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핵심 요약
-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로, 조기 발견과 개입이 아이의 장기적인 예후에 매우 중요합니다12.
- 영유아기의 주요 조기 징후에는 눈 맞춤 부족, 이름에 반응하지 않음, 상상 놀이 부재, 특정 행동이나 관심사의 반복 등이 포함됩니다13.
- M-CHAT-R/F는 16~30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위험 선별 도구로, 부모 보고형 설문과 필요한 경우 추적 면접으로 구성됩니다45.
- M-CHAT-R/F 검사 결과 ‘중간 위험도’ 또는 ‘높은 위험도’로 나타날 경우, 즉각적인 전문가 상담 및 정밀 진단 평가가 권고되며, 이는 아동의 발달 지원에 결정적입니다5.
- 대한민국 정부는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 다양한 조기 개입 프로그램 등 포괄적인 지원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67.
목차
I.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와 조기 발견의 중요성
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무엇인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보이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사 또는 활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입니다1. 이러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초기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며,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상당한 손상을 유발합니다2.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개인들이 나타내는 증상, 기술, 그리고 손상 수준이 매우 다양함을 강조합니다3.
미국 정신의학회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에 명시된 진단 기준은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활동이라는 두 가지 핵심 영역을 포함합니다1. 증상의 범위가 넓고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부모님들이 초기 징후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M-CHAT-R/F와 같은 표준화된 선별 도구를 통한 체계적 확인이 중요합니다4.
진단 기준에서 “지속적인 결함”과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은 간헐적이거나 일시적인 행동이 반드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합니다1. M-CHAT-R/F 검사 시 아이의 ‘평소’ 행동에 근거한 답변은 정확한 선별을 돕습니다5.
나. 영유아기 주요 조기 징후 및 발달 특성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조기 징후는 주로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및 관심사로 나타납니다.
1.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
- 생후 12개월까지 옹알이를 하지 않음8.
- 생후 12개월까지 상호작용 중 제스처(가리키기, 보여주기, 손 흔들기 등)를 사용하지 않음1.
- 만 1세에 자신의 이름에 반응하지 않음2.
- 생후 16개월까지 의미 있는 단어를 말하지 못함1.
- 생후 24개월까지 의미 있는 두 단어 문장을 사용하지 못함 (단순 흉내 제외)1.
- 눈 맞춤이 부족하거나 비정상적임2.
- 다른 아이들에게 관심이 없거나 또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보임2.
- 기쁨이나 관심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 하지 않음1.
- 상상 놀이나 역할 놀이를 하지 않음1.
- 부모가 가리키는 사물이나 방향을 따라 보지 않음2.
- 얼굴 표정이 제한적이거나 부모의 표정 변화에 반응이 거의 없음2.
- 이전에 습득했던 언어 또는 사회적 기술을 상실하는 ‘발달 퇴행’은 즉각적인 전문가의 주의가 필요한 중요한 적신호임1.
2.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및 관심사:
- 매우 제한적이고 고정된 관심사를 비정상적인 강도나 집중 대상으로 보임2.
- 손이나 몸을 흔드는 등 반복적인 운동 행동을 보임1.
- 감각 자극(소리, 질감, 빛 등)에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둔감한 반응, 또는 특정 감각에 대한 특이한 관심을 보임2.
- 특정 순서나 방식에 대한 지나친 집착 또는 변화에 대한 심한 저항을 보임1.
M-CHAT-R/F와 같은 체크리스트는 일반적인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야 할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 것’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부모가 놓치기 쉬운 부분을 점검하도록 돕습니다14.
다.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이 왜 중요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은 아이의 장기적 예후에 매우 중요합니다. 조기 선별은 조기 진단으로 이어져 필요한 지원과 서비스에 더 빨리 접근하게 함으로써 아이의 미래 발달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9. M-CHAT-R/F와 같은 선별 도구는 진단 연령을 낮춰 조기 개입을 위한 귀중한 시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10.
연구에 따르면 치료 효과는 아이의 나이가 어릴수록, 특히 학령전기에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1. 대한민국에서는 평균 자폐 진단 연령이 만 4~5세경이나, 생후 36개월 이전의 조기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됩니다3. 영유아기는 뇌 가소성이 매우 높은 결정적 시기로, 조기 개입은 이러한 뇌 가소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조절, 학습 능력 등의 핵심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1.
조기 개입은 아동 발달 촉진뿐 아니라 장기적 사회적 비용 감소, 부모에게 필요한 정보와 기술 제공을 통해 가족 전체의 스트레스 경감 및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합니다11.
II. M-CHAT-R/F: 영유아 자폐 선별검사 완전 정복
가. M-CHAT-R/F 검사란? – 목적, 대상 연령 (16-30개월), 개발 배경
M-CHAT-R/F(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Revised with Follow-Up)는 생후 16개월에서 30개월 사이 영유아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위험을 선별하기 위한 부모 보고형 설문 도구입니다5. 다이애나 로빈스, 데보라 파인, 메리앤 바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12, 기존 M-CHAT의 민감도는 유지하면서 위양성을 줄이고 문항 표현을 명확히 하여 개정되었습니다10. 주된 목적은 가능한 많은 ASD 사례를 발견하는 것(민감도 극대화)이며13, 추적 면접 필요성을 줄여 일차 의료기관에서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10.
나. M-CHAT-R/F 검사지 항목 상세 안내 (한국어판 기준)
M-CHAT-R/F는 총 20개의 ‘예/아니오’ 질문으로 구성되며,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공동 주시, 모방, 놀이 기술, 감각 반응 등 ASD 관련 핵심 영역을 평가합니다514.
표 1: M-CHAT-R/F 20가지 질문 (한국어판) 및 주요 평가 발달 영역
질문 번호 | 한국어 질문 (출처:5) | 주요 평가 발달 영역 (예시) |
---|---|---|
1 | 방 안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것을 가리키면 아이가 그것을 쳐다보나요? (예, 장난감이나 동물을 가리키면 아이가 그것을 쳐다보나요?) | 공동 주시, 주의 전환 |
2 | 아이가 혹시 청각장애가 있는지 의심해본 적이 있나요? | 청각 기능 (다른 증상과의 감별) |
3 | 아이가 흉내내기 혹은 가상놀이를 하나요? (예, 빈 컵을 들고 마시는 척 하거나 전화기를 들고 통화하는 척 하거나 인형에게 음식을 먹이는 시늉을 하나요?) | 상상 놀이, 사회적 이해 |
4 | 아이가 어딘가에 올라가는 것을 좋아하나요? (예, 가구나 놀이기구 또는 계단) | 운동 기능, 탐색 행동 |
5 | 아이가 자기 눈 가까이에서 손가락을 이상하게 움직이는 행동을 하나요? (예, 눈 앞이나 근처에서 손가락을 튕기는 듯한 행동을 하나요?) | 반복 행동, 감각 추구 |
6 | 아이가 뭔가를 요구하거나 도움을 청할 때 손가락으로 가리키나요? (예,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먹을 거나 장난감을 가리키나요?) | 도구적 의사소통, 요구하기 |
7 | 아이가 자신이 관심이 있는 것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나요? (예, 하늘에 날아가는 비행기나 길에 있는 큰 트럭을 가리키나요?) | 관심 공유, 선언적 의사소통 |
8 |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게 관심을 보이나요? (예, 다른 아이를 쳐다보거나 미소 짓거나 다가가나요?) | 사회적 관심, 또래 상호작용 |
9 | 아이가 뭔가를 보여주기 위해 가지고 오거나 들어 올리나요? (예, 도움을 청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관심을 공유하기 위해서 꽃, 인형, 또는 장난감 트럭 등을 보여주나요?) | 관심 공유,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
10 | 아이의 이름을 부르면 아이가 반응하나요? (예, 아이 이름을 부르면 아이가 쳐다보거나 말이나 옹알이를 하거나, 또는 하고 있던 것을 멈추나요?) | 호명 반응, 사회적 인식 |
11 | 아이를 보고 웃으면 아이가 따라서 웃나요? | 사회적 미소, 정서적 상호작용 |
12 | 아이가 일상생활에서 나는 소음에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을 보이나요? (예, 청소기 소리나 큰 음악 소리를 들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우나요?) | 감각 민감성 (청각) |
13 | 아이가 아무것도 잡지 않고 걷나요? | 운동 발달 (독립 보행) |
14 | 아이한테 말을 하거나 같이 놀거나 옷을 입혀줄 때 엄마와 눈맞춤을 하나요? | 눈 맞춤, 사회적 상호작용 |
15 | 아이는 엄마가 하는 것을 따라 하려고 하나요? (예, 바이바이, 손뼉치기, 엄마가 내는 우스꽝스런 소리 등을 흉내 내나요?) | 모방 행동, 사회적 학습 |
16 | 엄마가 뭔가를 보려고 고개를 돌리면 아이는 엄마가 무엇을 보는지 돌아보나요? | 공동 주시, 타인의 의도 파악 |
17 | 아이는 엄마가 자기를 보도록 하나요? (예, 칭찬을 받고 싶어 엄마를 쳐다보거나, “봐” 또는 “나 봐”라고 하나요?) | 관심 끌기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
18 | 아이한테 뭔가를 하라고 말로 지시할 때 아이가 이해하나요? (예, 손가락으로 가리키지 않고 말로만 “의자에 책 갖다 놓아” 또는 “수건 좀 가져와”하면 그 말을 이해할 수 있나요?) | 언어 이해력 (지시 따르기) |
19 | 뭔가 새로운 일이 일어나면 아이가 엄마의 반응을 보려고 엄마의 얼굴을 쳐다보나요? (예, 아이가 들어보지 않은 이상한 소리를 듣거나, 새로운 장난감을 보면, 엄마 얼굴을 쳐다보나요?) | 사회적 참조, 정서적 단서 활용 |
20 | 아이가 움직이는 활동놀이를 좋아하나요? (예, 그네처럼 흔들어주기 또는 무릎에 올려서 튕겨주기를 좋아하나요?) | 신체 활동 선호도, 감각 추구 |
다. 검사 실시 방법: 부모님을 위한 단계별 가이드
라. M-CHAT-R/F 채점 방법 및 결과 해석
- 채점 방식: 대부분 문항은 ‘아니오’가 1점, 2, 5, 12번 문항은 ‘예’가 1점입니다13. 총점을 합산합니다.
- 결과 해석 및 권고 조치 (출처:1315):
- 0-2점 (낮은 위험도): 추가 조치 불필요 (만 24개월 미만 시 두 돌 이후 재검사 고려). 지속적 발달 관찰 권장.
- 3-7점 (중간 위험도): 위험 문항에 대해 추적 면접 실시. 면접 결과 2개 이상 위험 시 ‘양성’으로 판정, 즉시 조기 개입 연계 및 전문가 정밀 진단 의뢰. 위험 문항 0-1개 시 ‘음성’, 지속적 관찰 권장.
- 8-20점 (높은 위험도): ‘양성’으로 간주, 추적 면접 생략하고 즉시 조기 개입 연계 및 전문가 정밀 진단 의뢰 권장.
중요 유의사항: M-CHAT-R/F는 선별검사이지 진단 도구가 아닙니다13. 양성 반응이라도 ASD로 진단되지 않을 수 있으나, 다른 발달 문제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가 평가가 중요합니다13.
III. M-CHAT-R/F 추적 면접(Follow-Up Interview) 이해하기
가. 추적 면접은 언제, 왜 필요한가?
M-CHAT-R/F 추적 면접은 초기 설문에서 ‘중간 위험도'(총점 3-7점) 시 실시하며13, 초기 응답에 대한 심층 정보 획득으로 검사 정확도를 높이고 위양성률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10. 부모의 문항 오해나 실제 위험도와 다른 아이 행동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16.
나. 추적 면접 주요 질문 및 진행 방식
추적 면접은 ‘위험’ 채점 문항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행되며17, 문항별 흐름도에 따라 질문하고 부모 답변으로 최종 ‘통과’ 또는 ‘실패’를 결정합니다15. 예를 들어, 흉내내기/가상놀이(질문 3)에 대해 “빈 컵으로 마시는 척 하나요?” 등 구체적 사례를 묻고5, 관심 공유를 위한 손가락 가리키기(질문 7)에 대해선 ‘요구’와 ‘흥미 공유’ 목적을 구분하는 질문을 합니다5.
다. 추적 면접 결과의 의미와 조치
추적 면접에서 2개 이상 항목 ‘실패(Fail)’ 시 최종 ‘양성(Positive)’으로 간주합니다13. 이 경우 즉시 조기 개입 프로그램 연계 및 전문가 정밀 진단 평가를 의뢰해야 합니다13. ‘실패’ 항목이 0-1개로 ‘음성(Negative)’ 판정 시 추가 조치는 불필요하나, 우려 지속 시 전문가 상담 및 향후 정기 검진 시 재확인이 권장됩니다13.
IV. M-CHAT-R/F 검사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다음 단계
가. 선별검사 결과에 따른 조치: 전문가 상담 및 정밀 진단 의뢰
M-CHAT-R/F 결과가 ‘낮은 위험도’라도 부모의 우려가 지속되면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의사 또는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8. ‘중간 위험도’ 또는 ‘높은 위험도’ 결과 시 즉시 전문가 도움을 받아 조기 개입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정밀 진단 평가를 의뢰해야 합니다131.
나. 국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절차 및 주요 검사 도구
국내 ASD 정밀 진단은 보호자 면담, 아동 직접 관찰, 표준화된 진단 도구 사용 등 다각적 평가로 이루어집니다18.
주요 표준화 진단 도구:
- CARS (소아기 자폐증 평가척도): 전문가가 아동 행동을 관찰하여 15개 항목 점수화18.
- ADOS-2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 제2판): 국제적 ‘표준 검사’로, 구조화된 놀이/활동 중 사회적 상호작용 등 직접 관찰 평가19.
- ADI-R (자폐증 진단 면담 개정판): 부모 대상 심층 구조화 면담으로 발달 과정 및 행동 특성 질문19.
필요시 인지 발달 검사(예: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20), 언어 평가(예: SELSI20), 적응 행동 검사 및 유전자, MRI, EEG 검사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21. 최종 진단은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DSM-5 기준에 따라 내립니다1.
다. 영유아 건강검진 및 보건소 연계 활용 방안
국가 영유아 건강검진은 K-DST(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등을 포함하며, 발달 점검의 좋은 기회입니다18. 검진 시 M-CHAT-R/F 결과나 관찰 내용을 의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검진 결과 ‘심화평가 권고’ 시 관할 보건소를 통해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사업’ 등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22. 이 사업은 정밀검사 비용 일부를 지원하며, 2024년부터 소득 기준이 폐지되었습니다622.
V. 대한민국 자폐 아동 지원 시스템 및 정보
가. 조기 개입 프로그램 및 치료 지원 안내
국내에서는 응용행동분석(ABA), 발달적 놀이 치료, 언어 치료, 사회 기술 훈련, 감각통합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활용되며23, 부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도 강조됩니다124. 약물 치료는 동반 증상 완화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23.
나. 정부 및 관련 기관 지원 정책
대한민국 정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다. 도움 받을 수 있는 국내 주요 기관 및 연락처
표 3: 대한민국 주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지원 기관
기관명 | 주요 서비스 (ASD 관련) | 웹사이트/연락처 | 비고 |
---|---|---|---|
국립정신건강센터 | ASD 정보 제공, 진료, 연구 | www.ncmh.go.kr (예시) | 보건복지부 산하 |
중앙장애아동·발달장애인 지원센터 | 통합 지원, 정보, 교육, 정책 | www.broso.or.kr, 1800-5921 | 보건복지부 위탁 |
지역별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개인별지원계획, 권익옹호 등 | 해당 지역 검색 | 전국 운영 |
주요 대학병원 발달 클리닉 (예: 분당서울대병원26, 서울아산병원1) | 정밀 진단, 치료, 상담 | 각 병원 문의 | 전문 의료기관 |
보건소 | 영유아 검진, 발달 선별, 검사비 지원 안내 | 거주지 관할 문의 | 지역사회 건강기관 |
Autism Speaks | ASD 정보, 연구, 지원 (한국어 자료) | www.autismspeaks.org/korean-resources8 | 국제 비영리 단체 |
M-CHAT 공식 웹사이트 | M-CHAT-R/F 검사지, 정보 (한국어판) | www.mchatscreen.com13 | 개발자 운영 |
VI. 부모님과 양육자를 위한 추가 조언
가. 자녀의 발달에 대한 우려를 전문가와 상담하는 방법
- 구체적인 관찰 기록 준비: 우려되는 행동, M-CHAT-R/F 결과지 지참.
- 명확하고 솔직한 질문: 궁금증과 걱정을 명확히 전달.
- 협력적인 태도: 전문가와 협력하여 최적의 지원 방법 모색18.
나. 지속적인 관찰, 기록 및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의 중요성
자녀 발달의 지속적 관찰 및 기록, 그리고 정부 기관, 공신력 있는 학회, 전문 지원 단체(Autism Speaks8, M-CHAT 공식 웹사이트13 등), 담당 의료진이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 부모 자신을 위한 정서적 지원 및 정보 탐색
부모 자신의 정신 건강과 정서적 안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 친구, 동료 부모들과 감정을 나누고 지지받거나, 필요시 전문가 상담(예: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7)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ASD에 대해 배우고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효능감을 높이고 불안감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VII. 결론 및 제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조기 발견과 개입은 아동의 잠재력 발휘와 삶의 질 향상에 결정적입니다. M-CHAT-R/F와 같은 선별 도구는 부모와 전문가가 영유아기 미묘한 발달 위험 신호를 체계적으로 포착하도록 돕습니다.
부모님과 양육자께서는 자녀 발달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가장 중요하며, 선별검사 결과를 전문가 상담의 계기로 삼으시길 바랍니다. 조기 발견과 개입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고, 우려 시 주저 없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십시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고 정부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며, 부모님 자신의 정서적 건강도 돌보시길 바랍니다.
자녀의 발달 여정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지만,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 적절한 전문가 지원이 함께한다면 자녀는 잠재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그 여정에 작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문헌
- 정신건강이야기 – 서울아산병원.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의 조기 발견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psy.amc.seoul.kr/asan/depts/psy/K/bbsDetail.do?menuId=862&contentId=204786
- 국립나주병원. 진료분야 > 발달장애 > 자폐스펙트럼장애 [인터넷]. 국립나주병원;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najumh.go.kr/html/content.do?depth=fc&menu_cd=02_05_00_01
- 서울대학교병원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소식 및 보도자료 [인터넷].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nadd-snuh.org/bbs/board.php?bo_table=m05_03&wr_id=39
- M-CHAT. mchatscreen.com [인터넷]. M-CHAT;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chatscreen.com/wp-content/uploads/2015/05/M-CHAT-R_F_Korean.pdf
- Robins DL, Fein D, Barton M. M-CHAT-R/F™ [인터넷]. M-CHAT; 2009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chatscreen.com/
- 하남시.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 검사비 지원사업 [인터넷]. 하남시;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hanam.go.kr/health/contents.do?key=965 (2024년 소득 기준 폐지 관련 정보 포함)
-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 장애인서비스 < 장애인 < 정책 [인터넷]. 보건복지부;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0040500
- Autism Speaks. Korean Resources [인터넷]. Autism Speaks;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utismspeaks.org/korean-resources
- Autism Speaks. Autism screening [인터넷]. Autism Speaks;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utismspeaks.org/autism-screening
- Robins DL, Casagrande K, Barton M, Chen CM, Dumont-Mathieu T, Fein D. Validation of the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Revised With Follow-up (M-CHAT-R/F). Pediatrics. 2014 Jan;133(1):37-45. doi:10.1542/peds.2013-1813. PMID: 24366990
-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사업안내 (2024년) 에서 관련 정보 참고 가능. (조기 개입의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는 관련 정책 문서에서 언급)
- Autism Speaks. 유아 자폐 검사표 (M-CHAT™) [인터넷]. Autism Speaks; [2025년 5월 9일 인용]. (Robins, Fein, Barton 개발 명시)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autismspeaks.org/korean-resources (페이지 내 M-CHAT 링크 확인)
- M-CHAT. M-CHAT™ – Autism Screening [인터넷]. M-CHAT;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chatscreen.com/ (M-CHAT-R/F 채점 및 해석, 추적 면접 관련 정보 포함)
- M-CHAT. M-CHAT™ – MCHAT R/F Translations [인터넷]. M-CHAT; [2025년 5월 9일 인용]. (질문 항목 관련)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chatscreen.com/mchat-rf/translations/ (한국어판 PDF 링크됨)
- Robins DL, Fein D, Barton M. The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Revised, with Follow-Up (M-CHAT-R/F) [인터넷]. Drexel University; 2009 [2025년 5월 9일 인용]. (채점 및 결과 해석 PDF 자료 참고) 다음에서 제공함: https://drexel.edu/~/media/Files/autismInstitute/EDI/M-CHAT-R_F.ashx
- Chaisompoi T, Ruangdaraganon N, Chuthapisith J. Two-Step Screening of the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in Thai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인터넷]. M-CHAT; 2017 [2025년 5월 9일 인용]. (추적면접 관련 연구사례) 다음에서 제공함: https://mchatscreen.com/wp-content/uploads/2017/02/Two-Step-Screening-of-the-Modified-Checklist-for-Autism-in-Toddlers-in-Thai-Children-with-Language-Delay-and-Typically-Developing-Children.pdf
- M-CHAT. Scoring the M-CHAT-R/F [인터넷]. M-CHAT; [2025년 5월 9일 인용]. (추적 면접 대상 항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chatscreen.com/mchat-rf/scoring/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선별검사 (M-CHAT 등 언급) 및 진단 절차 [인터넷].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25년 5월 9일 인용]. (K-DST, CARS 등 언급)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kacap.or.kr/m/public/public01.php (학회 웹사이트 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정보 페이지)
- 키블. 자폐스팩트럼장애 2부 ASD 선별검사와 정밀 진단 과정 [인터넷]. 키블; 2023 [2025년 5월 9일 인용]. (ADOS-2, ADI-R 언급) 다음에서 제공함: https://kivel.kr/contents/92
- 아이행복정신의학과. 심리검사 (베일리, SELSI 언급) [인터넷]. 아이행복정신의학과;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www.iadhd.co.kr/html/childcenter/00.php
- 서울아산병원 뉴스룸. 자폐스펙트럼장애란? | 건강이야기 | 헬스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2023 [2025년 5월 9일 인용]. (유전자, MRI, EEG 검사 언급) 다음에서 제공함: https://news.amc.seoul.kr/news/con/detail.do?cntId=5154
- 서대문구 보건소.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인터넷]. 서대문구 보건소; [2025년 5월 9일 인용]. (2024년 소득기준 폐지 언급)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dm.go.kr/health/contents/healthbiz/maternal/developmental
-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정보 > 질환별 정보 > 자폐스펙트럼장애 [인터넷]. 국립정신건강센터; [2025년 5월 9일 인용]. (ABA, 놀이치료, 언어치료, 사회기술훈련, 감각통합치료, 약물치료 등)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mentalhealth.go.kr/portal/disease/diseaseDetail.do?dissId=14
- 김민지, 이지현.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024;29(1):215-231. doi:10.12963/csd.23110. (부모교육의 중요성)
- 국립재활원. 발달장애인 지원 정책을 소개합니다. < 건강소식 < 나눔 [인터넷]. 국립재활원; 2023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nrc.go.kr/portal/board/boardView.do?no=18620&fno=39&board_id=NRC_NOTICE_BOARD&bn=newsView&menu_cd=10_01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발달·자폐·사회성 클리닉 [인터넷].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5년 5월 9일 인용]. 다음에서 제공함: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DCD22&MENU_ID=001