험은 약 4,000명 중 1명으로 감소합니다.
GBS 양성인데 모유 수유를 해도 되나요?
네. 모유 수유는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며 권장됩니다. 드물게 모유를 통한 전파 사례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34, 모유 수유의 이점이 이 미미한 위험을 훨씬 능가합니다. GBS 양성 상태는 모유 수유의 금기 사항이 아닙니다.
GBS 검사 전에 조기 진통이 오면 어떻게 되나요?
예방 조치로 항생제 치료를 받게 됩니다. 이는 당신의 GBS 상태가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조산이 주요 위험 요인이기 때문입니다.24
이전 임신에서 GBS 양성이었습니다. 이번에도 그럴까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위험은 더 높습니다. 이번 임신에서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한 가지 중요한 예외가 있습니다: 만약 이전에 GBS ‘질환’을 앓은 아기를 출산한 적이 있다면, 현재의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향후 모든 분만 시 자동으로 항생제를 투여받게 됩니다.2
결론
B군 연쇄상구균(GBS)은 많은 예비 부모에게 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정확한 정보와 체계적인 관리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문제입니다. 핵심은 GBS가 산모에게는 무해한 ‘보균’ 상태일 뿐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불필요한 공포 대신 능동적인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임신 후반기(36-37주)의 선별검사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GBS 양성일 경우 분만 중 항생제 예방요법(IAP)을 받는 것이 신생아를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동시에, IAP가 예방하지 못하는 후기 발현형 질환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출산 후 아기의 건강 상태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부모의 경계심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가 한국의 모든 예비 부모님들이 자신감과 평온함을 가지고 건강한 아기를 맞이하는 데 든든한 동반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문헌
- B군 연쇄상구균 감염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ko.wikipedia.org/wiki/B%EA%B5%B0_%EC%97%B0%EC%87%84%EC%83%81%EA%B5%AC%EA%B7%A0_%EA%B0%90%EC%97%BC%EC%A6%9D
- Group B Streptococcus and Pregnancy – StatPearls – NCBI Bookshelf,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2443/
- 산전 B군사슬알균(GBS) 선별검사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labtestsonline.co.kr/tests/gbs.html
- GBS(group B streptococcus, B군 연쇄상구균) 검사(35~36주) – 남양아이,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aby.namyangi.com/contents/view/3004/10456
- Group B Strep Disease – CD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group-b-strep/index.html
- Prevention of Perinat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A Public Health Perspective – CD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cdc.gov/mmwr/preview/mmwrhtml/00043277.htm
- 신생아 치사율 50% 'GBS 감염' 예방하는 팁 – 헬스중앙,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jhealthmedia.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392
- 임산부 출산까지 안심 못해…신생아 치사율 50 … – 코리아헬스로그,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43826
- 미국 병원에서, GBS test와 병원 투어 – 브런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runch.co.kr/@chemie/31
- 임신 9개월 차, 그리고 잠 못 드는 밤 – 브런치,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brunch.co.kr/@chemie/30
- 임신부에서 group B streptococci 감염의 임상적 의의 – :: 대한산부인과학회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notice&number=1168
- Prevention of Group B Streptococcal Early-Onset Disease in Newborn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anmc.org/files/GroupBStreptococcal_CDC_URL-1.pdf
- Group B streptococcus 선별검사 대한산부인과학회 권고사항,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code=notice&number=1167
- Group B Streptococcus (GBS) – Immunization, Vaccines and Biologicals,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who.int/teams/immunization-vaccines-and-biologicals/diseases/group-b-streptococcus-(gbs)
- 박중신. 질내 B군 연쇄상 구균 집락 형성 산모의 임상적 특성 평가,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func/download.php?path=L2hvbWUvdmlydHVhbC9rYW1qZS9zeW5hcHNlL3VwbG9hZC9TeW5hcHNlWE1MLzAyMzdqa3NtY2gvcGRmL2prc21jaC0yNi0xLTI3LnBkZg==&filename=amtzbWNoLTI2LTEtMjcucGRm
- (PDF) Diagnostic Accuracy and Detection Rate of Real-Time PCR for Detection of Group B Streptococcal Colonization in Pregnant Women: Systemic Review of Literature and Meta-Analysis – ResearchGat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7866010_Diagnostic_Accuracy_and_Detection_Rate_of_Real-Time_PCR_for_Detection_of_Group_B_Streptococcal_Colonization_in_Pregnant_Women_Systemic_Review_of_Literature_and_Meta-Analysis
- LIM Broth 배지를 이용한 임산부에서의 B군 연쇄구균 감염에 대한 연구,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e-cep.org/upload/pdf/2004471008-20070611155611.PDF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Updates Guidance on Preventing, Managing Infants with Group B Strep Disease – HealthyChildren.org,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healthychildren.org/English/news/Pages/AAP-Updates-Guidance-on-Infants-With-Group-B-Strep-Disease.aspx
- 신생아의 패혈증 – 아동의 건강 문제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B%A0%EC%83%9D%EC%95%84%EC%9D%98-%EA%B0%90%EC%97%BC/%EC%8B%A0%EC%83%9D%EC%95%84%EC%9D%98-%ED%8C%A8%ED%98%88%EC%A6%9D
- KoreaMed Synaps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158764
- 건강한 출산 위협하는 GBS를 아시나요? ‘사망 위험’ 신생아 패혈증, 산전검사로 예방하세요!,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gclabs.co.kr/pr/press/view/5409?page=3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89
- 신생아 B군 연쇄상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nnchildneurol.org/upload/pdf/JKCNS-16-1-62.pdf
- Group B Streptococcus Disease: AAP Update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t-Risk Infants | AAFP,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afp.org/pubs/afp/issues/2020/0315/p378.html
- (세균) Streptococcus agalactiae | 병원체(H) | 병원체생물안전정보 …,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302111405&bid=0064&act=view&list_no=368713&tag=&nPage=4
- Systematic review of Group B Streptococcal capsular types, sequence types and surface proteins as potential vaccine candidates – PMC,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526974/
- Updated Guida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erinatal Group B Streptococcus Infection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3649090/
- Updated Guidance on GBS Screening and Prophylaxis – The ObG Project,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obgproject.com/2023/02/06/cdc-algorithm-intrapartum-antibiotic-prophylaxis-gbs/
- 210329 21년도 GC Labs InT_2분기,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gclabs.co.kr/BoardFiles/2021_InT_2_print.pdf
- 균혈증 환자에서 분리된 B군 연쇄구균에 대한 분석,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ww.acm.or.kr/wp-content/uploads/2024/05/ACM-0701-07.pdf
- 신생아 B군 연구균감염증의 최근 변화 – KoreaMed Synapse,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53kjpid/kjpid-14-1.pdf
- Systematic review of Group B Streptococcal capsular types, sequence types and surface proteins as potential vaccine candidates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32888741/
- 임신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해야 하는 테스트 – news | Ofmom,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wap.ofmom.co.kr/media/trendnews_detail.php?id=221
- Recurrence of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infants: a systematic review – PubMed, 2025년 8월 13일 접속, https://pubmed.ncbi.nlm.nih.gov/40057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